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명석
- 조회 수 4420
- 댓글 수 3
- 추천 수 0
이런저런 일이 꼬이고 힘들 때, 당신은 어떻게 극복하시나요? 나는 나보다 힘들게 사는 사람들을 생각하며 스스로를 달랩니다. 황대권의 ‘야생초 편지’를 순전히 그런 의도로 구입했었지요. ‘구미 유학생 간첩사건’에 연루되어 13년 2개월을 복역한 이.
그런데 빅터 프랭클의 이야기를 읽으며 이제껏 내가 어렵다고 징징댄 것이 얼마나 부끄럽던지요. 흠뻑 빠져들어 읽었습니다. 빅터 프랭클, 1942년 9월 나치스에게 체포되어 3년 동안 강제수용소에서 생활한 정신의학자, 맞습니다. 암울한 수용소 생활을 하면서 부모형제와 아내를 모두 잃고도, 참혹한 환경에 대응하는 인간의 반응이 다르다는 것에 주목하여 평생을 인간의 존엄성과 삶의 의미를 밝히는 일에 헌신한 사람. 빅터 프랭클의 저서 “죽음의 수용소에서”를 직접 읽어도 좋고, 프랭클의 사상을 자기계발서에 접목한 알렉스 파타코스의 “의미있게 산다는 것”도 좋습니다.
프랭클은 말합니다. 삶은 주어진 조건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 하는 결정의 산물이라고. 수용소같은 극단상황에서도, 남을 위해 빵 한 조각을 줄 수 있는 것이 인간이라는 얘기지요.
“자극과 반응 사이에는 빈 공간이 있다.
그 공간에 우리의 반응을 선택하는 자유와 힘이 있다.
그 반응에 우리의 성장과 행복이 달려 있다.“
우리가 항상 인식을 하지는 못하지만, 의미는 언제 어디서나 현재의 모든 순간에 있다는 것이지요. 우리의 할 일은, 일상생활과 일에서 의미에 눈을 뜨고 발견하는 것이겠지요.
실패 좀 하면 어떻습니까, 인생은 성공만큼이나 실패로 점철될 수 있어요. 하지만 실패 속에서 중요한 의미를 발견할 수 있어야만 실패가 유용한 유산이 되겠지요.
무슨 일이건 인간관계건 끝장났다고 생각이 들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가 과정을 소중히 한다면 끝은 새로운 시작이 될 겁니다. 결국 프랭클이 말하는 것은 이겁니다.
“삶은 우리가 마지막 숨을 거두는 순간까지 의미가 있다. ”
그래도 유독 삶이 자기에게만 가혹하다는 생각이 든다면 메아리 얘기를 더 해 드릴게요.
아들과 아버지가 산길을 걷고 있다가 아들이 넘어져서 비명을 지릅니다. “아야야야야”
놀랍게도 산 속 어딘가에서 따라 합니다. “아야야야야”
아이가 신기해서 다시 외칩니다.
“난 널 존경한다!” “난 널 존경한다!”
“겁쟁이” “겁쟁이”
아버지가 웃으면서 말합니다.
“아들아, 잘 들어봐라
사람들은 이것을 메아리라고 부르지만 사실 이것이 인생이다. 이것은 우리가 말하고 행하는 모든 것을 돌려준다. 우리의 삶은 단지 우리가 하는 행동의 반영이다. 만일 네가 세상에서 좀더 사랑을 원한다면 네 마음 속에 더많은 사랑을 만들어라. 만일 너의 팀이 좀더 잘하기를 바라면 네 자신이 더 잘하려고 노력해라. 이 관계는 인생의 모든 부문에 적용된다. 인생은 우리가 준 모든 것을 돌려준다. 우리의 인생은 우연이 아니다. 인생은 우리의 반영이다.”
IP *.189.235.111
그런데 빅터 프랭클의 이야기를 읽으며 이제껏 내가 어렵다고 징징댄 것이 얼마나 부끄럽던지요. 흠뻑 빠져들어 읽었습니다. 빅터 프랭클, 1942년 9월 나치스에게 체포되어 3년 동안 강제수용소에서 생활한 정신의학자, 맞습니다. 암울한 수용소 생활을 하면서 부모형제와 아내를 모두 잃고도, 참혹한 환경에 대응하는 인간의 반응이 다르다는 것에 주목하여 평생을 인간의 존엄성과 삶의 의미를 밝히는 일에 헌신한 사람. 빅터 프랭클의 저서 “죽음의 수용소에서”를 직접 읽어도 좋고, 프랭클의 사상을 자기계발서에 접목한 알렉스 파타코스의 “의미있게 산다는 것”도 좋습니다.
