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한명석
  • 조회 수 3795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07년 1월 18일 03시 38분 등록
"나와 함께 나이들어가자!
가장 좋을 때는 아직 오지 않았다.
인생의 후반, 그것을 위해 인생의 초반이 존재하느니.”
-로버트 브라우닝의 시 중에서-


속담에 ‘늙은 쥐가 낫다’는 말이 있습니다. 젊은이의 열정보다는 체험에서 오는 연륜이 웃길이라는 얘기일 것입니다. 짧은 시간에 인생을 꿰뚫는 사람은 천재이지만, 보통 사람도 나이가 들면 약간의 지혜가 생기지요. 이제껏 살아오면서, 시행착오를 통해 배울 수 있었으니까요.


우리는 사회생활을 하기위해 오랜 준비를 거쳐야 했습니다. 대학을 마치고 취직을 하게 되면, 20대 후반에 이릅니다. 우여곡절 끝에 배우자를 만나 아이들 키우며 아파트라도 마련하게 되면 보통 마흔입니다. “제기랄, 벌써 마흔이야” 놀라서 부르짖으며 삶의 의미에 대해 곱씹어보게 됩니다. 언젠가 좀 더 충만한 시간이 있으려니 하며 살아왔는데, 그런 것은 없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는 것입니다.


문득 책읽기도 싫어지던 오후의 도서관, 한없이 예쁘지만 때로 도망치고 싶던 아이들, 이렇게 살아도 되는건가 싶은 끝없는 일상, TV 폐인이 되어버릴 것같은 무력감... 모두가 그 자체로 삶이었던 겁니다.


돌이켜보면, 우리는 처음 살아보는 것이었지요. 다소의 실수는 당연한 것입니다. 나는 감히 마흔까지의 삶을 ‘첫번 째 인생’이라고 부르고 싶습니다. 열정과 시행착오가 뒤엉킨 시간들, 너무 서툴러서 얼굴이 붉어지지만, 또 그렇기 때문에 아름다운 시간들. 이제 나는 생의 오후에 접어들었습니다. 더 이상 햇살은 뜨겁지 않아요. 하지만 해가 지려면 멀었습니다. 너무 따가워서 앞을 볼 수 없던 정오의 햇살이 사라지니, 오히려 가시거리가 길어졌어요. 음전하게 가라앉은 햇살이 안정감있고, 그냥 푸르기만 하던 나뭇잎들에 음영과 표정이 드리워져, 저마다의 빛깔을 띠게 되었습니다. 가을은 가을대로 아름다운 것입니다.


다행히도 평균수명이 두 배로 늘어났습니다. 원하기만 한다면 또 한 번의 삶을 살아도 좋을 시간이 확보된거지요. 콘베이어 벨트에서 규격화된 삶을 양산하던 산업화시대가 지나고, 창조적인 응용력이 대우받는 지식중심사회가 되었습니다. 2차세계대전 후 폭발적으로 늘어난 베이비붐 세대가 막 중년으로 접어들기 시작했습니다. 경제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영향력을 지닌, 첫 번째 고령층이지요. 최근 7080 가요의 리메이크 붐이 예사롭게 보이지 않습니다. 중년층의 시장성이 주목받기 시작한 것이 아닐까요. 우리는 어정쩡하게 낀세대가 아닌 신인류로서 우리의 정체성을 새롭게 규정해나갈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는 참으로 운이 좋은 세대입니다. ‘첫번 째 인생’에서 깨달은 것들을 가지고 ‘두번 째 인생’을 살 요건이 갖추어진 세대입니다. 봄과 여름의 아름다움은 결코 가을의 우아함을 따르지 못합니다. 가을의 자신감과 유연함은 가을이 되어야만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니까요. 나는 이제 나를 압니다. 나의 장점과 단점을 압니다. ‘두 번 째 인생’에서는 장점을 극대화하고 단점은 최소화할 것입니다. 어제보다 아름다운 사람이 될 것입니다.
IP *.189.235.111

프로필 이미지
나를바꾸자
2007.01.21 23:10:47 *.161.89.85
어제보다 아름다워지도록 열심히...여기서 많이 배우면서 열심히 살아보고싶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96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열네 번째 이야기 제산 2019.09.30 796
995 [화요편지]8주차 미션보드_ 나만의 기쁨사전 만들기 아난다 2019.10.01 863
994 문 워크에 숨겨진 개똥철학 장재용 2019.10.02 824
993 [금욜편지 107- 책쓰기는 주제다] 수희향 2019.10.04 843
992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부자의 빵 VS 가난한 사람의 빵 file [2] 알로하 2019.10.07 1370
991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열다섯 번째 이야기 제산 2019.10.07 863
990 [화요편지]8주차 워크숍 _ 나만의 기쁨감각 되찾기 아난다 2019.10.08 875
989 목요편지 -카페 루 살로메 [3] 운제 2019.10.11 1082
988 [금욜편지 108- 책쓰기는 책읽기다- 시사편] [2] 수희향 2019.10.11 873
987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_부자의 빵 VS 가난한 사람의 빵 2 file [4] 알로하 2019.10.14 2325
986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열여섯 번째 이야기 [1] 제산 2019.10.14 897
985 [화요편지]9주차 미션보드 _ 내 안에서 보물찾기 아난다 2019.10.15 904
984 [수요편지] 전전하며 쓰다 장재용 2019.10.16 891
983 목요편지 - 가을의 한 복판에서 운제 2019.10.17 836
982 [금욜편지] 산사수행 중 수희향 2019.10.18 831
981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_와인의 나라, 와인을 먹는 사람들 file 알로하 2019.10.20 899
980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열일곱 번째 이야기 제산 2019.10.21 798
979 [화요편지]9주차 워크숍_내 안에서 보물찾기 file 아난다 2019.10.22 814
978 [수요편지] 불안의 짐짝들에게 장재용 2019.10.23 815
977 가을은 깊어가는데 운제 2019.10.25 8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