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구본형
  • 조회 수 2887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07년 11월 30일 06시 38분 등록

책을 읽다보면 눈이 머물러 떠나지 못하는 대목이 있게 마련입니다. 그렇구나. 정말 그렇구나하는 마음의 소리가 들리는 곳에서 오래 서 있습니다. 그 장면들 중 하나를 클립해 두었습니다.

1973년 8월 어느 날, 3천명의 휴가객들이 대형호텔에서 이른 저녁시간을 즐기고 있었다. 저녁 8시 1분, 섬머랜드는 거대한 연기 기둥 속에 싸이기 시작했다. 8시 20분 현장에 도착한 BBC 카메라 팀은 이 아비규환의 장면을 카메라에 담기 시작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영국 최대의 화재 사건으로 기록된 이 날의 사건이 종료되었을 때, 최소한 51명이 사망하고 400 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다.

이 사건이 일어난 몇 년 후 조나단 사임 Jonathan Sime 이라는 심리학자는 화재당시 불타는 호텔의 내부에서 벌어졌던 일들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기 시작했다. 아비규환의 상황 속에서 사람들은 어떻게 행동했을까 ? 불길과 연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흩어져 혼자 출구를 찾는 강한 자들이 더 많이 살아남았을까 ? 그렇게 추측할 지 모른다.

그러나 사임의 연구 결과는 달랐다. 화재가 발생하자 가족 단위의 휴가객들은 엄청난 효율성으로 뭉치기 시작했다. 혼란의 와중에서도 서로를 잃지 않고 함께 도망치기 위해 사력을 다했다. 같이 온 사람들끼리의 당연한 행동이라고 생각할 지도 모르지만 그렇지 않았다. 가족들의 2/3는 함께 움직였지만 친구끼리 온 사람들은 불과 1/4만이 서로 찾았다. 화재 시점에서 서로 떨어져 있던 가족들은 혼란의 와중에서도 필사적으로 서로 찾았고 심지어는 출구의 반대편으로 가기도 했다. 어떤 희생이라도 각오했던 것이다. 사임은 이렇게 말한다.

“ 결과적으로 가망이 없는 상황, 완전한 패닉에 의해 심리적 결합의 붕괴가 일어난 상황에서도 절반의 사람들이 가족과 함께 탈출하는 데 성공했다.” 가족들의 마음 속에는 원시시대의 신뢰가 깃들어 있다. 그날 섬머랜드에 혼자 왔거나 친구끼리만 온 사람들이 더 많았더라면 사망자 숫자는 훨씬 많았을 것이다.

우리가 아버지이고 어머니이고 아들이고 딸이라는 것, 손자손녀이고 할아버지와 할머니라는 것, 그리고 형제이며 자매라는 뜻이 그런 것입니다. 때때로 가족이 짐이고 자유의 방해자이고 매일 만나야하는 적군이라는 생각이 들 때도 있지만 애증이 서로를 낳지 못하면 진정한 결합도 없을 것입니다. 가족은 대관령 황태 같은 것이 아닌지 모르겠군요. 얼었다 녹았다 하면서 추운 겨울을 나야 찌든 속을 풀어내는 깊은 맛을 지니게 되니까요.

오늘은 있던 약속 홀연히 다 깨 버리고, 가족과 함께 술 한 잔 하세요. 진짜 함께 마셔야할 사람을 오래 홀로 놔두지 마세요.
IP *.189.235.111

프로필 이미지
변.경.연 일동
2007.12.01 19:49:41 *.70.72.121
네~~~~~ 이제부터라도 혹은 앞으로는 더욱 명심 銘心 하겠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996 [금욜편지 49- 신화속 휴먼유형- 하데스형 2- 느긋함과 욕망사이] 수희향 2018.08.10 823
3995 [금욜편지 60- 기질별 인생전환 로드맵- 8번 골목대장- 처방전] 수희향 2018.10.26 824
3994 [자유학년제 인문독서] 16. 묵자 1 [2] 제산 2019.03.04 824
3993 [금욜편지 127- 헤라클레스가 에니어그램을 알았더라면- 하데스편] 수희향 2020.03.13 824
3992 기쁨에서 슬픔으로 [1] 어니언 2023.10.19 824
3991 '갈등'은 꼭 필요하다 제산 2017.10.23 825
3990 [일상에 스민 문학] -샬롯 브론테 <제인에어> 정재엽 2018.05.30 825
3989 [목요편지] - 아침에 도를 들으면 [1] 운제 2018.12.13 825
3988 차칸양의 마지막 마음편지 [10] 차칸양 2018.12.18 825
3987 문 워크에 숨겨진 개똥철학 장재용 2019.10.02 825
3986 [월요편지-책과 함께] 공공서비스 정신 [1] 에움길~ 2023.08.28 825
3985 [자유학년제 인문독서] 12. 식탁에서 시작하는 인문고전 [2] 제산 2019.01.06 826
3984 [화요편지] <아이를 기다리는 시간> 100배 활용 가이드 [1] 아난다 2019.06.18 826
3983 엄마가 글을 써야 하는 이유 [3] 제산 2017.08.28 827
3982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 [3] 운제 2018.09.13 827
3981 목요편지 - 나를 바꾼 한권의 책 [1] 운제 2018.10.04 827
3980 [수요편지] 가장 나다운 것 [1] 불씨 2022.04.19 827
3979 백스물네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딸의 편지 재키제동 2017.11.10 828
3978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마음의 문을 여는 빵 1 [1] 알로하 2019.06.02 828
3977 [수요편지] 잠들지 않는 유년 장재용 2019.07.25 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