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문요한
  • 조회 수 3265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08년 2월 26일 01시 35분 등록

“어려서부터 전 유난히 잔병치레가 많았어요. 그러다 열일곱 살에 맞은 정월대보름날이었어요. 갑자기 하늘에서 눈이 부시도록 하얀 별들이 쏟아졌어요. 그 별을 맞으면 크게 다칠 것 같아 개울 쪽으로 마구 도망을 가다가 그만 정신을 잃고 쓰러졌지요. 내 몸에 신이 내린 거예요.(중략) 무당은 하늘의 뜻을 땅에 전하고 사람의 말을 신령님께 전하는 이죠. 그래서 사람이면서 사람이 아니고 귀신이 아니면서 귀신이어야 하는 게 무당이에요. 또 굿은 인간과 신이 친구처럼 어우러져 울고 웃으면서 날이 새도록 엮어내는 큰 잔치예요. 그러다 보면 가슴에 맺힌 것들이 한없이 풀어지게 마련이거든요. 더러운 것, 힘든 것을 어루만져 주고 화합을 유도하지요.”

- 名巫, 김 금화 2007. 10. 30. 뉴스메이커와의 인터뷰 중에서 -
--------------------------------------------------

세습된 경우를 제외하고 무당의 삶을 간택 받은 사람은 어느 날부터 몸과 마음이 아프게 됩니다. 이를 흔히 ‘무병’이라고 합니다. 이때는 백약이 무효입니다. 최신 정신의학으로도 어찌하지 못할 때도 많거니와 아직까지 그 이유를 명확하게 밝혀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들 가운데는 결국 내림굿을 통해 신을 영접하여 무당이 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세상에서 가장 좁은 길인 시퍼런 작두 위를 걸어감으로써 신과 인간의 사이에 머무릅니다. 그럼으로써 자신의 고통에서 벗어남은 물론 사람들의 한과 상처를 씻어줍니다.

가혹한 운명을 타고난 몇몇 사람들의 이야기라 생각할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나 우리들의 인생 또한 크게 다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우리들의 삶에도 어느 순간 쏟아지는 북두칠성처럼 ‘부름calling'이 찾아옵니다. 물론 세상의 소리에 묻혀 잘 듣지 못하거나 예수를 부정한 베드로처럼 그 부름을 외면할 때도 있습니다. 하지만 언제까지 내면의 목소리를 부정할 수만은 없습니다. 몸과 마음이 아퍼오기 때문입니다.

즉, 그 ‘부름’은 불꽃같은 삶의 열정이나 동경으로 피어나기도 하지만 때로는 자기상실감, 신경증, 중년의 위기감 등 마음의 고통을 동반하며 찾아오기도 합니다. 그럴 때는 몸신을 영접하듯 내면의 목소리를 모셔야 합니다. 때로는 그 부름에 따라 새로운 길을 떠나는 것만이 유일한 해결인 경우도 있습니다. 그 길은 작두날처럼 세상에서 가장 비좁은 길이 될수도 있지만 마음의 앙금을 모두 풀어버리고 온전히 자기가 되는 신명의 길이 될 것입니다.

그러고보면 우리가 신념이라고 생각했던 것 역시 어쩌면 운명이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 2008. 2. 26 週 2회 '당신의 삶을 깨우는' 문요한의 Energy Plus [179호]-





< 알림 >
정신경영아카데미는 멘탈 코칭 및 통합정신훈련 교육기관입니다. 성장지향적 삶의 태도 형성, 긍정적 정신 함양, 헌신할 수 있는 생애목표 수립 등을 목표로 셀프리더십 주말핵심과정을 아래와 같이 개최합니다.

- 제 2기 셀프리더십 주말 핵심 프로그램 (총 10시간) -
: 1차 - 3월 9일(일) 전일, 2차 - 3월 21일(금) 저녁

* 프로그램의 세부적 내용이 궁금하신 분은 위 배너를 누르시고 아카데미 웹사이트 우측 공지사항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IP *.189.235.111

프로필 이미지
써니
2008.02.26 15:26:31 *.70.72.121
신명이란 신념(의지)과 운명(내면의 소리)의 상생과 화합의 울림/떨림 이 아닐까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936 [금욜편지 83- 인생최고전략 필살기] [4] 수희향 2019.04.05 838
3935 [금욜편지 84- 필살기 연마비법] [2] 수희향 2019.04.12 838
3934 숲에서 찾은 교훈 [1] 어니언 2022.02.24 838
3933 초등학교 후배들과 함께 한 하루 운제 2019.06.08 839
3932 캘리그라피를 배우며 차칸양 2018.06.19 840
3931 [자유학년제 인문독서] 20. 아빠와 함께 헌책방 나들이 [1] 제산 2019.04.01 840
3930 [자유학년제 인문독서] 29. 독서는 모든 것의 기본이다 1 제산 2019.07.08 840
3929 [자유학년제 인문독서] 13. 인문고전은 초등학교 때 [1] 제산 2019.01.14 841
3928 [수요편지] 그 날, 그녀 장재용 2019.07.10 841
3927 [금욜편지 96- 정해진 미래] 수희향 2019.07.12 841
3926 지금에 대한 기록 어니언 2023.09.21 841
3925 [금욜편지 126- 헤라클레스가 에니어그램을 알았더라면- 안티고네편] 수희향 2020.03.06 842
3924 최선의 어른 [2] 어니언 2023.01.05 842
3923 목요편지 - 세가지 착각 [3] 운제 2019.04.12 843
3922 [금욜편지 107- 책쓰기는 주제다] 수희향 2019.10.04 843
3921 [라이프충전소] 지금 어느 챕터에 와 있나요? [6] 김글리 2022.01.28 843
3920 [화요편지] 진짜 삶, 도대체 그게 뭔데? [3] 아난다 2019.01.29 844
3919 [자유학년제 인문독서] 18. 열하일기 1 [1] 제산 2019.03.18 844
3918 예지 쿠크츠카 장재용 2019.11.27 844
3917 [수요편지] 월급쟁이 사룡천하(四龍天下) 1 장재용 2020.02.12 8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