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승완
- 조회 수 5326
- 댓글 수 1
- 추천 수 0
지난 11월 29일, 친구가 세상을 떠났습니다. 절친한 사이는 아니지만 20년 넘게 이어온 인연이니 보통 관계는 아니었습니다. 친구 아내에게 그가 마지막 숨을 거두던 시간을 듣고 헤아려보니, 그때 나는 법정 스님의 책 <맑고 향기롭게>를 읽고 있었습니다. 내가 책을 읽는 동안 이승에서의 한 인연이 끊어졌습니다.
11월 마지막 날 새벽에 장례식장에서 나오면서 나는 택시를 잡지 않았습니다. 오랜 만에 많이 마신 술을 깨고 싶은 마음에, 아니 어쩌면 술기운 때문에 걸었습니다. 신촌에서 충정로를 지나 어느 곳까지. 걷는 내내 어떤 질문이 나를 사로잡았습니다.
‘나는 누구인가? 왜 사는가?’
20대 초반 이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졌고, 나름대로 노력해서 찾은 답을 내 삶의 방향성으로 잡았습니다. 그리고 십여 년이 흐른 시점에 이 질문이 나를 찾아왔습니다. 사실 몇 년 전부터 스스로에게 이 질문을 했고, 나름의 모색을 통해 향후 10년의 삶의 방향을 잡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친구의 죽음과 함께 이 질문이 불현듯 나를 다시 사로잡았습니다. 존재의 의미가 흐릿해지고, 삶에 안개가 자욱해진 느낌입니다. 법정 스님은 “이런 원초적인 인간의 물음 앞에 서야 한다”고 하면서 이렇게 덧붙입니다.
“이때 인간은 비로소 고독을 느낀다. 이 고독은 보랏빛 노을 같은 감상이 아니다. 벗들과 떨어져 있기 때문에 오는 대중가요조의 외로움이 아니다. 발가벗은 자신과 마주 서 있는 데서 오는 전율 같은 것이다. 인간이 본래부터 지평선 위에 드리우고 있는 당당한 실존이다.”
이 고독은 ‘나에 대한 고독’입니다. 스님의 책에서 “이러한 고독은 절망과 동질의 것이다”라는 구절을 처음 봤을 때 이해가 되지 않았습니다. 불과 이틀 사이에 이 구절의 뜻을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자기 자신에 대한 자각에서 오는 절망은 결코 ‘죽음에 이르는 병’일 수 없다. 외부와의 관계에서 벗어난 순수한 자신에게 눈뜨는 계기다. 이때 비로소 자기의 분수와,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해서 결단하게 된다”는 말씀에서 한줄기 빛도 보았습니다.
다른 때보다 심적으로 힘들었던 것은 ‘나는 누구인가? 왜 사는가?’라는 질문에 또 하나의 질문이 더해졌기 때문입니다. “너는 네 세상 어디에 있느냐? 너에게 주어진 몇몇 해가 지나고 몇몇 날이 지났는데, 그래 너는 네 세상 어디쯤에 와 있느냐?”, 마르틴 부버가 던진 질문입니다. 법정 스님의 책에서 만난 이 질문은 새벽길을 걷는 내내 내 안에서 터질듯이 솟아올랐습니다. 이 질문은 이미 알고 있었고, 몇 년 전에 출간한 내 책에서 인용한 적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절절하게 다가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습니다. 법정 스님은 이 질문을 소개하며 말합니다.
“이 글을 눈으로만 스치고 지나치지 말고, 나직한 자신의 목소리로 또박또박 자신을 향해 소리내어 읽어 보라. 자기 자신에게 되묻는 이 물음을 통해서, 우리는 각자 지나온 세월의 무게와 빛깔을 얼마쯤은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때때로 이런 물음으로 자신의 삶을 들여다보아야 한다.”
