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문요한
  • 조회 수 4216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06년 11월 21일 00시 31분 등록

“이 시대에 신이 되고자 하는 인간에게는 단 두 가지의 길이 있을 뿐이다.
창작을 하거나 아니면 살인을 하는 길!”

- 소설가 김 영하의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 중에서 -
----------------------------------------------------------------------

심리학자 에리히 프롬(1900~1980)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만약 내가 삶을 창조할 수 없다면 파괴할 수가 있다. 삶을 파괴하는 것도 역시 나로 하여금 삶을 초월하게 하는 것이다.” 프롬은 인간에게는 피조물로 태어난 자신의 상태를 초월하기 위해 자기 삶을 적극적으로 형성하려는 창조적 활동의 욕구가 있다고 보았습니다. 그런데 만일 어떤 인간이 억압이나 방해로 인해 무언가를 창조하지 못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프롬은 좌절된 창조성의 대안이 바로 ‘파괴성(destructiveness)'이라고 보았습니다. 파괴성 역시 본질적으로 세계 참여의 의미가 담겨있음을 역설한 것입니다. 그래서 인간은 창조와 파괴 양자의 사이에서 어느 하나만을 선택할 수 있을 뿐 다른 선택은 있을 수 없다고 보았습니다.

창조성과 파괴성! 과연 어느 것이 인간의 본성일까요? 쉽지 않은 문제입니다. 끝없는 논쟁을 낳는 문제들은 어쩌면 둘 다 답이거나 둘 다 답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극과 극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창조성과 파괴성의 문제 역시 어쩌면 꼬리는 하나에 머리가 둘 달린 뱀처럼 두 속성의 뿌리는 본시 하나일지 모릅니다. 저는 모든 창조성이 파괴성의 승화에서 비롯되었다고 보지 않고, 모든 파괴성이 창조성의 좌절에서 비롯되었다고 보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삶을 통해 파괴성이 승화되어 얼마나 놀라운 창조로 이어지는지와 반대로 창조성이 짓눌렸을 때 사람이 얼마나 파괴적으로 변모하는지는 많은 예를 통해 알고 있습니다.

인간의 창조성이란 단지 탄생의 수동성과 우연성을 극복하려는 보상적 기능이 아니라고 봅니다. 그것은 모든 생명체가 가지고 있는 생명활동의 본질이라 생각합니다. 무릇 생명체란 제 안에 자라나고 꽃 피우고 열매 맺고 퍼트리려는 근본적 속성을 가지고 나오기 때문입니다. 그 창조적 본능이 가로막힐 때 그 본능의 에너지는 고스란히 파괴적 본능으로 더해집니다. 지금 무언가를 창조하는 과정에 있습니까? 만일 그 질문에 쉽게 대답하지 못한다면 반대로 자신에게 물어보아야 합니다. ‘그렇다면 나는 혹시 무언가를 파괴하고 있는 것일까?’ 그 대상은 자신일수도 혹은 자신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 2006. 11. 21 週 2회 '당신의 삶을 깨우는' 문요한의 Energy Plus [57호]-







IP *.189.235.111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6 모임을 즐기는 78억가지 방법 [1] 어니언 2022.12.15 1020
155 [라이프충전소] 비범한게 없다면 평범한 재능을 연결하기 [1] 김글리 2022.12.16 894
154 [월요편지 131] 노후자금 얼마나 필요할까? [1] 습관의 완성 2022.12.18 1316
153 [수요편지] 깨달음은 궁극인가 과정인가 [1] 불씨 2022.12.21 918
152 [라이프충전소] 체게바라의 위장사진 [1] 김글리 2022.12.23 879
151 [월요편지 132] 은퇴자들이 퇴직 후 가장 많이 하는 후회 5가지 [1] 습관의 완성 2022.12.25 1594
150 [수요편지] 한해를 마무리하며 [1] 불씨 2022.12.28 907
149 삶이라는 모험 [1] 어니언 2022.12.29 1002
148 [라이프충전소] 아직 끝나지 않았다 [2] 김글리 2022.12.30 898
147 [월요편지 133] 40대 50대를 위한 가장 확실한 노후 준비 2가지 습관의 완성 2023.01.01 1071
146 [수요편지] 새해 진심을 다하겠습니다! [1] 불씨 2023.01.03 921
145 최선의 어른 [2] 어니언 2023.01.05 842
144 [라이프충전소] 실패를 어떻게 설명하고 있나요? [1] 김글리 2023.01.07 934
143 [월요편지 134] 은퇴 후에도 손 벌리는 자녀 등쌀에 벌벌 떠는 부모가 늘고 있는 이유 습관의 완성 2023.01.08 1056
142 [수요편지] 진짜와 가짜 불씨 2023.01.10 891
141 저의 전성기는 바로 지금입니다. [1] 어니언 2023.01.12 924
140 [라이프충전소] 오롯이 좌절할 필요 김글리 2023.01.14 968
139 [월요편지 135] 은퇴 후 절대 되지 말아야 할 백수 유형 3가지와 남들이 부러워하는 백수가 되는 방법 습관의 완성 2023.01.15 1200
138 [수요편지] 괜찮아, 친구잖아 [1] 불씨 2023.01.18 968
137 실수를 통한 성장 [1] 어니언 2023.01.19 8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