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본형
- 조회 수 3693
- 댓글 수 0
- 추천 수 0
눈이 쏟아져 온 산이 이미 다 하얀데 또 눈이 내려 그 하얌을 더 합니다. 눈 내리는 날 산으로 가는 우리를 보고 할머니 한 분이 ‘그게 청춘’ 이라며 부러워합니다. 한참을 오르다 바위가 있고 바람이 불지 않는 나무 밑에 서서 눈 내리는 모습을 지켜보았습니다. 모든 소리가 침묵하고 시간은 멎은듯한데 눈만 소리 없이 쏟아집니다. 우리를 잊고 하나의 정물이 된 듯 눈 내리는 그림의 일부로 조용히 서 있었습니다.
등에 촉촉이 젖은 땀이 차겁게 느껴질 때 가지고 간 컵라면에 뜨거운 물을 가득 부었습니다. 아내와 함께 눈 내리는 산의 중턱에 서서 뜨거운 라면을 후후 불며 나누어 먹었습니다. 라면발이 입술을 쪽 통과하고 국물이 꿀꺽 목구멍을 넘어가니 비로소 죽은 듯이 멈춰선 풍경이 다시 살아납니다. 밥이 있어야 삶이 즐거워집니다. 라면 한 사발에 우리는 웃고 기뻐합니다.
관조하는 풍경만으로는 삶이 턱없이 모자라고 그 속에는 꿈틀거리며 움직이는 사람이 있어야 합니다. 그러니까 삶을 살아가는 그 사람이 없으면 삶의 모든 풍광은 죽은 것이지요. 산을 내려와 뜨거운 물에 목욕을 했습니다. 그리고 저녁 약속 장소로 나갔습니다. 반 년 만에 보는 후배 하나가 내게 이렇게 말합니다.
“선배님, 더 좋아 지셨어요. 얼굴에서 빛이 나네요.”
아주 예쁜 아부군요. 그 아부가 결심을 하게 합니다. 눈 내리는 날엔 산에 가리라. 오래 된 그녀와 함께 산에 가리라. 배낭 속에 뜨거운 물과 컵라면 하나를 넣고 하루 종일 기뻐하리라.
(며칠 전 산 속에 내린 눈은 날씨가 추워 아직 녹지 않았습니다. 아이젠 가지고 가세요)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97 | 뜻하지 않는 곳에서 삶은 새로 시작한다 [2] | 문요한 | 2008.02.19 | 3294 |
396 | 삶에 온전히 참여하기 [3] | 박승오 | 2008.02.18 | 3049 |
395 | 태몽 혹은 인디언식 이름 [8] | 구본형 | 2008.02.15 | 4337 |
394 | 언덕 너머 작은 마을 [1] | 김도윤 | 2008.02.14 | 3346 |
393 | 꿈에 날개를 달아주는 상상의 기술 [2] | 문요한 | 2008.02.12 | 3405 |
392 | 아버지, 고양이 그리고 양말 한 켤레 | 박승오 | 2008.02.11 | 3931 |
391 | 슬피 운 사람이 더 기뻐할 것이다 [1] | 구본형 | 2008.02.08 | 3561 |
390 | 춤추는 별 [1] | 김도윤 | 2008.02.07 | 3414 |
389 | 남7 여3 | 문요한 | 2008.02.05 | 3329 |
388 | 신이 머무는 그 곳 | 박승오 | 2008.02.04 | 3624 |
387 | 아주 특별한 시작 [3] | 구본형 | 2008.02.01 | 3103 |
386 | 눈을 감다 | 김도윤 | 2008.01.31 | 3879 |
385 | 아하!신이 강림할 때 | 문요한 | 2008.01.29 | 3155 |
384 | 대한민국 20대, 자기에게 미쳐라 [2] | 박승오 | 2008.01.28 | 3115 |
» | 밥이 있어야 삶이 즐거워집니다 | 구본형 | 2008.01.25 | 3693 |
382 | 나를 떠나다 [1] | 김도윤 | 2008.01.24 | 4018 |
381 | 피해자가 되지 말고 해결자가 되라 | 문요한 | 2008.01.22 | 3284 |
380 | 숨이 멎을 것 같은 순간들 | 박승오 | 2008.01.21 | 4441 |
379 | 다섯 개의 액자와 두 개의 편지 [1] | 구본형 | 2008.01.18 | 3552 |
378 | 대학로 가는 길 [3] | 김도윤 | 2008.01.16 | 4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