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한명석
  • 조회 수 4091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07년 7월 19일 00시 13분 등록
제목을 보고 살짝 놀라셨나요? ^^ 시인 김선우의 산문집 제목입니다. 주로 외국 시에 붙여쓴 사랑론인데요, 이 제목은 파블로 네루다의 시에서 따왔군요.


맹랑한 자의식, 화려한 언어, 균형잡힌 사회의식을 두루 갖춘 김선우의 세 번째 산문집입니다. 첫 시집 ‘내 혀가 입 속에 갇혀 있길 거부한다면’에서 ‘몸의 언어’로 새 지평을 연 저자가 마음먹고 사랑에 포문을 열었군요.


그녀는 단언합니다. 호모 파베르, 호모 루덴스, 호모 사피엔스 등 인간을 정의하는 숱한 학명들이 있지만, 그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은 호모 에로스라구요. 사람은 사랑하고 사랑받기를 원하는 존재라는 거지요. 그게 전부라는 겁니다.


어차피 삶은 한바탕 난장이요, 내가 인지할 수 있는 단 한 번의 긴 숨이니 상처받을까봐 두려워 움츠리지 말고 맘껏 사랑하라고 권합니다. 어디서도 구걸해본 일 없는 이들이 사랑을 구걸하게 되고, 어디서도 복종해보지 않은 이들이 스스로 그대의 종이 되겠노라 뜨거운 입술로 노래하게 하는 놀라운 힘- ‘정상적인 사람에게 일어나는 비정상적인 주목의 상태’야말로 삶의 중심이라는거지요.


그러면서 김선우는 세상의 모든 사랑, 사랑의 단계와 오고감에 대해 언급하는데요, 가꾸고 변화시키지 못하면 사랑은 퇴색되고야 만다는 얘기도 빼놓지 않습니다. 더 이상 키워나가지 못하는 순간부터 사랑이 시들기 시작하는거지요. 사랑이 퇴색하여 더 이상 사랑하는 마음이 남아있지 않을 때는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묶어둔 감옥을 열어주라고 하네요. 다시는 사랑을 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 가여울 뿐, 이별은 괜찮다고 하면서요. 내가 성숙하는 만큼 성숙한 관계가 새로 다가올 것이니까요.


김선우의 연애는 한 이성과의 관계로 좁혀지지 않습니다. 사랑의 힘이 그 모든 세계의 상처들로 자신을 확장시키고, 자신을 끝없이 창조시키지 못한다면, 그 사랑은 동굴로 처박히게 될 거라고 말합니다. 칼 마르크스와 체 게바라를 사랑하고, 니체를 읽을 때마다 짜릿한 관음의 쾌감을 느끼며, 달라이 라마에게서 에로스를 느낀다는 김선우, 이 여름에 그녀의 열정을 훔쳐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휴가 떠나는 가방에 한 권 찔러넣으면 아주 어울릴 것같은 책입니다.



생텍쥐뻬리, “사랑이란 나의 안내로 그대가 그대 자신에게로 돌아가는 것”

IP *.189.235.111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16 [화요편지] 돈, 당신을 제대로 사랑할 수 있기까지 file 아난다 2020.05.26 1070
815 스피노자가 보우하는 월급쟁이 장재용 2020.05.26 1163
814 [용기충전소]실패를 장렬히(?) 무찌르는 법 김글리 2020.05.28 850
813 목요편지 - 자기답게 사는 법 운제 2020.05.28 848
812 [월요편지 10] 응, 괜찮아, 월급 받잖아 file 습관의 완성 2020.05.31 1039
811 [화요편지] 가난한 부모의 돈걱정 모르는 아이 file 아난다 2020.06.02 1402
810 월급쟁이는 무엇인가 장재용 2020.06.02 1094
809 [용기충전소] 실패가 두렵다면, 이곳으로 초대합니다! 김글리 2020.06.04 1107
808 통삼겹살 운제 2020.06.06 834
807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떠나간 춤은 또 다른 춤으로... file 알로하 2020.06.07 1136
806 [월요편지 11] 육아휴직을 앞 둔 직장 동료의 수줍은 고백 file 습관의 완성 2020.06.07 1147
805 [화요편지]소리없는 중독 file 아난다 2020.06.08 1145
804 월급쟁이 탁월함에 관하여 장재용 2020.06.09 1056
803 목요편지 - 참새 이야기 운제 2020.06.11 929
802 [용기충전소] 일상을 소비하는 새로운 방식 김글리 2020.06.12 952
801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벨리 댄스에 가장 적합한 몸은…? file [2] 알로하 2020.06.14 6138
800 [월요편지 12] 더럽게 힘든 인간관계, 조금 덜 힘들 수는 없을까? 습관의 완성 2020.06.14 1238
799 [화요편지] 화폐중독 치유 솔루션 file 아난다 2020.06.15 939
798 조이스와 수영의 6월 16일 file 장재용 2020.06.16 1197
797 목요편지 - 음악이야기 [1] 운제 2020.06.18 9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