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변화경영연구소-홍승완
- 조회 수 5236
- 댓글 수 0
- 추천 수 0
‘변화경영 연구소’ 2기 연구원들의 9월 수업의 사전 과제는 자신의 장례식 연설을 작성하는 것이었습니다. 저는 그 수업에 참가하여 연구원들의 장례식 연설을 들었습니다. 저 역시 ‘나의 장례식 연설’을 써보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2006년 9월 17일 저녁에 썼습니다. 그 글은 이렇게 시작합니다.
“2006년 9월 23일, 나는 죽었다. 30년 전 오늘 나는 태어났다. 이제까지 30년을 살았다.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시간이다. 하지만 내게는 짧은 시간이었음은 어쩔 수 없다. 이렇게 죽고 싶지는 않았으니까.”
처음에는 짧게 쓰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그렇게 되지 않았습니다. 얼마 쓰지 않아 눈물이 흘렀습니다. 그렇게 울면서 쓰고 나니 7장이었습니다. 저는 이 글을 쓰고는 며칠 동안은 다시 보지 않았습니다. 다시 보면 고치고 싶고 더 좋게 꾸미고 싶어질 것이기 때문이었습니다. 저는 이 글을 쓸 때, 바로 그 때의 감정과 사고의 흐름을 존중하고 싶었습니다. 여섯 날 후인 9월 23일, 다시 읽으면서 오탈자만 고쳤습니다. 다시 읽으면서 또 울었습니다. 이 날은 제 생일이었습니다. 그리고 연설의 끝머리에 이렇게 적어 두었습니다.
“30살의 장례식 연설을 쓰면서, 많이 울었다. 통곡했다. 울 줄 알았지만 이렇게 많이 울지는 몰랐다. 아쉬움과 서러움은 표현해도 끝이 없어 다 표현할 수 없었다. 거듭나는 것은 어렵다. 허나 이 아쉬움과 서러움을 그대로 남겨둘 수는 없다. 2006년 9월 23일, 이제까지의 나는 죽었다. 그럼으로써 나는 다시 살 수 있을 것이다.”
연구원들의 장례식 연설은 모두 달랐습니다. 저의 것 역시 그들과 달랐습니다. 허나 우리가 ‘가족, 꿈, 사랑, 우정’에 대해 말한 것은 다르지 않았습니다. 그렇습니다. 제가 들은 장례식 연설과 제가 쓴 것 모두 ‘사람’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그것에 우리는 울고 웃었습니다.
긴 추석 연휴가 지났습니다. 오늘은 월요일입니다. 어떤 분은 충전된 에너지로 활기차게 하루를 열 것이고, 다른 누구는 바쁠 것이고, 누구는 일상에 적응하는 데 애를 먹을 것이고, 누군가는 허무함과 함께 아침을 맞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런 날, 이 묘한 날, ‘가족, 꿈, 사랑, 우정’을 말하고 싶습니다. 그것은 어느 날이든, 죽는 날까지, 그리고 죽어서도 소중하기 때문입니다.
IP *.189.235.111
“2006년 9월 23일, 나는 죽었다. 30년 전 오늘 나는 태어났다. 이제까지 30년을 살았다.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시간이다. 하지만 내게는 짧은 시간이었음은 어쩔 수 없다. 이렇게 죽고 싶지는 않았으니까.”
처음에는 짧게 쓰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그렇게 되지 않았습니다. 얼마 쓰지 않아 눈물이 흘렀습니다. 그렇게 울면서 쓰고 나니 7장이었습니다. 저는 이 글을 쓰고는 며칠 동안은 다시 보지 않았습니다. 다시 보면 고치고 싶고 더 좋게 꾸미고 싶어질 것이기 때문이었습니다. 저는 이 글을 쓸 때, 바로 그 때의 감정과 사고의 흐름을 존중하고 싶었습니다. 여섯 날 후인 9월 23일, 다시 읽으면서 오탈자만 고쳤습니다. 다시 읽으면서 또 울었습니다. 이 날은 제 생일이었습니다. 그리고 연설의 끝머리에 이렇게 적어 두었습니다.
