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오병곤
  • 조회 수 3870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07년 1월 1일 00시 13분 등록
그 투명한 내 나이
스무 살에는
선잠결에 스쳐가는
실낱같은 그리움도
어느새 등넝쿨처럼 내 몸을 휘감아서
몸살이 되더라
몸살이 되더라

떠나 보낸 사람은 아무도 없는데
세상은 왜 그리 텅 비어 있었을까

날마다 하늘 가득
황사바람
목메이는 울음소리로
불어나고
나는 휴지처럼 부질없이
거리를 떠돌았어
사무치는 외로움도 칼날이었어

밤이면 일기장에 푸른 잉크로
살아온 날의 숫자만큼
사랑
이라는 단어를 채워넣고
눈시울이 젖은 채로 죽고 싶더라
눈시울이 젖은 채로 죽고 싶더라
그 투명한 내 나이
스무 살에는

- 이외수, 그 투명한 내 나이 스무살에는
--------------------------------------------------


지난 한 해는 양희은 노래의 한 구절이 생각날 만큼 유난히 빠르게 지나갔습니다.
‘가을 지나면 어느새 겨울 지나고 다시 가을
날아만 가는 세월이 야속해 붙잡고 싶었지.
내 나이 마흔 살에는..’
나이 마흔은 화살처럼 시간이 흘러가는 시작점입니다.
바지 가랑이 잡고 싶지만 세월은 비정하게 매몰차게 달아납니다.

방금 보신각 타종 소리와 함께 저는 마흔의 문지방을 넘었습니다.
마흔…
나에게 마흔은 어떤 의미일까?
젊음이 지나고 나이 들어가는 초입(初入),
너무 늙지 않은 어떤 때,
인생의 허허로움을 느끼는 나이,
매운탕처럼 인생의 혜안이 걸죽하게 우러나오는데, 가장 정력적으로 일할 수 있는데, 쉽게 버려지는 나이,
사는 대로 생각하게 되면서 뒷방노인처럼 급속하게 조로해지는 나이,

마흔은 사십이 아닙니다.
마흔은 두 번째 스무살입니다.
마흔 살을 얼마 남겨두지 않은 시점에야 비로소 저는 노예처럼 바쁘게 살아 온 지난 날을 마감하고 ‘뭘 해야 먹고 살 수 있을까?’에서 벗어나 ‘내가 잘할 수 있는 가슴 뛰는 일은 무엇일까?’를 구체적으로 고민하기 시작했습니다.
투명한 제 나이 스무살이 다시 시작된 것입니다.
마흔은 급속하게 세상의 가치에 영합해가는 나이가 아니라 새롭게 자신에게 눈을 뜨는 젊음의 나이입니다.

공자선생은 마흔을 불혹이라 하여 “세상 일에 정신을 빼앗겨 갈팡질팡하거나 판단을 흐리는 일이 없게 되었다”고 하지만 이천오백년이나 더 지난 지금 마흔은 어느 때보다도 유혹이 많은 나이입니다.
이 유혹의 나이에 저는 새롭게 전열을 가다듬고, 배수진을 치고, 단호하게 저의 길을 찾아 나서고자 합니다.

마흔은 인생 제 2막의 장이 열리는 신새벽입니다.
새해 아침에 누에가 껍질을 벗듯이 새로운 나로 태어나기를 소망해봅니다.
‘더 늦기 전에 내 꿈을 찾아서 현실화하리라. 자랑스럽게 나를 칭찬하리라.’

새해에는 바위처럼 굳은 결심을 하지만 작심삼일로 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야 할 일이 많아서, 각별하지 않아서 그럴 수도 있습니다.
정해년에는 가슴에 사무치는 마음으로, 돌아올 곳 없는 가난한 마음으로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 한 가지에 올인해 보는 건 어떨까요?


--------------------------------------------------
안녕하십니까? 변화경영연구소 1기 연구원 오병곤입니다.
새해에 마음을 나누는 편지로 첫 인사 드립니다.
앞으로 매주 월요일에 ‘오병곤의 어느 멋진 날!’이라는 제목으로 여러분들을 찾아 뵙게 되었습니다.
저는 두 딸의 아빠이며, 평범한 직장인입니다.
저는 마음을 나누는 편지를 통해 자신에게 주어진 삶을 적극적으로 개척하는 평범한 사람들의 위대한 일상을 가슴 깊은 곳의 울컥거리는 소리로 들려 주고 싶습니다.
여러분들과 따뜻한 교감의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IP *.189.235.111

프로필 이미지
승완
2007.01.01 02:08:19 *.147.17.75
마흔은 불혹이 아니다. 미혹도 아니다. 유혹도 아니다.
마흔은 매혹이다. 사로 잡은 자신의 마음으로 자신의 길을 가는 나이다.
그래서, 마흔은 두번째 스무살이라는 말은 타당하다.

삼십대를 잘 보내지 않아, 매혹적인 존재가 되지 못한 사람에게
마흔은 미혹이다. 자신의 마음을 사로 잡지 못해
남에게 유혹 받는 위태로운 나이이다.
프로필 이미지
김미영
2007.01.01 18:06:27 *.210.111.168
2007년의 첫 날, 반갑습니다.
제가 얼마 전에 초고를 넘긴 책의 제목이 '마흔, 두 번째 스무 살(가제)'입니다.
이렇게 미리 광고를 해 주시니 놀랍고, 고맙고, 살짝 식은땀이 흐릅니다.
여성의 '새로운 나 찾기'를 주제로 마흔 전후의 몇몇 필자들이 함께 작업하는 중입니다.

'오병곤의 어느 멋진 날!' 새해의 첫 편지, 잘 읽었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96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열네 번째 이야기 제산 2019.09.30 793
995 [화요편지]8주차 미션보드_ 나만의 기쁨사전 만들기 아난다 2019.10.01 851
994 문 워크에 숨겨진 개똥철학 장재용 2019.10.02 821
993 [금욜편지 107- 책쓰기는 주제다] 수희향 2019.10.04 834
992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부자의 빵 VS 가난한 사람의 빵 file [2] 알로하 2019.10.07 1348
991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열다섯 번째 이야기 제산 2019.10.07 856
990 [화요편지]8주차 워크숍 _ 나만의 기쁨감각 되찾기 아난다 2019.10.08 871
989 목요편지 -카페 루 살로메 [3] 운제 2019.10.11 1079
988 [금욜편지 108- 책쓰기는 책읽기다- 시사편] [2] 수희향 2019.10.11 858
987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_부자의 빵 VS 가난한 사람의 빵 2 file [4] 알로하 2019.10.14 2306
986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열여섯 번째 이야기 [1] 제산 2019.10.14 886
985 [화요편지]9주차 미션보드 _ 내 안에서 보물찾기 아난다 2019.10.15 901
984 [수요편지] 전전하며 쓰다 장재용 2019.10.16 882
983 목요편지 - 가을의 한 복판에서 운제 2019.10.17 833
982 [금욜편지] 산사수행 중 수희향 2019.10.18 824
981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_와인의 나라, 와인을 먹는 사람들 file 알로하 2019.10.20 893
980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열일곱 번째 이야기 제산 2019.10.21 788
979 [화요편지]9주차 워크숍_내 안에서 보물찾기 file 아난다 2019.10.22 801
978 [수요편지] 불안의 짐짝들에게 장재용 2019.10.23 809
977 가을은 깊어가는데 운제 2019.10.25 8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