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요한
- 조회 수 3771
- 댓글 수 0
- 추천 수 0
“우리가 삶의 문제들의 상징적 성격을 알지 못하고 또 그러한 문제들을 상징적 언어로 재해석 해내지 못한다면, 고의로 제 눈을 찔러 멀게 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 Carl Gustav Jung 1875~1961 -
--------------------------------------------------------- 우리에게도 잘 알려진 패션 디자이너 크리스챤 디오르(1905~1957)는 비료 공장을 운영하는 아버지에게서 태어났습니다. 그 비료 공장은 가족들에게 경제적 풍요를 주었지만 예민한 디오르에게는 깊은 상처와 수치심을 안겨주었습니다. 바람이 불면 비료공장의 거름냄새로 마을 전체가 뒤덮였기에 사람들은 “디오르 냄새가 난다”며 빈정거렸기 때문입니다. 디오르는 이 때문에 치욕스런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어머니처럼 꽃을 키우는 것에 맹목적으로 집착하였습니다. 이는 결국 2차대전의 상흔이 짙게 남은 프랑스를 화려한 꽃의 물결로 변모시키는 뉴룩new look 스타일을 창조하는 바탕이 되었습니다. 그 결과 “디오르”라는 이름은 악취의 대명사에서 향수와 패션의 대명사로 탈바꿈되었습니다.
지금은 정신과 의사가 되었지만 사실 청소년 시절의 저는 대인공포증을 포함한 몇 가지 정신적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심할 때는 낯선 사람과 마주치기가 힘들어 가게 근처를 몇 십번씩 배회하다가 들어가지도 못하고 그냥 온 적도 많았습니다. 저는 그런 소심한 성격의 자신이 너무 혐오스러웠습니다. 그래도 다행인 것은 체념하지 않고 그 한계를 조금씩 넓혀왔다는 점입니다. 그러한 과거가 있었기에 제 문제와 유사한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오면 더 잘 이해하고 도울 수 있습니다. 그토록 버리고 싶던 지난날의 고통이 지금은 누군가의 고통을 치유하는 약으로 바뀐 셈입니다.
자기 안에는 누구나 부끄러운 속성이 있고 삶 속에는 누구나 아픔과 고통의 과거가 있기 마련입니다. 그것을 버리지 못하고 금방 떨쳐버리지 못해 괴로울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진정한 연금술은 납이 금으로 바뀌는 것에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삶 속에서 일어납니다. 스스로 외면했던 ‘단점’과 ‘상처’을 껴안아 ‘강점’과 합치고 ‘비전’이라는 불을 때어 ‘노력’이라는 숨결을 불어넣을 때 ‘새 삶’이라는 보석이 만들어집니다.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연금술이 아니겠습니까? 자, 이제 당신의 약점, 상처, 고통을 보세요. 그것은 과연 당신의 삶에 어떤 의미와 상징을 띄고 있을까요?
- 2007. 7. 24 週 2회 '당신의 삶을 깨우는' 문요한의 Energy Plus [121호]-
---------------------------------------------
<정신경영 아카데미 프로그램 설명회 안내>
정신경영아카데미는 심층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통합정신훈련을 보급하는 정신향상 전문교육기관입니다. 프로그램을 소개하는 8월 설명회를 다음과 같이 갖을 예정입니다.* 일정 : 2007년 8월 5일(일요일) 오후 3시 00분 - 오후 6시
* 장소 : 정신경영 아카데미(청담역 8번 출구 우리들 병원 옆건물 2층)
* 신청 : 위 배너를 누르시고 아카데미 웹사이트로 이동하신 후 우측 공지사항란을 보시면 '8월 설명회 접수중'이라는 글을 열어보시면 소개되어 있습니다.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4117 | 사람은 아직 사람이 아니다 | 구본형 | 2007.06.22 | 3708 |
4116 | 어떤 일이 의미가 있을까 | 오병곤 | 2007.06.25 | 3800 |
4115 | 예측하고 행동하라 | 문요한 | 2007.06.26 | 3559 |
4114 | 혼자 보는 아름다움이 무슨 소용이 있어! | 한명석 | 2007.06.28 | 3678 |
4113 | 바쁨 사이의 텅 빈 공간 [3] | 구본형 | 2007.06.29 | 3682 |
4112 | 내 말에 힘이 실리려면 | 오병곤 | 2007.07.02 | 4261 |
4111 | 문제를 풀 수 있는 마스터키 | 문요한 | 2007.07.03 | 3714 |
4110 | 잘 노는 사람들 [6] | 한명석 | 2007.07.05 | 3541 |
4109 | 거리가 말을 걸어올 때 | 구본형 | 2007.07.06 | 3924 |
4108 | 산행단상(山行斷想) [2] | 오병곤 | 2007.07.09 | 3382 |
4107 | 무엇이 나를 나라고 부르게 할까? | 문요한 | 2007.07.10 | 4146 |
4106 | 어머니의 죄 [3] | 한명석 | 2007.07.12 | 3372 |
4105 | 특별한 계산법 [2] | 구본형 | 2007.07.13 | 3660 |
4104 | 지독히도 안 풀리는 날에는 [2] | 오병곤 | 2007.07.16 | 3753 |
4103 | 사랑할 때 느껴지는 두려움 | 문요한 | 2007.07.18 | 4208 |
4102 | 내 입에 들어온 설탕같은 키스들 | 한명석 | 2007.07.19 | 4380 |
4101 | 사람 나이 쉰 살 | 구본형 | 2007.07.20 | 4021 |
4100 | 다시 서정시(詩)를 쓸 수 있을까? | 오병곤 | 2007.07.22 | 3809 |
» | 우리는 삶의 연금술사 | 문요한 | 2007.07.24 | 3771 |
4098 | 정혜신의 발견 [3] | 한명석 | 2007.07.25 | 44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