20대에 삶의 방향성을 탐색할 때는 앞만 보았습니다. 미래를 창조하는 것을 현재의 과업으로 여겼습니다. 어려운 일이지만 초점은 분명했습니다. 이제는 과거와 미래가 같은 무게로 다가옵니다. 그 사이에서 성찰과 예감이 뒤섞인 혼돈 속에 나는 있는 듯합니다. ‘너는 네 세상 어디에 있는가?’, 스님은 이 질문을 두 번 더 제시하면서 스스로에게 계속 질문할 것을 권합니다.
“이와 같은 물음으로 인해 우리는 저마다 마음속 깊은 곳에서 울려오는 진정한 자신의 소리를 듣게 될 것이다. 그리고 삶의 가치와 무게를 어디에 두고 살아야 할 것인지도 함께 헤아리게 될 것이다.”
올 겨울, 내 화두는 정해졌습니다.
‘나는 누구인가? 왜 사는가? 너는 네 세상 어디에 있는가?’
법정(法頂) 저, 맑고 향기롭게, 조화로운삶, 2006년 5월
* 안내1
구본형 선생님의 신작 <구본형의 그리스인 이야기>가 12월 말경에 출간됩니다. 이 책은 서양 철학의 심장이자 인간 변화의 근원이 된 그리스 영웅들의 도전과 모험을 담고 있습니다. 출간 전 이벤트로 알라딘에서 ‘독자 북펀드’를 진행 중입니다. 북펀드에 참여하시면 판권에 이름을 넣고, 수익이 생기면 적립금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세요.
* 안내2
<1인 회사>의 저자 수희향이 1인 지식기업가로의 실행프로그램 "1만스쿨" 12월 모집중입니다. 기존의 이론이나 강연위주의 자기계발 프로그램들과는 달리 철저히 실행위주의 프로그램으로 한사람, 한사람 집중도를 높이기 위해 "3인의 소수정예"로 진행합니다.
관심있는 분들은 여기를 참조하시거나 http://www.bhgoo.com/2011/426069
다음 카페: http://cafe.daum.net/CoreMarket 를 방문해주세요.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557 |
선물 ![]() | 최우성 | 2012.12.31 | 5181 |
1556 | 사람은 해마다 새로 태어나 내가 된다 | 부지깽이 | 2012.12.28 | 5934 |
1555 | 우리가 잊고 사는 그 시간의 법칙 | 김용규 | 2012.12.27 | 4915 |
1554 | 시간이 지나가도록 길을 내주어라 | 문요한 | 2012.12.26 | 4356 |
1553 |
나의 진짜 이름은 무엇인가 ![]() | 승완 | 2012.12.25 | 4707 |
1552 | 송년회 [1] | 최우성 | 2012.12.23 | 6382 |
1551 | 삶을 위하여, 축배 [3] | 부지깽이 | 2012.12.21 | 7210 |
1550 | 다양성 결핍 사회 | 김용규 | 2012.12.20 | 4951 |
1549 | 호모 파베르 | 문요한 | 2012.12.19 | 6288 |
1548 |
입신(入神), 인간이 꿈꿀 수 있는 최고의 경지 ![]() | 승완 | 2012.12.18 | 4917 |
1547 |
그의 소원 ![]() | 최우성 | 2012.12.17 | 5345 |
1546 | 작은 것이 아름답다 [1] | 부지깽이 | 2012.12.14 | 5970 |
1545 | 여우숲이 기다리는 그 사람 | 김용규 | 2012.12.13 | 5586 |
1544 | 꿀벌에게 배운다 | 문요한 | 2012.12.12 | 5965 |
» |
올 겨울의 화두 ![]() | 승완 | 2012.12.11 | 5326 |
1542 |
그림 할머니 ![]() | 최우성 | 2012.12.09 | 5163 |
1541 | 민주사회에서 가장 두려운 일은 서서히 진행되는 노예화 | 부지깽이 | 2012.12.07 | 6610 |
1540 |
삶에서 불만할 것과 불만하지 않을 것을 구분한다는 것 ![]() | 김용규 | 2012.12.06 | 4569 |
1539 | 당신의 부족을 찾아라 | 문요한 | 2012.12.05 | 3506 |
1538 |
일상과 글, 그리고 마음 ![]() | 승완 | 2012.12.04 | 397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