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한명석
  • 조회 수 3888
  • 댓글 수 3
  • 추천 수 0
2007년 1월 4일 00시 05분 등록

“모든 인간은 지상의 것을 빌려 쓰고 지나갈 뿐이다. 생에 대한 겸손함과 순결성의 힘만 있다면 누구도 결코 가난하지 않다. 지금 어려운 시대에 힘겹다고 느끼거나 자신이 무너졌다고 느끼는 사람들에게 말하고 싶다. 아직 남아있는, 어쩌면 자신이 이룬 몇 안 되는 진실의 알갱이인 최소한의 현실을 소중히 붙들고 빛이 나도록 닦는 일로부터 다시 시작하라고.”

-전경린의 ‘붉은 리본, 96쪽에서-



제 컴퓨터 앞에 붙여있는 글귀입니다. ‘앞만 보고 걸어왔는데, 칡덩굴처럼 얽혀있는’ 현실이 한탄스러울 때면 이 글귀를 읽습니다. 두 번 세 번 읽으면, 마음이 차분해집니다. 제가 좋아하는 작가 전경린이 제게 주술을 불어넣는가 봅니다. 이 주술의 힘이 당신에게도 유효했으면 좋겠습니다.


모든 생의 장면에 ‘나’가 있습니다. 부모와 자식, 돈과 명예 아무 것으로도 대체될 수 없는 유일함의 근원입니다. 우리는 평생에 걸쳐 ‘나’를 바로세우는 일에 애써야 할 것입니다. ‘나로서 존재하고자 하는 사람’은 ‘다시 시작’할 수 있습니다. ‘다시 시작’한다는 것의 결연함이 저를 뭉클하게 합니다.


당신에게 남은 최소의 알갱이는 무엇입니까. 당신이 끝내 포기할 수 없는 바로 그것! 그것은 나를 믿어주는 어머니의 기도일수도 있고, 마지막 남은 오기나 자존심일수도 있고, 기어이 이루고 싶은 풍광 한 자락일수도 있습니다. 몇 안되나마 알갱이가 남아있다는 것을 소중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겸손함과, 다시 시작할 수 있는 순결성이 있다면, 누구도 결코 가난하지 않습니다. 어떠세요? 새해에는 최소한의 현실을 붙들고 빛이 나도록 닦아보는 것이?



-------------------------------------------

안녕하세요? 목요일에 편지드리게 된 한명석<변화경영연구소 2기 연구원>입니다. 제 컬럼의 제목은 ‘어느 독창적인 시니어의 책읽기, 세상읽기’입니다. ‘마음을 나누는 편지’를 시작하면서 가장 걱정이 되는 것은, 제가 누군가를 가르치는 것처럼 보일지도 모른다는 사실입니다. 제가 책이나 거리에서 느낀 것을 전달하다 보면, 아무래도 어조가 강해질 때가 있을 것입니다. 그것은 제 느낌이 그만큼 강했다는 뜻이지, 제가 그 경지를 다 이루었다는 자만이 아님을 알아주시기 바랍니다. 저는 제 느낌, 제가 도달한 땅, 제 안의 소우주를 당신에게 보여드릴 수 있을 뿐입니다. 잠시 발걸음을 멈추고 읽어주신다면, 참 행복할 것입니다.
IP *.189.235.111

프로필 이미지
蘭이
2007.01.04 11:16:27 *.133.240.106
늘 좋은 글 감사합니다. 일년간 님의 향기로운 발걸음을 살금 살금 뒤쫓아보렵니다.^-^
프로필 이미지
요한
2007.01.09 02:49:51 *.253.83.80
첫 글의 주제가 참 좋네요. 드디어 시니어 르네상스의 개막을 알리는 나팔수가 나타났군요. 환영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홍석규
2007.04.27 08:07:29 *.187.1.230
와.. 정말 아름다운 글입니다... 언제 다시 보아도...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6 [월요편지 127] 나는 왜 그 말이 상처가 될까? [1] 습관의 완성 2022.11.06 1008
175 [수요편지] 휴식에 대해 불씨 2022.11.09 1070
174 모임에 대하여 어니언 2022.11.10 973
173 [라이프충전소] 보기싫은 것도 보는 능력, 자기객관화 [1] 김글리 2022.11.11 1200
172 화요편지 - 일생에 단 한 번, 그 날의 도시락 종종 2022.11.15 1020
171 [수요편지] 가을 하늘, 그리고 삶의 의미 [1] 불씨 2022.11.15 994
170 두 갈래 길, 하나의 길 [1] 어니언 2022.11.17 1087
169 [라이프충전소] 강의갈 때 꼭 여행음악을 듣는 이유 [2] 김글리 2022.11.18 1154
168 [월요편지 128] 회사 다니며 부업으로 쌀국수 매장 2년 해보니 깨달은 것 [3] 습관의 완성 2022.11.20 1038
167 [수요편지] 일상과 여행, 가을을 보내며 [1] 불씨 2022.11.23 1024
166 삶의 전략이되는 다정함 [3] 어니언 2022.11.24 1100
165 [라이프충전소] 실패는 없었다 [3] 김글리 2022.11.25 991
164 [월요편지 129] 퇴사 신호들 습관의 완성 2022.11.27 1174
163 [수요편지] 보왕삼매론 [1] 불씨 2022.11.30 1117
162 불확실성에 대처하는 확실한 자세 [1] 어니언 2022.12.01 904
161 [라이프충전소] 부모님을 모시고 첫 해외여행을 다녀왔습니다 [5] 김글리 2022.12.03 997
160 좋아함의 증거 [1] 어니언 2022.12.08 854
159 [라이프충전소] 결국 누가 글을 잘 쓰게 되는가 [1] 김글리 2022.12.08 981
158 [월요편지 130] 50대 이상 퇴직자들의 현실 [1] 습관의 완성 2022.12.11 1435
157 [수요편지] 허상과의 투쟁 [1] 불씨 2022.12.14 6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