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도윤
  • 조회 수 3691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08년 2월 21일 08시 50분 등록




"여행이란 '여기 아닌 어딘가'로 가는 것이며, '어제 같지 않은 내일'을 확실하고도 안전하게 만날 수 있는 길이다." - 다치바나 다카시


새벽 3시 30분, 갑자기 잠을 깼습니다.

꿈 속에서 저는 5차원 공간의 형태를 만들고 있었습니다. 모든 것을 한데 섞어 접고 펼치고 묶고 나누었습니다. 그러다 무언가 멋진 형상이 꿈 속의 저를 관통하고 지나갔다. 깜짝 놀라서 눈을 떴습니다. 그러자 그 형상은 곧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렸습니다.

다시 잠들려 했으나 정신이 말똥말똥하여, 영 잠이 올 것 같지 않습니다. 책상에 앉아 작은 노트를 펼치고 이런 글을 적었습니다.

"나는 내가 걸은 모든 길들이다. 내가 본 모든 풍경들이다.
나는 내가 살아온 모든 날들이며, 내가 꿈꾼 모든 나날들이다."

*

'스트레인저 댄 픽션'(Stranger than Fiction)이란 영화를 보았습니다. 소설 속 주인공과 작가가 현실의 한 공간 속에서 살고 있다는 설정을 모티브로 한 영화입니다. 그러고 보니, 저 또한 픽션 속의 주인공이었습니다. 제가 상상한 것이 바로 제 현실이었습니다. 저는 자신과 세상이 함께 쓴 픽션의 주인공이었습니다. 아주 또렷하고 세밀하게 꿈꾸는 것이 바로 제 미래입니다.

그래서 꿈꾸며 살기로 했습니다. 꿈 꾼대로 살기로 했습니다. 저는 매일매일을 여행하듯, '여기가 어딘가'로 떠나며 살기로, '어제와 같지 않은 내일'을 힘껏 그려내며 살기로 했습니다.



(2008년 2월 21일, 여덟 번째 편지)


IP *.189.235.111

프로필 이미지
옹박
2008.02.21 09:54:32 *.218.203.245
그림 참 좋다. 정말로 형이 말한 5차원 공간 같네요. 저는 그림 잘 모르는데도 형 그림은 느낌이 살아있는 것 같아요.
스트레인저 댄 픽션. ㅎㅎㅎ 그 영화 무지 재미있죠. 웰 페렐의 어눌한 연기가 일품이었죠. 소설과 현실이 공존하는 세상. 그 놀라운 상상뒤에 이런 통찰이 숨어있었네요.
그나저나 중간에 왠 반말? ㅋㅋㅋ 일단 죽 써놓고 고쳤나봐. 저도 그래서 실수 많이 하게 되는 것 같아요. 지난번에 저는 로고를 두번 넣었어요. ㅋ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36 화요편지 - 오늘도 덕질로 대동단결! 종종 2022.06.07 646
4335 화요편지 - 생존을 넘어 진화하는, 냉면의 힘 종종 2022.07.12 698
4334 [내 삶의 단어장] 오늘도 내일도 제삿날 [2] 에움길~ 2023.06.12 703
4333 역할 실험 [1] 어니언 2022.08.04 710
4332 [수요편지] 똑똑함과 현명함 [1] 불씨 2023.11.15 710
4331 뭐든지는 아니어도 하고 싶은 것 정도는 할 수 있다는 마음 [2] 어니언 2023.11.23 715
4330 작아도 좋은 것이 있다면 [2] 어니언 2023.11.30 724
4329 [수요편지] 커뮤니케이션이 잘 되는 조직문화 불씨 2023.10.11 733
4328 [늦은 월요 편지][내 삶의 단어장] 2호선, 그 가득하고도 텅빈 에움길~ 2023.09.19 734
4327 목요편지 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 운제 2018.12.06 735
4326 목요편지 - 거짓말 [2] 운제 2019.03.15 737
4325 목요편지 - 누군가에게 꽃이 되고 싶다 [3] 운제 2019.01.03 741
4324 [수요편지] 허상과의 투쟁 [1] 불씨 2022.12.14 741
4323 [월요편지-책과 함께] 인간에 대한 환멸 [1] 에움길~ 2023.10.30 742
4322 모자라는 즐거움 [2] -창- 2017.08.26 744
4321 등 뒤로 문이 닫히면 새로운 문이 열린다 [3] 어니언 2023.12.28 744
4320 이상과 현실 [1] 어니언 2022.05.19 745
4319 65세, 경제적 문제없이 잘 살고자 한다면?(9편-노년의 일과 꿈) [4] 차칸양 2018.12.04 746
4318 두 번째라는 것 어니언 2023.08.03 746
4317 [수요편지] 장미꽃의 의미 [1] 불씨 2023.12.05 7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