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한명석
  • 조회 수 3003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07년 12월 6일 05시 09분 등록
뭐 대단하게 통계를 내본 것은 아니지만 같은 종種에 대한 직감상, 여자들은 관계에 대한 환상을 갖고 있는 수가 많습니다. 나와 완벽하게 어울리는 상대를 만나 완벽한 친밀감을 나누는 환상이지요. 로빈 노우드의 ‘너무 사랑하는 여자들’은 기능부전의 가정에서 자란 여성들이 관계에 집착하는 현상에 대해 기술하고 있지만, 여자들 대다수가 ‘너무 사랑하는’ 경향을 갖고 있다고 봅니다.

여자들이 남자들보다 관계지향적이라고 하네요. 남자들은 일, 취미, 스포츠, 심지어 性으로 관심이 분산되는데 여자들에게는 언제나 애정이 가장 중요한 문제인 것 같습니다. 살짝 자존심이 상하는 일이지요. ^^ 지금 이 순간에도 연인이나 남편의 모든 것을 파악하고 싶고, 모든 것을 독점하고 싶어 있지도 않은 적을 만들어 질투를 일삼는 분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모든 것을 알고 있고 모든 것을 독점한 관계가 과연 행복할까요? 유아시절 어머니와 가졌던 그 완벽한 일체감을 성인기에도 기대하는 것이 가능하긴 한 걸까요? 저는 ‘일심동체’란 없다!고 생각합니다. ‘나다움’과 ‘너다움’의 경계를 유지해야만 역설적으로 소통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성숙한 관계에는 역동성이 있습니다. 어느 한 쪽이 다른 쪽을 흡수하거나, 더 이상 새로울 것이 없는 관계는 시들기 시작합니다. 또 어떤 관계에서도 똑같은 농도의 감정이 여일하게 흐르는 것이 아닙니다. 늘 새로운 국면에서 서로에 대한 도전과 응전이 출렁대고 부딪치고 다시 조절되는 관계가 오래 갑니다. 한번 눈 맞았다고 혹은 결혼에 골인했다고, 저절로 굴러가는 것이 아니란 얘기지요.

그래서 人間입니다. 사.람.사.이. ‘일심동체’가 아닌 ‘적정한 거리’가 성숙한 관계의 요건이 되는거지요. 상대가 원하고 내가 원하는 최적의 거리를 산출하고 유지하고 만족하는 능력이 성숙한 사람의 요건이 되는거구요. 집착하는 것은 오히려 상대의 마음을 닫는 일이라는 것을 깨닫고, 다양한 ‘관계의 변주’를 즐기는 당신이 되기를 바랍니다. 물론 저도 그래야겠지요. ^^

당신을 결코 붙잡지 않음으로써 나는 당신을 꼭 붙든다. - 릴케


IP *.189.235.111

프로필 이미지
그냥 줌마
2007.12.06 17:06:01 *.233.240.194
넘 공감가는 칼럼 감사드려요.
나다움 과 너다움의 경계를 만들고 싶지 않았어요.
그야말로 부부는 일심동체이어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대부분의 줌마들이 그것에서 오는 공허함을 이기지 못해
방황하고 외로워 하고 그러지요.

제 맘을 사로잡은 글,,,, 명심하겠습니다.
나다움을 찾기 위한 지난한 도전이 계속 되고 있답니다.

매일 이곳에 와서 절 업그레이드 시키는 기분이 마구~~ 듭니다.

고맙습니다.. 변경연 여러분들....
프로필 이미지
한명석
2007.12.06 21:22:59 *.209.42.233
내 안에도 고스란히 남아있는 감정이라, 관련되는 이론에 접하면 더 재미있는 것 같아요. 이미 읽어보셨을지도 모르지만, '욕망의 힘'과 '자기보살핌'에서 저는 많은 도움을 받았어요.

전자에서는 여자들의 감정과잉과 부부간의 소통, 함정에 대해서,
후자에서는 '나다움'을 찾기 위해 나를 보살피는 세심한 팁에 대해
많은 참고가 되었지요.

잘 지내시지요? 따뜻한 연말연시 되시기 바랍니다. ^^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996 차칸양의 마지막 마음편지 [10] 차칸양 2018.12.18 827
3995 문 워크에 숨겨진 개똥철학 장재용 2019.10.02 827
3994 (화요편지) 종종의 종종덕질 - 엄마, 여자, 사람, 그리고 나로 살고 싶은 당신에게 [2] 종종 2022.02.08 827
3993 화요편지 - 덕질의 효용에 대한 고찰 1 - 덕질평행우주론 종종 2022.05.24 827
3992 [일상에 스민 문학] -샬롯 브론테 <제인에어> 정재엽 2018.05.30 828
3991 [자유학년제 인문독서] 16. 묵자 1 [2] 제산 2019.03.04 828
3990 [화요편지] <아이를 기다리는 시간> 100배 활용 가이드 [1] 아난다 2019.06.18 829
3989 [수요편지] 하루애愛 장재용 2019.07.31 829
3988 겨울이 온다 [1] 어니언 2023.10.05 829
3987 백스물네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딸의 편지 재키제동 2017.11.10 830
3986 [금욜편지 49- 신화속 휴먼유형- 하데스형 2- 느긋함과 욕망사이] 수희향 2018.08.10 830
3985 [자유학년제 인문독서] 12. 식탁에서 시작하는 인문고전 [2] 제산 2019.01.06 830
3984 기쁨에서 슬픔으로 [1] 어니언 2023.10.19 830
3983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이번 주 쉽니다 알로하 2019.12.01 831
3982 시작하다 = 지금을 살다 [1] 불씨 2022.03.02 831
3981 목요편지 - 나를 바꾼 한권의 책 [1] 운제 2018.10.04 832
3980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용과 함께 춤을... file 알로하 2020.03.08 832
3979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_이번 주 쉽니다 알로하 2020.03.15 832
3978 목요편지 - 사람 사이의 거리 [3] 운제 2018.06.07 833
3977 [금욜편지 73- 카잔차키스를 읽고- 나의 자유를 찾아서] [4] 수희향 2019.01.25 8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