“30살의 장례식 연설을 쓰면서, 많이 울었다. 통곡했다. 울 줄 알았지만 이렇게 많이 울지는 몰랐다. 아쉬움과 서러움은 표현해도 끝이 없어 다 표현할 수 없었다. 거듭나는 것은 어렵다. 허나 이 아쉬움과 서러움을 그대로 남겨둘 수는 없다. 2006년 9월 23일, 이제까지의 나는 죽었다. 그럼으로써 나는 다시 살 수 있을 것이다.”
연구원들의 장례식 연설은 모두 달랐습니다. 저의 것 역시 그들과 달랐습니다. 허나 우리가 ‘가족, 꿈, 사랑, 우정’에 대해 말한 것은 다르지 않았습니다. 그렇습니다. 제가 들은 장례식 연설과 제가 쓴 것 모두 ‘사람’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그것에 우리는 울고 웃었습니다.
긴 추석 연휴가 지났습니다. 오늘은 월요일입니다. 어떤 분은 충전된 에너지로 활기차게 하루를 열 것이고, 다른 누구는 바쁠 것이고, 누구는 일상에 적응하는 데 애를 먹을 것이고, 누군가는 허무함과 함께 아침을 맞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런 날, 이 묘한 날, ‘가족, 꿈, 사랑, 우정’을 말하고 싶습니다. 그것은 어느 날이든, 죽는 날까지, 그리고 죽어서도 소중하기 때문입니다.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17 | 부드러운 혁명 | 구본형 | 2006.10.13 | 4988 |
116 | 아까운 가을 | 변화경영연구소-김용규 | 2006.10.11 | 5109 |
115 | 신이 이 땅에 존재하는 이유 | 변화경영연구소-문요한 | 2006.10.10 | 4634 |
» | 나의 장례식 | 변화경영연구소-홍승완 | 2006.10.09 | 5236 |
113 | 조금 웃기는 가을 독서술 다섯가지 | 구본형 | 2006.10.06 | 5050 |
112 | 기질 탐험 | 변화경영연구소-홍승완 | 2006.10.04 | 4825 |
111 | 신념의 과잉 | 변화경영연구소-문요한 | 2006.10.03 | 4808 |
110 | 문득 마음이 붉어지고 [3] | 구본형 | 2006.09.29 | 4930 |
109 | 자주 숲에 드십시오. [1] | 변화경영연구소-김용규 | 2006.09.27 | 4890 |
108 | 인간이 저지르기 쉬운 일곱 가지 실수 | 변화경영연구소-문요한 | 2006.09.26 | 5289 |
107 | 요즘 품고 있는 단어들 [1] | 변화경영연구소-홍승완 | 2006.09.25 | 4421 |
106 | 하루를 똑 같이 다루는 것처럼 부당한 일은 없다 | 구본형 | 2006.09.22 | 5181 |
105 | 이 시대에 부족한 것 한 가지 | 변화경영연구소-김용규 | 2006.09.20 | 5136 |
104 | 어깨가 쳐진 벗에게 | 변화경영연구소-문요한 | 2006.09.19 | 5058 |
103 | 나는 떠난다 [1] | 변화경영연구소-홍승완 | 2006.09.18 | 4493 |
102 | 귀자 | 구본형 | 2006.09.15 | 5610 |
101 | 어둠이 깊어질 때... [2] | 변화경영연구소-김용규 | 2006.09.14 | 4929 |
100 | 태교하는 마음으로 | 변화경영연구소-문요한 | 2006.09.12 | 4983 |
99 | 마음과 존중과 사랑으로 만나라 [2] | 변화경영연구소-홍승완 | 2006.09.11 | 5134 |
98 | 바람과 햇빛으로 몸을 씻는 날이면 | 구본형 | 2006.09.08 | 57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