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문요한
  • 조회 수 3862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07년 7월 10일 15시 55분 등록

칠리소스에는 칠리가 1들어가면 토마토는 4가 들어간다.
그래도 이름은 ‘칠리소스’이다.
무엇이 나를 나라고 불리게 만들까?

- wony/침묵의 만화 골방환상곡 185화 ‘칠리소스’ 편에서-

--------------------------------------------------


자아는 복합적이고 다기능적입니다. 자아를 여러 가지로 나눌 수 있지만 사회적 관계에서 자아를 바라보면 ‘집단적 자아’‘독립적 자아’로 나눌 수 있습니다. 우리 안에 두 요소가 다 들어있는 셈이지요. 그런데 문화권마다 그 특성이 다릅니다. 아주 단순화시켜 말하면 미국인은 <강한 독립적 자아-약한 집단적 자아>, 일본인은 <강한 집단적 자아-약한 독립적 자아>, 한국인은 <강한 집단적 자아-강한 독립적 자아>를 지녔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한국인 내에서도 다시 이렇게 세분할 수 있겠지만 한국인의 이런 자아특성이야말로 21세기 커뮤니티 기반의 창조사회에서 유력한 강점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세상에 살아가기 위해서는 집단사회의 보편적 가치와 생각에 동조하는 집단적 자아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집단적 자아는 ‘우리’일 뿐, 나를 ‘나’라고 불러주는 것은 아닙니다. 역사학자 토인비는 "한 문명권의 흥망성쇠는 그 집단에 창조적 소수가 존재 하는가 아닌가에 달려 있다.”고 이야기한바 있습니다. 과연 집단에만 그럴까요? 한 개인의 흥망성쇠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말 그대로 독립적 자아가 마음의 중심에 별처럼 빛나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한번 곰곰이 생각해볼까요? 1/4 들어있는 칠리소스의 칠리처럼 나를 나라고 부를 수 있는 핵심은 무엇일까요? 바닷물을 썩지 않게 해 주는 3%의 소금처럼 집단 속에 힘없이 순응하지 않게 나를 지켜주는 것은 무엇일까요?

- 2007. 7. 10 週 2회 '당신의 삶을 깨우는' 문요한의 Energy Plus [117호]-





IP *.189.235.111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36 화요편지 - 오늘도 덕질로 대동단결! 종종 2022.06.07 647
4335 화요편지 - 생존을 넘어 진화하는, 냉면의 힘 종종 2022.07.12 700
4334 [내 삶의 단어장] 오늘도 내일도 제삿날 [2] 에움길~ 2023.06.12 709
4333 역할 실험 [1] 어니언 2022.08.04 712
4332 [수요편지] 똑똑함과 현명함 [1] 불씨 2023.11.15 717
4331 뭐든지는 아니어도 하고 싶은 것 정도는 할 수 있다는 마음 [2] 어니언 2023.11.23 721
4330 작아도 좋은 것이 있다면 [2] 어니언 2023.11.30 729
4329 목요편지 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 운제 2018.12.06 736
4328 [수요편지] 커뮤니케이션이 잘 되는 조직문화 불씨 2023.10.11 736
4327 목요편지 - 거짓말 [2] 운제 2019.03.15 738
4326 [늦은 월요 편지][내 삶의 단어장] 2호선, 그 가득하고도 텅빈 에움길~ 2023.09.19 738
4325 [월요편지-책과 함께] 인간에 대한 환멸 [1] 에움길~ 2023.10.30 743
4324 모자라는 즐거움 [2] -창- 2017.08.26 744
4323 목요편지 - 누군가에게 꽃이 되고 싶다 [3] 운제 2019.01.03 744
4322 [수요편지] 허상과의 투쟁 [1] 불씨 2022.12.14 744
4321 이상과 현실 [1] 어니언 2022.05.19 745
4320 65세, 경제적 문제없이 잘 살고자 한다면?(9편-노년의 일과 꿈) [4] 차칸양 2018.12.04 748
4319 가족처방전 – 가족은 어떻게 ‘배움의 공동체’가 되었나 [2] 제산 2018.09.10 749
4318 목요편지 - 어린시절 두 장면 운제 2018.10.11 749
4317 목요편지 : 가을바람이 분다 운제 2018.09.06 7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