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승오
- 조회 수 3872
- 댓글 수 2
- 추천 수 0

선생님 댁에 백일홍과 금송(金松)을 심어 드렸습니다. 봄과 여름에는 백일홍의 붉은색의 꽃을, 가을과 겨울에는 금송의 푸른 잎과 눈꽃이 한가득 피게 될 것입니다. 앞을 지날 때마다 연구원들을 떠올려달라는 귀여운 들붙음입니다. 나무 아래에는 5년 후의 자신에게 쓴 편지들을 타임캡슐에 봉인하여 묻었습니다. 나무에 우리들의 사진이 새겨진 동판을 걸고, 그곳에 이렇게 적어두었습니다.
“이 나무 아래, 열세 명의 눈부신 꿈과 그것들을 세상으로 불러낸 한 사람의 아름다운 마음을 심습니다. 하루도 거르지 않고 자라는 이 나무처럼, 천천히 그러나 매일 그 꿈들을 키워가겠습니다. 사부님, 사랑합니다.”
나무를 심으려 할 때 문제가 생겼습니다. 정원에 자리가 부족하여 단풍나무 뒤에 조그만 금송을 묻었는데, 아무래도 햇빛이 가려 일조량이 부족할 듯 보였습니다. 연구원들의 꿈과 함께 자라날 이 나무가 행여 죽지는 않을지 걱정되었습니다. 그 때에 꿈벗이자 숲 생태 전문가인 용규형이 괜찮을 것이라 안심시켰습니다. 형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무는 빛을 향해 나아가기를 결코 포기하지 않아.”
그렇군요. 이 나무는 서서히 망설이듯 시작하겠지만 꾸준히 태양을 향해 가지를 뻗고 뻗어 끝내 스스로의 밝은 공간을 차지하고 말 것입니다. 신의 음성이 크게 들리는 바로 그 지점까지 말입니다. 그것이 모든 생명이 태어난 까닭이기 때문입니다.
댓글
2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457 | 약초는 밭에서 자라지 않는다 | 문요한 | 2008.06.03 | 3294 |
456 | 학교가 배워야 할 것 [7] | 박승오 | 2008.06.02 | 3676 |
455 | 자부심은 어디서 올까 ? | 구본형 | 2008.05.30 | 3698 |
454 | 어느새 날이 저무네 [1] | 김도윤 | 2008.05.29 | 3618 |
453 | 사랑은 진보입니다 | 문요한 | 2008.05.27 | 3471 |
452 | 불행해질 이유 | 박승오 | 2008.05.26 | 4256 |
451 | 어떤 편지 - E에게 [3] | 구본형 | 2008.05.23 | 4128 |
450 | 막다른 길의 끝에서 [1] | 김도윤 | 2008.05.22 | 3593 |
449 | 무엇이 마음의 눈을 뜨게 하는가 [1] | 문요한 | 2008.05.20 | 3455 |
448 | 어머니가 아들에게 [4] | 박승오 | 2008.05.19 | 4613 |
447 | 강연 예술 [1] | 구본형 | 2008.05.16 | 3284 |
446 | 꿈과 현실의 경계 [1] | 김도윤 | 2008.05.15 | 3425 |
445 | 나의 성장은 끝난 것일까? [2] | 문요한 | 2008.05.13 | 3755 |
444 | 불이 꺼지면 [3] | 박승오 | 2008.05.12 | 4300 |
443 | 그 작은 거미는 누구였을까 ? [4] | 구본형 | 2008.05.09 | 4260 |
442 | 세 개의 마음 풍경 | 김도윤 | 2008.05.08 | 3901 |
441 | 고통이 만들어준 새로운 삶 [1] | 문요한 | 2008.05.06 | 3286 |
» | 나무가 포기하지 않는 것 [2] | 박승오 | 2008.05.05 | 3872 |
439 | 시작하지 않았더라면 결코 알 수 없는 기쁨 하나 [1] | 구본형 | 2008.05.02 | 3275 |
438 | 아주 무서운 '습관' [1] | 김도윤 | 2008.05.01 | 34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