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한명석
  • 조회 수 3201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07년 8월 1일 22시 41분 등록
강풀의 순정만화 3편 “그대를 사랑합니다”를 보다가 줄줄 울었습니다. 김만석 - 76세, 우유배달, 송씨 - 77세, 파지수거, 장군봉 - 79세, 주차관리... 내일 당장 죽어도 하나도 이상할 게 없는 나이에 처한 사람들의 ‘애틋한 마음’에 대한 만화인데요, 우리 모두 깊은 곳에 간직하고 있을 순정성을 이끌어내는 작가의 공감능력에 깜짝 놀랐습니다.


“니미 씨부럴”을 입에 달고사는, 목소리 크고 행동거칠지만, 전형적인 외강내유형인 김만석은 힘겹게 살아온 송씨에게 반응하고, 이름을 지어줍니다. 사랑하는 마음은 표현되어야 한다고, ‘당신을 사랑합니다’라고 말하라는 손녀딸에게 김만석이 하는 말,


“우리 나이엔 당신은 아내밖에 없어. 당신이란 말은 못 쓰지... 내 먼저간 당신에게 예의를 지켜야지”


그래서 송씨는 ‘그대’가 됩니다. 보청기를 안해서 정확하게 들리지는 않지만, 자신을 걱정해주는 것이 분명한 송씨 앞에서 그는 말합니다. “그대를 사랑합니다”


바로 그 순간, 못박힌듯 서 있는 김만석과 송씨의 배경에서 출근하던 남녀들이 날아오르며 춤을 춥니다. 내 마음도 따라서 날아오릅니다. 환희에 찬 교향곡이 들려오는 것같습니다. 한 컷의 만화가 이토록 많은 것을 말해주다니요.


만화라는 장르가 다른 어떤 것보다 효율적이라는 증거는 여기저기에서 볼 수 있습니다. 순정만화 1편에서 하경이 전 애인과 자주 가던 벤치에 앉아있는 장면, 어느날 그녀는 문득 깨닫습니다. 자기가 기다리는 것은 떠나간 연인이 아니고, 지금 다가오고 있는 사람이라는 사실을요. 이렇게 미묘한 감정이, 전 애인의 모습 한 컷, 조금씩 흐려지는 실루엣, 그리고 그 자리를 차지하는 새로운 연인의 모습으로 충분히 전달됩니다.


길고 지루한 설명과 교훈을 싫어하고, 짧고도 분명한 이미지를 좋아하는 청소년에게 만화가 참으로 유용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3편에서는 어르신들에게 어울리지 않는 표현의 간극이 더러 느껴지지만, 1편에서는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젊은이들의 정서와 언어로 진솔한 사랑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사랑의 교과서로 손색이 없습니다.


인물을 등장시키고 연결하는 능란한 기술, 적절한 비속어와 궁시렁거리는 속마음으로 표현되는 유머감각, 돌멩이 하나에도 역할을 부여하는 디테일, 무엇보다도 스토리텔링 능력이 뛰어납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강풀에게서 돋보이는 것은, 사람이 사람을 생각하는 진정성은 누구의 마음도 움직이며, 그렇게 마음이 전달되는 환희의 순간이 우리 삶의 알맹이인 것을 잘 알고있다는 사실입니다. 우리 모두 사람을 그리워한다, 마음은 표현되어야 한다, 진실은 힘이 세다, 강풀은 그런 순정함을 이끌어내는데 성공했습니다.


의례적이고 표피적인 만남, 상투적인 대화, 돌아서면 잊어버리는 허황한 얼굴에 지칠 때면, 순정만화를 읽어보기를 권합니다.
IP *.189.235.111

프로필 이미지
한명석
2007.08.02 01:02:34 *.209.97.152
지난 주에 이어, 오늘도 메일을 발송하는 중에 프로그램이 멈춰버려 앞부분에 받는 분들에게는 두번씩 발송이 되었을겁니다. 미안합니다. 요즘은 세 시간이 넘게 걸릴 때도 있기 때문에 다시 시도하고 자러갑니다. 멈추지 말아야 할텐데...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56 가족처방전 – ‘엄마의 글쓰기’ 동아리 file 제산 2018.06.18 804
4055 [금욜편지 66- 기질별 인생전환 로드맵- 6번 우유부단한 공동체수호자] file 수희향 2018.12.07 804
4054 [화요편지]3주차 워크숍_내 안에서 가장 서럽게 울고 있는 그녀 file 아난다 2019.07.30 804
4053 [일상에 스민 문학] 광안리에서 다가온 감사의 인사 정재엽 2018.06.27 805
4052 목요편지 _ 딸들과의 여행 운제 2019.07.26 805
4051 [금욜편지 92- 드라마와는 다른 현실속 관계] 수희향 2019.06.14 806
4050 목요편지 - 어머니의 자서전 [2] 운제 2018.04.19 807
4049 [금욜편지 75- 소세키의 그 후: 생존력을 기르는 생각하기] [2] 수희향 2019.02.08 807
4048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미지의 삶을 찾아서... file 알로하 2020.03.01 807
4047 [화요편지] 엄마, 굴레에서 꿈의 현장으로! 아난다 2020.03.03 807
4046 '갈등'은 꼭 필요하다 제산 2017.10.23 808
4045 [금욜편지 39- 신화속 휴먼유형- 헤라클레스형 1-자기고백] 수희향 2018.06.01 808
4044 [금욜편지 45- 신화속 휴먼유형- 안티고네형 2- 정의속에 박혀있는 완고함] 수희향 2018.07.13 808
4043 따로또같이 프로젝트 - 화요편지, 가족의 정의 [1] 종종 2022.05.03 808
4042 화요편지 - 덕질의 효용에 대한 고찰 1 - 덕질평행우주론 종종 2022.05.24 808
4041 겨울이 온다 [1] 어니언 2023.10.05 808
4040 [일상에 스민 문학] -샬롯 브론테 <제인에어> 정재엽 2018.05.30 809
4039 [일상에 스민 문학] 우리가 빚어내는 최고의 문학은- [5] 정재엽 2018.09.12 809
4038 [화요편지]9주차 워크숍_내 안에서 보물찾기 file 아난다 2019.10.22 809
4037 [수요편지] 가을, 그리고 마흔, 나를 사랑할 적기 [1] 불씨 2022.09.06 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