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문요한
  • 조회 수 3684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07년 1월 16일 02시 19분 등록

1980년대 초, 위궤양의 원인이 세균(H. Pylori) 감염 때문일지 모른다는 생각에 따라 항생제 치료를 받았던 사람들은 의학계의 웃음거리가 되었다. 이를 발견한 사람은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인 베리 마셜 박사이다. 그는 자신의 관찰을 믿으려 하지 않았던 동료들의 태도에 절망한 나머지, 스스로 박테리아 농축 튜브를 집어삼킴으로써 그것이 위궤양의 원인이 된다는 것을 증명해보였다. 그로부터 10년이 지난 후, 의학계는 이 사실을 받아들이게 되었다.

- [치유] 중에서, 다비드 세르방-슈레베르 지음 -

-----------------------------------------------------------------

우리는 늘 크고 작은 설득의 상황에 부딪힙니다. 대개의 사람들은 남들에게 쉽게 설득 당한다고 생각하며 정작 누군가를 설득하는 것은 참으로 어렵다고 느낍니다. 그래서 ‘설득의 심리학’과 같은 책이 스테디셀러가 되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그 책을 보면 설득을 위한 6가지 핵심법칙이 나옵니다. 읽다보면 그동안 자신이 왜 그렇게 쉽게 설득 당했는지 절로 고개가 끄덕거려지며 각종 세일즈 기법들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합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아쉬움도 남습니다. 너무 비즈니스 관점에서 설득의 문제를 바라보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설득 당하는 것은 왠지 손해 보는 일이며 늘 주의를 기울여 방어해야 할 것 같은 경각심이 일어납니다. 설득은 과연 그런 것일까요?

다른 사람을 설득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일까요? 먼저 몇 가지 사례를 소개할까 합니다. 위에서 소개한 베리 마셜 박사는 동물실험에서 헬리코박터 균이 위궤양과 위염을 일으킨다는 결과를 얻어내지 못했습니다. 그는 결국 자신을 실험대상으로 하여 직접 박테리아 튜브를 삼키고 감염됨으로써 연관성을 스스로 입증해 보입니다. 19세기 초반까지만 해도 미국 사람들은 토마토에 독이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토마토 열매를 먹지 않았습니다. 이에 1831년 로버트 존슨이라는 사람은 대중들의 맹신을 깨뜨리기 위해 스스로 엄청난 양의 토마토를 먹음으로써 토마토에 독이 없음을 증명해보였습니다. 제가 아는 정신과 의사는 용어에서부터 풍기는 무시무시한 느낌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기피하는 ‘전기충격요법’의 안정성을 입증해보이기 위해 스스로 전기충격을 받은 바 있습니다.

사람들을 설득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스스로 증거가 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기꺼이 ‘자기’를 실험대상으로 삼아야합니다. '자기실험(self experimentation)’과‘자기증거(self evidence)’의 삶이야말로 ‘요령으로서의 설득’이 아니라 ‘영향력으로서의 설득’이며 '승패로서의 설득'이 아니라 'win-win으로서의 설득'이 될 것입니다. 당신의 동료에게, 당신의 고객에게, 당신의 가족에게 설득하고 싶은 것이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스스로가 먼저 설득의 증거가 되어보십시오.

- 2007. 1. 16 週 2회 '당신의 삶을 깨우는' 문요한의 Energy Plus [72호]-






IP *.189.235.111

프로필 이미지
기원
2007.01.16 14:32:49 *.240.191.100
이 홈피에 오면 스스로 증거가 되고 모범을 보여주는 분들이 많아서 좋아요.
요한님도 그렇게 스스로 보여주시고있지요.

주위에 이렇게 좋은 분들이 많다는 것에 감사하답니다.
이많은 분들로 부터 배울수있고 배움을 나눌 수있어서 이 홈피가 더욱 빛나고 좋습니다.
난 뭔가 나눌 수있는 것이 있어야하는데....
그냥 보고 좋아할 뿐...
요한님 좋은글 감사합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56 [금욜편지 96- 정해진 미래] 수희향 2019.07.12 841
1055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구름 속에서 탄생한 와인의 기적 3 file 알로하 2019.07.14 882
1054 [자유학년제 인문독서] 30. 독서는 모든 것의 기본이다 2 제산 2019.07.15 815
1053 [화요편지]2주차 워크숍_자극과 반응 사이 file 아난다 2019.07.16 867
1052 [수요편지] 세상의 가운데로 보낸 자기유배 [1] 장재용 2019.07.17 870
1051 목요편지 - 빼지마라 운제 2019.07.19 767
1050 [금욜편지 97- 내일을 바꾸는 오늘] 수희향 2019.07.19 884
1049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황제들이 사랑한 치즈 1 file 알로하 2019.07.21 1188
1048 철학은 처음이시죠? - 서양철학 [1] 제산 2019.07.23 851
1047 [화요편지] 내 인생이 서러운 100가지 이유 아난다 2019.07.23 877
1046 [수요편지] 잠들지 않는 유년 장재용 2019.07.25 829
1045 [금욜편지 98- 내가 만드는 나의 미래] 수희향 2019.07.26 778
1044 목요편지 _ 딸들과의 여행 운제 2019.07.26 809
1043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황제들이 사랑한 치즈 2 file 알로하 2019.07.28 1145
1042 철학은 처음이시죠? - 동양철학 제산 2019.07.28 919
1041 [화요편지]3주차 워크숍_내 안에서 가장 서럽게 울고 있는 그녀 file 아난다 2019.07.30 814
1040 [수요편지] 하루애愛 장재용 2019.07.31 829
1039 [금욜편지 99- 10년의 책읽기를 마치며] 수희향 2019.08.02 796
1038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한 여름에 즐기는 와인 file 알로하 2019.08.04 899
1037 여름 방학 - 교실 이데아 제산 2019.08.05 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