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구본형
  • 조회 수 3704
  • 댓글 수 4
  • 추천 수 0
2008년 4월 18일 08시 54분 등록
산에 다녀왔습니다. 천지가 온통 꽃으로 가득합니다. 봄에 취해 넋 놓고 돌아다니다 집에 와 대문 앞에 서니 열쇠가 어디 갔는지 보이지 않습니다. 틀림없이 가지고 나왔다고 여겼는데 그냥 덜렁거리고 나온 모양입니다. 담을 넘었습니다. 몇 년 동안 해보지 않았던 월장입니다. 우리 집 개 돌구가 매우 이상한 눈으로 나를 쳐다봅니다. 아마 도둑 같은 주인이라 생각하는 듯 했습니다. 그 수상한 눈길에 씩 웃어 주었습니다. 문득 폴란드 시인인 쉼보르스카의 열쇠라는 시가 떠올랐습니다.


"열쇠가 갑자기 없어졌다.

어떻게 집에 들어갈까?

누군가 내 잃어버린 열쇠를 주어들고

이리저리 살펴보리라 -아무짝에도 소용없을 텐데.

걸어가다 그 쓸모없는 쇠붙이를

휙 던져버리는 게 고작이겠지.

너를 향한 내 애타는 감정에도

똑 같은 일이 발생한다면,

그건 이미 너와 나, 둘만의 문제가 아니다.

이 세상에서 하나의 ‘사랑’이 줄어드는 것이니. (하략)"


그렇습니다. 우리는 사랑을 포기해서는 안됩니다. 그것을 포기하는 순간 인류가 가진 가장 아름다운 사랑 이야기 하나가 사라지게 되는 것이니까요. 그러니 너와 나는 누구도 만들어 내지 못한 아름다운 이야기처럼 그렇게 사랑해야 합니다. 하나밖에 없는 열쇠와 자물쇠처럼. 그 사랑을 잃으면 서로에게 우리는 아무것도 아닌 것이 되고 마니까요. 아마 이 시를 잊지 말라고 나는 모처럼 담을 넘었나 봅니다.
IP *.189.235.111

프로필 이미지
옹박
2008.04.18 08:58:13 *.208.192.28
하하하~ 사부님. 담장을 넘어가시는 모습을 상상하며 웃다 뒤로 넘어갔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프로필 이미지
이은미
2008.04.18 10:38:09 *.128.30.50
어제 대문 앞에서 열쇠를 꺼내다가 놓치고 말았습니다.
순간 저 놈을 잃어버리면 어떻게 들어갈까? 하고 잠시 생각했었습니다.
다행히 담장을 넘진 않아도 됐습니다.
누군가 뒤에서 사부님 담장넘는걸 보았다면 뭐라 생각했을까요?
프로필 이미지
연미
2008.04.18 12:20:04 *.239.136.95
돌구의 눈빛이 자꾸 떠올라 웃음이 터졌습니다. 너무 만화같은 상상을 했나봐요...ㅋ
프로필 이미지
써니
2008.04.19 15:12:13 *.36.210.11
<너를 향한 내 애타는 감정에도 똑같은 일이 발생한다면 그건 이미 너와나, 둘만의 문제가 아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916 [수요편지] 월급쟁이 사룡천하(四龍天下) 1 장재용 2020.02.12 844
3915 삶의 가설과 검증 [1] 어니언 2022.05.12 844
3914 1인 기업가 재키의 마지막 마음편지 [10] 재키제동 2017.12.15 845
3913 [금욜편지 43- 신화속 휴먼유형- 헤라클레스형 5- Q & A] 수희향 2018.06.29 845
3912 상처받지 않고 나답게 사는 인생수업 [3] 운제 2018.07.05 845
3911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_마지막 편지 file [2] 알로하 2020.02.09 845
3910 화요편지 - 천천히 걷기 위한 여행 종종 2022.06.21 845
3909 나의 욕망에 솔직해지기 어니언 2022.06.23 845
3908 [일상에 스민 클래식] - 왼손의, 왼손에 의한, 왼손을 위한 [2] 정재엽 2018.03.14 846
3907 [자유학년제 인문독서 #06] 삼국유사 (2부) 제산 2018.07.30 846
3906 [금욜편지 54- 기질별 인생전환 로드맵- 3단계 통과의례] [4] 수희향 2018.09.14 846
3905 [금욜편지 74- 고민하는 힘- 생각과 잡념사이] [2] 수희향 2019.02.01 846
3904 [화요편지] '삶'이라는 당나귀를 지키는 지혜 file [3] 아난다 2019.04.09 846
3903 [수요편지] 월급쟁이 전체주의 장재용 2020.02.05 846
3902 [수요편지] 내가 묻고 한나 아렌트가 답한다. 장재용 2020.03.11 846
3901 일상에 스민 문학 - 마키아벨리 <군주론> 정재엽 2017.09.20 847
3900 5월의 맛, 고소함과 향내 가득한 아카시아꽃 튀김 file 차칸양 2018.05.22 847
3899 [금욜편지 114- 책쓰기는 자신과의 밀당이다] 수희향 2019.11.29 847
3898 [라이프충전소] 지금의 일이 내 길을 열어 주려면 [4] 김글리 2022.07.15 847
3897 검은 끝에서 생명이 가득한 자산으로 [1] 어니언 2022.10.20 8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