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오병곤
  • 조회 수 3192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07년 10월 29일 08시 42분 등록
아내가 3박 4일 동안 지리산을 다녀왔습니다. 목적은 포도단식을 통한 체질 개선과 혼자만의 시간 갖기. 그 동안 무척 가고 싶었던 모양이었는데 뒷바라지 신경 쓰지 말고 갔다 오라고 했습니다. 막상 갈 때가 되니 마음에 걸리는 게 있는 지 이것저것 챙겨주는 데 제대로 기억할 리가 있겠습니까? 이제 짧은 기간이나마 평소 한 몸 건사하기 힘든 제가 두 딸을 챙겨야 하는 막중한 임무가 주어졌습니다.

‘땡~’ 퇴근 시간이 되자마자 부랴부랴 전철을 타고 집으로 갔습니다. 압력밥솥에 밥을 하고 국을 끓이고 3분 카레를 만들어 아이들과 오순도순 식탁에 둘러 앉아 아빠가 모처럼 해주는 어설픈(?)밥을 먹었습니다. 막상 해먹으려고 하니 먹는 게 보통 성가신 게 아닙니다. 설거지를 하고 집안 청소를 하고 빨래를 걷고 나니 고단한 하루가 지나갑니다. 아이들을 재워 놓고 외로움을 달래려고 위스키 한잔 하고 잠을 청하는데 웬걸, 문풍지에 황소바람 들어오는 듯 휑합니다.

며칠 후, 아내가 오는 저녁에 비가 왔습니다. 아이들과 우산을 들고 전철역으로 마중을 나갔습니다. 가을 냄새 향긋한 국화 꽃 한 다발을 사고 ‘보고 싶었다’는 간단한 편지를 아이들과 하나씩 적었습니다. 아내는 관장을 해서 그런지 다소 기운이 없어 보였지만 우리를 보자마자 이내 싱그러운 미소를 지었습니다. 집에 와서 이곳 저곳을 살피더니 마음에 들지 않았는지 잔소리를 합니다.

“내가 없으니까 어때? 살만해?”
“아니…never”

아내의 빈자리가 유난히 크게 느껴진 한 주였습니다. 가까이 있을 때는 몰랐는데 옆에 없으니 허전합니다. 불편하고 가끔 서글프기도 합니다. 요즘 일이 잘 안 풀려서 가끔 화도 냈는데 괜히 그랬다는 생각이 듭니다. 사람은 없어 봐야 그 빈자리를 알게 되는 것 같습니다. 어떤 사람의 가치는 그 사람이 떠난 빈자리의 깊이와 넓이로 알 수 있습니다.

평소에 내 주위의 소중한 사람들을 더욱 사랑하고 살갑게 살아갑시다. 어느 노랫말처럼 있을 때 잘합시다. 후회하지 말고.

“나, 이번 주까지 포도단식 하려고 하는데 주말에 같이 할래?”
“헉, 나 배고픈 거 잘 못 참는 거 알잖아”

아직 저의 시련은 끝나지 않은 듯합니다.
IP *.189.235.111

프로필 이미지
누이
2007.10.29 10:38:51 *.75.15.205
아우님, 포도밥 해서 토끼들이랑 여우랑 맛나게 드시게나. 포도밥이 좋은 거여. 어째 입술에 침바르고 하는 말 같어. ㅋㅋ 그려. 있을 때 잘 하시게나. 멋진 그대덜. 덜. 덜 킁킁 이게 뭐야? 왠 깨볶는 냄새? ^-^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16 목요편지 - 빼앗긴 봄 [1] 운제 2020.03.06 819
4015 반지를 파괴하며 file 어니언 2023.07.27 819
4014 말하지 않는 대화의 기술 [3] -창- 2017.08.12 820
4013 [화요편지] 삶이 여성을 사랑하는 특별한 방식 [4] 아난다 2019.03.26 820
4012 목요편지 - 사막과 오아시스의 대화 [1] 운제 2019.04.18 820
4011 [금욜편지 90- 프로가 되고싶지 않은 사람들] [2] 수희향 2019.05.31 820
4010 목요편지 - 입춘 무렵 운제 2020.02.06 820
4009 [화요편지] 엄마, 굴레에서 꿈의 현장으로! 아난다 2020.03.03 820
4008 [라이프충전소] 우리 모두는 뭔가를 가지고 있다 [2] 김글리 2022.02.17 820
4007 휴가를 맞이하여 [2] 어니언 2022.07.28 820
4006 겨울이 온다 [1] 어니언 2023.10.05 820
4005 [화요편지] 그 때가 왔다는 신호! file [2] 아난다 2019.01.08 821
4004 [변화경영연구소]#따로또같이 월요편지 114_이번 역은 쉼표 역입니다 [1] 습관의 완성 2022.07.03 821
4003 [금욜편지 30- 1인회사 연구원 (여성편-기혼여성)] 수희향 2018.03.30 822
4002 여름 방학 - 교실 이데아 제산 2019.08.05 822
4001 사이공에 관하여 장재용 2019.09.25 822
4000 [금욜편지 123- 책쓰기에대한 이야기를 마치며] 수희향 2020.02.14 822
3999 (화요편지) 종종의 종종덕질 - 엄마, 여자, 사람, 그리고 나로 살고 싶은 당신에게 [2] 종종 2022.02.08 822
3998 Ready, Set, Go! [1] 어니언 2022.06.30 822
3997 [금욜편지 38- 신화속 휴먼유형-예고편] [2] 수희향 2018.05.25 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