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요한
- 조회 수 3444
- 댓글 수 2
- 추천 수 0
“세상 사는 게 그런 것 아닌가. 얻어 터지고 깨지고 넘어지고 하다가 제자리를 찾는 게 인생 아닌가. 나도 그렇게 살았다. 힘들어도 그게 내 팔자려니 생각하면 참을성도 저절로 생긴다. (중략) 저기 우리 집 마당에 봄에는 개나리 목련 진달래가 피고 가을에는 서릿발 맞으며 국화가 핀다. 국화는 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하늘로 고개를 쳐들고 비바람이 불어도 참고 견디며 기다리다가 늦게 꽃을 피운다. 인생살이도 참고 가다가 보면 마구 휘둘리다가도 꽃이 필 때가 온다.”
- 장 사익의 2007. 12. 28. 언론 인터뷰 중에서 -
----------------------------------------------- 소리꾼 장 사익 선생이 가수가 된 때는 그의 나이 마흔 여섯입니다. 그의 노래는 구성지고 애달프기 짝이 없습니다. 피를 토하듯 운다는 두견새의 외침처럼 애간장을 녹입니다. 그러면서도 그 피멍을 씻어내는 힘과 신명을 줍니다. 가히 인생의 쓴 맛, 단 맛을 모두 경험하지 않은 사람이라면 흉내조차 낼 수 없는 음색입니다. 그가 만일, 그가 만일 젊어서부터 가수를 했다면 그런 음색이 나왔을까요?
돌아보면 저도 조금은 남들에 비해 늦었던 것 같습니다. 뒤늦게 사춘기를 앓았고, 대학은 2년을 더 다녔고, 결혼도 부모가 되는 것도 모두 늦었습니다. 그 시절 동안 꽃이 필 무렵이 되면 심난할 때가 많았습니다. 여기저기서 터져나오는 봄 꽃을 보면서 꽃망울 하나 맺어보지 못한 신세가 초라하다고 느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원하는 삶을 향해 나아가는 지금은 봄 역시 좋을 따름입니다. 생각해보면 원하는 삶으로의 선회도 결국 남보다 늦었기에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꽃은 꽃을 시기하지 않습니다. 봄에 피는 개나리가 가을에 피는 국화를 어디 시샘하던가요? 피어날 때가 언제인지를 알기에 자기 속도로 살아갈 뿐입니다. 봄에 피는 개나리가 아니라고 속상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아마 당신은 여름에 피는 접시꽃일 수도 있고, 가을에 피는 국화일수도 있고, 겨울에 피는 동백일 수도 있습니다.
아직 그대라는 이름으로 된 꽃망울을 맺어본 적이 없나요? 당신 역시 ‘late bloomer’ 로군요.
- 2008. 3. 25 週 2회 '당신의 삶을 깨우는' 문요한의 Energy Plus [187호]-
댓글
2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 | 당신도 'Late Bloomer'인가요? [2] | 문요한 | 2008.03.25 | 3444 |
416 | 길 위의 철학자 [3] | 박승오 | 2008.03.24 | 3775 |
415 | 작가는 인간에게 저항하는 동시에 그들과 함께한다 [2] | 구본형 | 2008.03.21 | 3175 |
414 | 창조적인 상상 | 김도윤 | 2008.03.20 | 3704 |
413 | 모든 문제에는 기회가 있다 [2] | 문요한 | 2008.03.18 | 3328 |
412 | 가장 친한 친구의 결혼식 | 박승오 | 2008.03.17 | 7372 |
411 | 알 수 없는 끌림 [1] | 구본형 | 2008.03.14 | 3397 |
410 | 문득, 눈 뜨다 | 김도윤 | 2008.03.13 | 3786 |
409 | 한달에 한번씩 뽕맞는 여인 [2] | 문요한 | 2008.03.11 | 3532 |
408 | 자아(self)라는 이름의 바다로 [2] | 박승오 | 2008.03.10 | 3503 |
407 | 편지 속의 편지 [1] | 구본형 | 2008.03.07 | 3239 |
406 | 떨리는 눈빛 [2] | 김도윤 | 2008.03.06 | 3187 |
405 | 미래의 나와 동행하라! [1] | 문요한 | 2008.03.04 | 3363 |
404 | 춤추는 나침반 [1] | 박승오 | 2008.03.03 | 3564 |
403 | 우리가 처음 시작할 때 [3] | 구본형 | 2008.02.29 | 3434 |
402 | 최초의 이미지 | 김도윤 | 2008.02.28 | 3716 |
401 | 작두를 타라! [1] | 문요한 | 2008.02.26 | 3586 |
400 | 설레고 싶어서 피어난 꽃 [2] | 박승오 | 2008.02.25 | 3278 |
399 | 철학의 유용함 | 구본형 | 2008.02.22 | 3464 |
398 | 스트레인저 댄 픽션 (Stranger than Fiction) [1] | 김도윤 | 2008.02.21 | 4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