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본형
- 조회 수 3467
- 댓글 수 0
- 추천 수 0
옛날에 아주 옛날에 지금의 소아시아 해변지역을 이오니아 지방이라 불렀습니다. 이 지방에는 여러 명의 철학자들이 살았습니다. 어떤 철학자는 만물의 근원을 물이라 하고 누구는 불이라 하고 또 누구는 공기라고 하였지요. 그들은 만물을 이루는 변하지 않는 기본 요소 즉 element 에 집착한 듯 보입니다. 서양 철학사는 바로 이 사람들로부터 시작합니다. 나는 궁금했습니다. 만물의 근원에 대한 그런 유치한 생각들이 뭐 그렇게 중요할까 ? 그러던 어느 날 아주 재미있는 점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오늘 날 화폐로 값을 치룰 수 있는 것은 모두 상품이 되었습니다. 아주 고약한 현상 중의 하나는 모든 것을 다 화폐의 액수로 표현할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즉 마음만 먹으면 다 상품화 할 수 있다는 생각이지요. 헤라클레이토스가 말한 ‘화폐가 모든 것을 말할 수 있다’ 라는 말은 바로 상품으로 거래될 수 있는 모든 것들의 불변의 요소는 돈이라는 뜻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만물의 근원은 돈’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이오니아 지방의 사람들은 이미 이 개념을 일상에 적용하여 기원전 6세기에 화폐를 주조해 썼습니다. 가죽신 한켤레와 빵 한 덩어리 칼 한자루가 가지고 있는 가치는 화폐라는 기본 '요소'에 의해 환산되었습니다. 물물교환의 시대에 무역 혁명이 이루어 진것이지요.
철학은 무용한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힘이 무척 센 것입니다. 생각의 힘이 이렇게 물질의 세계를 선도하기도 하니까요. 2500년도 더 된 ‘만물의 근원은 돈’ 이라는 생각은 오늘날의 자본주의와 시장경제 속에서 최전성기를 맞고 있는 듯합니다. 더욱 더 힘이 세질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어떤 사람들은 ‘만물의 근원은 돈’이라는 생각에 반발합니다. 그것 또한 철학의 힘입니다.
당신은 만물의 근원이 돈이라는 생각에 동의하시는지요 ? 아니면 당신이 생각하는 또 다른 만물의 근원이 있는지요? 있다면 그것은 무엇인지요 ?
* 공지사항 *
3월 22일 부터 24일 까지 2박 3일동안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 프로그램이 실시될 예정입니다. 참가를 원하는 분들은 지금 신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변화 경영연구소' 홈페이지 (www.bhgoo.com)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997 | 피해자가 되지 말고 해결자가 되라 | 문요한 | 2008.01.22 | 3286 |
3996 | 나를 떠나다 [1] | 김도윤 | 2008.01.24 | 4023 |
3995 | 밥이 있어야 삶이 즐거워집니다 | 구본형 | 2008.01.25 | 3697 |
3994 | 대한민국 20대, 자기에게 미쳐라 [2] | 박승오 | 2008.01.28 | 3119 |
3993 | 아하!신이 강림할 때 | 문요한 | 2008.01.29 | 3159 |
3992 | 눈을 감다 | 김도윤 | 2008.01.31 | 3883 |
3991 | 아주 특별한 시작 [3] | 구본형 | 2008.02.01 | 3108 |
3990 | 신이 머무는 그 곳 | 박승오 | 2008.02.04 | 3629 |
3989 | 남7 여3 | 문요한 | 2008.02.05 | 3334 |
3988 | 춤추는 별 [1] | 김도윤 | 2008.02.07 | 3419 |
3987 | 슬피 운 사람이 더 기뻐할 것이다 [1] | 구본형 | 2008.02.08 | 3566 |
3986 | 아버지, 고양이 그리고 양말 한 켤레 | 박승오 | 2008.02.11 | 3935 |
3985 | 꿈에 날개를 달아주는 상상의 기술 [2] | 문요한 | 2008.02.12 | 3409 |
3984 | 언덕 너머 작은 마을 [1] | 김도윤 | 2008.02.14 | 3350 |
3983 | 태몽 혹은 인디언식 이름 [8] | 구본형 | 2008.02.15 | 4343 |
3982 | 삶에 온전히 참여하기 [3] | 박승오 | 2008.02.18 | 3053 |
3981 | 뜻하지 않는 곳에서 삶은 새로 시작한다 [2] | 문요한 | 2008.02.19 | 3299 |
3980 | 스트레인저 댄 픽션 (Stranger than Fiction) [1] | 김도윤 | 2008.02.21 | 4020 |
» | 철학의 유용함 | 구본형 | 2008.02.22 | 3467 |
3978 | 설레고 싶어서 피어난 꽃 [2] | 박승오 | 2008.02.25 | 328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