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06년 10월 3일 00시 03분 등록

의식적인 활동이 어떤 한 가지 목적으로만 모아질 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신경쇠약 증세를 동반하는 균형감의 결여를 보이게 마련이다. 대부분의 경우 시각의 협소함이 건망증을 일으켜, 막강한 장해 요인이 있다는 것을 잊어버리게 만들거나, 아니면 그런 요인들이 모두 응징과 테러를 가해야 마땅한 악마의 책동인 것처럼 보이게 만든다. 아이들에게만 놀이가 필요한 게 아니다. 어른에게도 현재의 즐거움 이외엔 아무 목적도 없는 행위에 빠지는 시간이 필요하다.

- 버트런드 러셀의 [게으름에 대한 찬양] 중에서-
-------------------------------------------------

성취욕이 없는 것도 문제이지만 성취욕의 과잉도 위험합니다. 극과 극은 통하듯이 신념의 결핍은 신념의 과잉으로 넘어가기 쉽고, 신념의 과잉은 신념의 결핍으로 넘어가기 쉽습니다. 구부러진 철판을 바로 펴려면 구부러진 만큼 반대쪽으로 구부려주어야 바로 펴지는 것처럼 균형을 잡기 위해서는 양 극단을 오가기 쉽습니다. 그래서 과잉이 부러짐으로 종결되기 전에 제자리로 돌아오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자기계발에 관련서적을 읽다보면 자나 깨나 목표에서 한 눈을 팔지 말 것을 신신당부 합니다. 흔히 구기종목의 경우에 공에서 눈을 떼지 말라는 격언을 수도 없이 하는 것과 흡사합니다. 하지만 그 순간 우리의 시야는 그만큼 협소해진다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합니다. 그것을 ‘터널 비전(tunnel vision)'이라고 표현합니다. 이는 어두운 터널 속에서 오직 빛이 있는 터널의 끝부분만을 바라보고 가느라 상하좌우 주변상황을 미처 살필 수가 없는 것과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신념의 과잉은 터널 비전을 만들어 주위는 아랑곳하지 않고 자신의 목표에만 집착하게 만듭니다.

만일 당신이 목표를 가지고 나서 오히려 전보다 장애물의 수나 부딪히는 횟수가 더 많아졌다면, 기존의 관계가 흔들린다면, 목표와 관련되지 않는 영역에서는 아무런 기쁨을 느낄 수가 없다면 이때는 신념의 과잉을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꿈이 없던 사람이 꿈을 가질 때 놀라운 변화가 일어납니다. 하지만 그만큼 위험에 빠질 수 있다는 것도 늘 잊지 말아야 합니다.

* 풍요로운 한가위 추석 명절이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 2006. 10. 2 週 2회 '당신의 삶을 깨우는' 문요한의 Energy Plus [44호]-






IP *.189.235.111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6 [화요편지]삶의 기쁨이 깨어나는 시간, 아난다 인요가 file 아난다 2020.12.22 6327
655 같이 오른다는 것에 관하여 (데날리 이야기) [2] 장재용 2020.12.22 1644
654 크리스마스 운제 2020.12.24 1443
653 [용기충전소] 매일 매일이 새로워지는 비법 file [1] 김글리 2020.12.25 2107
652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40] 은퇴 후 나는 무엇으로 돈을 벌 수 있을까? [1] 습관의 완성 2020.12.27 1771
651 [화요편지]가장 사랑하는 그들이 나를 아프게 할 때 file [2] 아난다 2020.12.29 1852
650 캐나다 록키산맥 Mt. Cascade 등반기 [1] 장재용 2020.12.29 1583
649 마지막 편지 [4] 운제 2020.12.31 1575
648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41] 꿈을 찾아 퇴사부터 하려는 당신에게 [2] 습관의 완성 2021.01.03 1862
647 [화요편지] 책 속에는 답이 없다, 그러나 file [2] 아난다 2021.01.05 2098
646 에트나(Mt. Etna)에 있드나 [1] 장재용 2021.01.05 1942
645 목요편지를 시작하며 [2] 어니언 2021.01.07 1359
644 [용기충전소] 불안을 친구로 만들기 김글리 2021.01.08 1449
643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깨져야만 알게 되는 것들 file 알로하 2021.01.10 2141
642 [월요편지 42] 미래에서 온 아버지의 첫 편지 [1] 습관의 완성 2021.01.10 1651
641 [화요편지]'책 속에는 정말 답이 없는 거냐'고 묻는 당신에게 [2] 아난다 2021.01.12 1599
640 수틀리면 터져버리는 그녀, 에트나처럼 [1] 장재용 2021.01.13 1625
639 [목요편지] 사랑을 위해 죽음을 택하다 [3] 어니언 2021.01.14 1175
638 [용기충전소] 거북이가 이긴 이유 [1] 김글리 2021.01.15 1973
637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아프니까 프로다 [2] 알로하 2021.01.17 1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