프랭클은 말합니다. 삶은 주어진 조건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 하는 결정의 산물이라고. 수용소같은 극단상황에서도, 남을 위해 빵 한 조각을 줄 수 있는 것이 인간이라는 얘기지요.
“자극과 반응 사이에는 빈 공간이 있다.
그 공간에 우리의 반응을 선택하는 자유와 힘이 있다.
그 반응에 우리의 성장과 행복이 달려 있다.“
우리가 항상 인식을 하지는 못하지만, 의미는 언제 어디서나 현재의 모든 순간에 있다는 것이지요. 우리의 할 일은, 일상생활과 일에서 의미에 눈을 뜨고 발견하는 것이겠지요.
실패 좀 하면 어떻습니까, 인생은 성공만큼이나 실패로 점철될 수 있어요. 하지만 실패 속에서 중요한 의미를 발견할 수 있어야만 실패가 유용한 유산이 되겠지요.
무슨 일이건 인간관계건 끝장났다고 생각이 들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가 과정을 소중히 한다면 끝은 새로운 시작이 될 겁니다. 결국 프랭클이 말하는 것은 이겁니다.
“삶은 우리가 마지막 숨을 거두는 순간까지 의미가 있다. ”
그래도 유독 삶이 자기에게만 가혹하다는 생각이 든다면 메아리 얘기를 더 해 드릴게요.
아들과 아버지가 산길을 걷고 있다가 아들이 넘어져서 비명을 지릅니다. “아야야야야”
놀랍게도 산 속 어딘가에서 따라 합니다. “아야야야야”
아이가 신기해서 다시 외칩니다.
“난 널 존경한다!” “난 널 존경한다!”
“겁쟁이” “겁쟁이”
아버지가 웃으면서 말합니다.
“아들아, 잘 들어봐라
사람들은 이것을 메아리라고 부르지만 사실 이것이 인생이다. 이것은 우리가 말하고 행하는 모든 것을 돌려준다. 우리의 삶은 단지 우리가 하는 행동의 반영이다. 만일 네가 세상에서 좀더 사랑을 원한다면 네 마음 속에 더많은 사랑을 만들어라. 만일 너의 팀이 좀더 잘하기를 바라면 네 자신이 더 잘하려고 노력해라. 이 관계는 인생의 모든 부문에 적용된다. 인생은 우리가 준 모든 것을 돌려준다. 우리의 인생은 우연이 아니다. 인생은 우리의 반영이다.”
댓글
3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237 | 늘 나를 떨리게 하는 것은 사람이었습니다 | 구본형 | 2007.05.11 | 3582 |
236 | 詩로 읽는 봄 | 한명석 | 2007.05.10 | 3880 |
235 | 삶은 운명일까? 선택일까? | 문요한 | 2007.05.08 | 3410 |
234 | 같기道와 모순 [2] | 오병곤 | 2007.05.07 | 3441 |
233 | 그날 참 좋은 하루였습니다 | 구본형 | 2007.05.04 | 3882 |
232 | 다행이다 [2] | 한명석 | 2007.05.03 | 3242 |
231 | 마음을 살피는 또 하나의 마음 | 문요한 | 2007.05.01 | 3591 |
230 | 우울한 월요일이여, 안녕! | 오병곤 | 2007.04.30 | 3660 |
229 | 내 꽃도 한 번은 피리라 [1] | 구본형 | 2007.04.27 | 3451 |
228 | 모든 관계는 계속해서 변화한다 [2] | 한명석 | 2007.04.26 | 3444 |
227 | 로봇, 딜레마 그리고 융통성 [1] | 문요한 | 2007.04.24 | 3616 |
226 | 위기가 찾아올 때 대처하는 방법 [2] | 오병곤 | 2007.04.23 | 4221 |
225 | 가르친다는 것의 즐거움 그리고 지난함 [4] | 구본형 | 2007.04.20 | 3999 |
» | 삶이 힘겨울 때 읽으면 좋은 책 [3] | 한명석 | 2007.04.19 | 4420 |
223 | 몸만이 길이다. [1] | 문요한 | 2007.04.17 | 3472 |
222 | 행복은 행복한 순간들의 합이다 [1] | 오병곤 | 2007.04.16 | 3684 |
221 | 나는 일상에 대한 그리움으로 가득하고 [2] | 구본형 | 2007.04.13 | 3429 |
220 | 쾌활한 광기 [5] | 한명석 | 2007.04.12 | 3346 |
219 | 지구라는 우주선 | 문요한 | 2007.04.10 | 3442 |
218 | 그대 내게 희망을 주는 사람 | 오병곤 | 2007.04.08 | 459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