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본형
- 조회 수 3239
- 댓글 수 1
- 추천 수 0
여러분에게 보내는 금요 편지를 쓰다가 새벽에 한 통의 편지를 받았습니다. 갑자기 그 싱싱한 편지의 일부를 여러분에게 꼭 보여주어야 한다는 생각이 파도처럼 밀려듭니다. 그물에 갓 걸린 생선처럼 비늘 떨리는 펄펄 뛰는 생각 하나 즐겨 보세요.
***********************************************************
저는 지금 어떤 흥분을 가눌 수가 없어 이 글을 시작합니다. 마음은 차분하지만 내 가슴에 들끓는 아우성은 저 대양을 건너 지구 끝에라도 닿을 것 같습니다. 오늘 저는 책이 주는 '구원'에 이르고 싶은 욕망으로 몸이 답니다.
책의 숲을 뒤지며 정직한 한 작가를 파고 그 작가가 천착한 작가의 책을 파다 보면
‘세상이 열리는’ 경험을 하게 된다고 말한 죠셉 캠벨의 말에 한 치의 의심도 없습니다.
나도 책에서 짜릿한 순간을 문득문득 만납니다. 지속적으로, 몰입해서 방대한 책의 세계에 빠질 수만 있다면 구원은 여기 이 좁은 방에서도 이룰 수 있겠지요.......
하루종일 책상에 앉아있다가 조금 멀미가 나서 이 책 저 책 책꽂이를 뒤졌습니다. 읽고 싶어도 숙제 때문에 못읽는 책들은 마음에 닿는대로 한 권을 골라 침대에 던져둡니다. 그리고 이렇게 멀미가 날 때 휴식으로 읽는 것입니다.
한 가지 발견, '아, 나는 읽는 것이, 그리고 쓰는 것이 휴식이 된다고 믿는구나.' 이 책 저책 고르다 어느 책에서 니체를 발견했습니다....... 그러고 보니 니체 책을 한 권도 제대로 읽지 못했습니다. 니체를 알고 싶습니다. 그는 내가 불꽃같은 사랑에 빠질 수 있는 사람일 것만 같습니다. 내 안에 이렇게 많은 것들이 있고, 아우성을 치는데, 그동안 '진지하게, 오래' 바라봐 준 적이 없으니 말입니다...... 세상에 나가지 않아도 세상을 다 탐험할 수 있는 것, 탐험할 세상의 가장 큰 영토는 '나'라는 것, 이렇게 책을 읽는 것이 탐험이라는 것, 내가 앉은 이 방은 그저 방이 아니라는 것, 나를 어느 세상이든 데려가는 신비의 공간이라는 것, 내 방에 나는 '있으되 없다'는 것...
저는 감정이 늘 넘쳐서 탈입니다. 주체가 안될 때는 이렇게 내 마음이 닿을 누군가에게 글을 써야 하니까요. 그게 제 명상의 방법입니다. 이렇게 쓰다보면 어딘가에 닿고 나는 평안해지니까요.
댓글
1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417 | 당신도 'Late Bloomer'인가요? [2] | 문요한 | 2008.03.25 | 3445 |
416 | 길 위의 철학자 [3] | 박승오 | 2008.03.24 | 3775 |
415 | 작가는 인간에게 저항하는 동시에 그들과 함께한다 [2] | 구본형 | 2008.03.21 | 3175 |
414 | 창조적인 상상 | 김도윤 | 2008.03.20 | 3704 |
413 | 모든 문제에는 기회가 있다 [2] | 문요한 | 2008.03.18 | 3328 |
412 | 가장 친한 친구의 결혼식 | 박승오 | 2008.03.17 | 7373 |
411 | 알 수 없는 끌림 [1] | 구본형 | 2008.03.14 | 3397 |
410 | 문득, 눈 뜨다 | 김도윤 | 2008.03.13 | 3786 |
409 | 한달에 한번씩 뽕맞는 여인 [2] | 문요한 | 2008.03.11 | 3532 |
408 | 자아(self)라는 이름의 바다로 [2] | 박승오 | 2008.03.10 | 3504 |
» | 편지 속의 편지 [1] | 구본형 | 2008.03.07 | 3239 |
406 | 떨리는 눈빛 [2] | 김도윤 | 2008.03.06 | 3187 |
405 | 미래의 나와 동행하라! [1] | 문요한 | 2008.03.04 | 3363 |
404 | 춤추는 나침반 [1] | 박승오 | 2008.03.03 | 3564 |
403 | 우리가 처음 시작할 때 [3] | 구본형 | 2008.02.29 | 3434 |
402 | 최초의 이미지 | 김도윤 | 2008.02.28 | 3716 |
401 | 작두를 타라! [1] | 문요한 | 2008.02.26 | 3586 |
400 | 설레고 싶어서 피어난 꽃 [2] | 박승오 | 2008.02.25 | 3278 |
399 | 철학의 유용함 | 구본형 | 2008.02.22 | 3464 |
398 | 스트레인저 댄 픽션 (Stranger than Fiction) [1] | 김도윤 | 2008.02.21 | 4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