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문요한
  • 조회 수 4826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07년 2월 27일 02시 29분 등록

레빈슨은 개인의 인생구조가 성인기를 통해 연속적으로 진화해간다고 보고, 이러한 과정에는 안정기(stable period)와 전환기(transitional period)가 번갈아 나타난다고 보았다. 6~7년 동안 지속되는 안정기에는 인생구조를 확립하여 풍부하고 안정된 생활을 영위하며, 4~5년 정도 지속되는 전환기에는 인생구조를 변화, 수정하여 다음 단계를 준비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의 인생구조가 아무리 적응적이라고 하더라도 그 유효기간은 최대 7년을 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인생구조는 ‘시찌푸스의 신화’처럼 결코 완성될 수 없는 것이다.

-청년기의 자기탐색(2002) 중에서, 김도환 ∙ 정태연 -
-------------------------------------------------------------------

예일 대학교 심리학 교수인 데니얼 레빈슨은 인생이란 ‘정착’과 ‘이주’라는 양면을 모토로 하고 있다고 보았습니다. 다시 말해, 안정과 변화의 싸이클이 반복되는 ‘역동성’이야말로 삶의 본질이라고 본 것입니다. 하지만 어떤 사람들의 삶은 싸이클이 아니라 직선으로만 이루어져있습니다. 이들은 두 부류입니다. 한 부류는 부평초처럼 일생을 뿌리 내리지 못한 채 살아갑니다. 또 한 부류는 정 반대로 한 곳에 너무 깊이 뿌리박혀 더 이상 움직이지 않으려합니다. 전자는 ‘닻 없는 사람’들이며, 후자는 ‘돛 없는 사람’입니다.

우리는 흔히 사람을 배에 비유하고 인생을 항해에 비유합니다. 변화하지 않는 사람을 가리켜 항해하지 않고 부두에 정박해 있는 배와 같다고 합니다. 배를 만든 목적은 무엇일까요? 항해일까요? 맞습니다. 하지만 좀 더 정확히 말하면 항해를 통해 원하는 곳에 도착하기 위함입니다. 그러므로 우리에게는 항해만큼이나 정박도 중요합니다. 돛과 닻이 모두 필요한 것입니다.

레빈슨 교수는 최대 정박기간을 7년이라고 보았습니다. 하지만 변화와 혁신이 일상의 풍경이 되어버린 오늘날에는 그 기간이 더 단축되었습니다. 그렇기에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는 ‘걸어 다니는 나무(walking tree)’가 되어야 합니다. 뿌리를 내리고 양분을 빨아올려 성장한 다음 다시 뿌리를 뽑아 새로운 양분이 있는 곳으로 이동해야 합니다. 만일 당신이 동물적인 속성이 강하다면 식물적인 ‘뿌리박음’에 더 충실해야 할 테고 반대로 식물적인 속성이 강한 사람이라면 동물적인 ‘이동하기’를 더 강화해야 할 것입니다. 그것이 변화의 시대를 살아가는 삶의 지혜입니다.

지금 당신은 뿌리를 내릴 때입니까? 뿌리를 뽑을 때입니까?

- 2007. 2. 27 週 2회 '당신의 삶을 깨우는' 문요한의 Energy Plus [84호]-





IP *.189.235.111

프로필 이미지
김나경
2007.02.27 16:41:41 *.230.138.109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닻을 올리고 항해를 시작했습니다. 내가 어디에 돛을 내릴런지 기대됩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16 마음에 드는 그림을 그리는 법 [1] 어니언 2021.06.17 1423
515 [용기충전소] 기회를 만드는 질문 하나 [1] 김글리 2021.06.18 1648
514 <알로하의 영어로 쓰는 나의 이야기> 험난한 글쓰기의 여정이 시작되다 알로하 2021.06.20 1627
513 <알로하의 영어로 쓰는 나의 이야기> 험난한 글쓰기의 여정이 시작되다 [2] 알로하 2021.06.20 1399
512 [월요편지 64] 시력을 점점 잃어간다는 것 [1] 습관의 완성 2021.06.20 1961
511 [화요편지]익숙한 것과 결별하기 전 반드시 챙겨야 할 것 [2] 아난다 2021.06.22 1642
510 틀려도 괜찮다 잘하고 있으니 너무 애쓰지 마라 [1] 장재용 2021.06.22 1258
509 불완전한 한 걸음 [1] 어니언 2021.06.24 1225
508 [용기충전소] 인생의 갈림길에 선 당신에게 [1] 김글리 2021.06.25 1338
507 <알로하의 영어로 쓰는 나의 이야기> 왜 나의 영작은 콩글리시가 같을까? [3] 알로하 2021.06.27 1533
506 [월요편지 65] 내 아이의 인성과 공부습관, 이것에 달려있다 [1] 습관의 완성 2021.06.27 1302
505 [화요편지]여한없이 사랑을 나누고 나면 저절로 알게 되는 것 [2] 아난다 2021.06.28 1534
504 세상이 낸 수수께끼 [2] 어니언 2021.07.01 1510
503 [용기충전소] 내가 살지 않은 삶 [3] 김글리 2021.07.02 1205
502 <알로하의 영어로 쓰는 나의 이야기> 시합은 나의 힘! [2] 알로하 2021.07.04 1267
501 [월요편지 66] 목표가 없으면 생기는 불행 [1] 습관의 완성 2021.07.04 1366
500 [화요편지]'어떻게 보여지는가?'와 '어떻게 느끼는가?' 아난다 2021.07.05 1299
499 아, 나의 지리산아, 나는 지금 너에게 못 간다 [1] 장재용 2021.07.06 1208
498 바라는 대로 이뤄지는 삶 어니언 2021.07.08 1147
497 [용기충전소] 자신을 비웃을 줄 아는 능력 [4] 김글리 2021.07.09 1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