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도윤
- 조회 수 4017
- 댓글 수 1
- 추천 수 0

"우리는 서로에게 빠져들 때만 인간이 된다." - 제레미 리프킨
우연히 황지우 시인의 시를 다시 읽었습니다.
"슬프다 / 내가 사랑했던 자리마다 / 모두 폐허다 / 나에게 왔던 사람들,
어딘가 몇 군데는 부서진 채 / 모두 떠났다
내 가슴속엔 언제나 부우옇게 / 바람에 의해 이동하는 사막이 있고 ;
뿌리 드러내고 쓰러져 있는 갈퀴나무, 그리고 / 말라 가는 죽은 짐승 귀에 모래 서걱거리는
어떤 연애로도 어떤 광기로도 / 이 무시무시한 곳에까지 함께 돌아오지는 / 못했다, (…)
아무도 사랑해 본 적이 없다는 거 ; / 언제 다시 올지 모를 이 세상을 지나가면서
내 뼈아픈 후회는 바로 그거다 (…)" *
'나'라는 것은 참 묘합니다. 내 자신이 나를 가장 잘 알아야 할 텐데, 진정 그래야 할 텐데, 사실은 잘 모릅니다. 좀 더 어릴 때엔 제 속에 내가 너무 많아서 옴짝달싹하지 못했습니다. 황지우의 시처럼 메마른 바람 부는 모래 사막이었나 봅니다. 나는 온통 나로 가득 차 있는데, 그 '나'라는 녀석은 빈약하기 짝이 없는 홑껍데기였습니다.
그런데 이제 시간이 조금 흐르고 나니, '나'라고 믿고 있는 좁은 자아를 떠나야 진정한 자신을 찾을 수 있다는 말의 뜻을 어렴풋이 알 것 같습니다. 버트런드 러셀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자아와 자아가 아닌 세계 사이의 대립은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이나 사물에 진정한 관심이 생기는 순간 사라져버린다. 이러한 관심을 갖게 된 사람은 자신이 당구공처럼 다른 존재와 충돌하는 것 말고는 아무런 관계를 맺을 수 없는 단단하고 고립된 존재가 아니라 마치 강물처럼 부드럽게 흘러가면서 다른 것들을 포용하는 삶의 일부라는 점을 깨닫게 된다.” **
삶에 명확한 정답은 없습니다. 그러나 한가지는 분명한 듯 합니다. 나를 떠나야 나를 찾을 수 있습니다. 진정한 자신을 찾기 위해선, 너라는 강을 , 우리라는 광장을, 사랑이라는 아픔의 숲을 건너야 합니다. 그렇게 다시 자신에게로 되돌아오는 긴 여정의 모험을 떠나야만 합니다.
오늘은 '나'라고 생각하는 좁은 자아의 스위치를 내려보세요. 그리고 주위를 한번 둘러 보세요. 가장 친한 사람들과 낯익은 일상의 풍경 속에 숨어 있는 새로움을 즐겨보세요. 그 미지의 세계로 한 발짝, 낯선 발걸음을 내디뎌보세요. 바로 이 곳이, 바로 당신이, 제가 살아 숨쉬는 이유입니다.
-------------------------------------------------
*황지우, 뼈아픈 후회 中
** 버트런드 러셀, 행복의 정복
(2008년 1월 24일, 네 번째 편지)
댓글
1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97 | 뜻하지 않는 곳에서 삶은 새로 시작한다 [2] | 문요한 | 2008.02.19 | 3294 |
396 | 삶에 온전히 참여하기 [3] | 박승오 | 2008.02.18 | 3049 |
395 | 태몽 혹은 인디언식 이름 [8] | 구본형 | 2008.02.15 | 4337 |
394 | 언덕 너머 작은 마을 [1] | 김도윤 | 2008.02.14 | 3346 |
393 | 꿈에 날개를 달아주는 상상의 기술 [2] | 문요한 | 2008.02.12 | 3405 |
392 | 아버지, 고양이 그리고 양말 한 켤레 | 박승오 | 2008.02.11 | 3931 |
391 | 슬피 운 사람이 더 기뻐할 것이다 [1] | 구본형 | 2008.02.08 | 3561 |
390 | 춤추는 별 [1] | 김도윤 | 2008.02.07 | 3414 |
389 | 남7 여3 | 문요한 | 2008.02.05 | 3329 |
388 | 신이 머무는 그 곳 | 박승오 | 2008.02.04 | 3624 |
387 | 아주 특별한 시작 [3] | 구본형 | 2008.02.01 | 3103 |
386 | 눈을 감다 | 김도윤 | 2008.01.31 | 3878 |
385 | 아하!신이 강림할 때 | 문요한 | 2008.01.29 | 3155 |
384 | 대한민국 20대, 자기에게 미쳐라 [2] | 박승오 | 2008.01.28 | 3114 |
383 | 밥이 있어야 삶이 즐거워집니다 | 구본형 | 2008.01.25 | 3693 |
» | 나를 떠나다 [1] | 김도윤 | 2008.01.24 | 4017 |
381 | 피해자가 되지 말고 해결자가 되라 | 문요한 | 2008.01.22 | 3284 |
380 | 숨이 멎을 것 같은 순간들 | 박승오 | 2008.01.21 | 4441 |
379 | 다섯 개의 액자와 두 개의 편지 [1] | 구본형 | 2008.01.18 | 3552 |
378 | 대학로 가는 길 [3] | 김도윤 | 2008.01.16 | 4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