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도윤
- 조회 수 3905
- 댓글 수 0
- 추천 수 0
"걸음을 옮겨라. 샴스Shams를 향해 걸어라. / 두 다리가 점점 지쳐 무거워지면 / 그대의 날개가 펼쳐져 / 비상하는 순간이 올지니." - 루미, <너만의 신화를 펼쳐라Unfold Your Own Myth>
#1. 봄바람에 춤추듯

3기 연구원 수료식을 마쳤습니다. 드넓은 바다로 이어지는 강 끝에 선 듯 마음이 흔들렸습니다. 느닷없이 몰아치는 봄바람에 춤추는 푸른 잎들처럼 황망하게 마음이 뒤흔들렸습니다. 햇살이 좋은 봄날 오후, 1층 카페에 앉아 나부끼는 나뭇잎들을 보면서 자신을 돌아보았습니다. 알지도 못한 채 아는 척 한 것은 아닌지, 진심이 아니면서 짐짓 그런 척 한 것은 아닌지… 자신에게 가만히 물어봅니다.
#2. 사이사이 문화살롱

'사이사이 문화살롱'이란 재미있는 제목의 프로그램에 참가했습니다. 약 반 년 동안 매주 진행되는 워크샵을 통해 자신의 주제를 찾아 나가고, 팀 프로젝트를 통해 현실과 상상의 경계를 모색하게 됩니다. 첫번째 시간의 주제는 '느슨한 동기부여'입니다. 버려진 빈 상자 하나를 집어 들고, 종이, 풀, 가위, 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손과 마음이 가는 대로 무언가를 만드는 시간입니다.
무언가를 만들기 전에 잠시 책상을 빠져 나와, 낯선 동네를 한 바퀴 돌았습니다. 잠깐의 공간 탐험이 제 마음에 무언가 경쾌한 여운을 남겼습니다. 자리에 돌아온 저는 작은 상자에 그려진 그림을 자르고, 상자를 뒤집고, 테이프를 붙이고, 노끈으로 나무를 세웠습니다. 작품(?) 제목 그대로 테이프로 만든 런던 풍경입니다. 아주 유치하지만 즐겁습니다.
#3. 사람들이 그리는 풍경

지난 사진 수업 시간에 앙리 까르티에-브레송의 작품을 감상한 탓일까요? 자꾸 어떤 공간 속에서 사람들이 움직이면서 만들어내는 풍경에 마음이 다가갑니다. 미술관의 한 귀퉁이에 서서 이리저리 셔터를 눌러봅니다. 그 풍경 속에는 많은 사람들이 담기기도 하고, 한 두 명의 사람들이 드문드문 서있기도 합니다.
아주 당연한 일이지만 같은 장소임에도 같은 사진은 하나도 없습니다. 사진은 시간이 그려내는 이미지입니다. 빛과 움직임에 따라 무언가 미묘하게 바뀌어갑니다. 마치 우리를 무심히 스쳐가는 일상과도 같습니다. 그런데 그 순간의 풍경이 자꾸 저를 매혹합니다.
***
제 삶이 변화의 물결로 넘실댑니다. 여러 가지 프로젝트와 실험들이 저를 이리저리 두드려댑니다. 우선은 제가 다가온 이 우연의 고리들을 열심히 따라가보려 합니다. 힘껏 가다 보면 또 어딘가에서 새로운 문이 열리겠죠. 수료식을 하던 날, 사부님께선 건배를 제의하면서 이렇게 외치셨습니다. "자, 신화와 전설의 세계로!"
여러분도 자신만의 신화를 그려보세요. 그리고 그 풍경 속으로 힘찬 발걸음을 옮겨보세요. 데릭 월컷의 '사랑 뒤의 사랑'이라는 시의 한 구절을 끝으로 조금은 긴 오늘의 편지를 마칩니다.
그대가 무시한 자신의 모든 삶과
진정으로 그대를 아는 또 다른 자아를 위해
책꽂이에서 연애편지를 꺼내라.
사진과 절망의 글과
거울 속 그대의 모습일랑 지우고
다시 앉으라. 그리고 그대의 인생을 살라.
IP *.189.235.111
#1. 봄바람에 춤추듯

3기 연구원 수료식을 마쳤습니다. 드넓은 바다로 이어지는 강 끝에 선 듯 마음이 흔들렸습니다. 느닷없이 몰아치는 봄바람에 춤추는 푸른 잎들처럼 황망하게 마음이 뒤흔들렸습니다. 햇살이 좋은 봄날 오후, 1층 카페에 앉아 나부끼는 나뭇잎들을 보면서 자신을 돌아보았습니다. 알지도 못한 채 아는 척 한 것은 아닌지, 진심이 아니면서 짐짓 그런 척 한 것은 아닌지… 자신에게 가만히 물어봅니다.
#2. 사이사이 문화살롱

'사이사이 문화살롱'이란 재미있는 제목의 프로그램에 참가했습니다. 약 반 년 동안 매주 진행되는 워크샵을 통해 자신의 주제를 찾아 나가고, 팀 프로젝트를 통해 현실과 상상의 경계를 모색하게 됩니다. 첫번째 시간의 주제는 '느슨한 동기부여'입니다. 버려진 빈 상자 하나를 집어 들고, 종이, 풀, 가위, 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손과 마음이 가는 대로 무언가를 만드는 시간입니다.
무언가를 만들기 전에 잠시 책상을 빠져 나와, 낯선 동네를 한 바퀴 돌았습니다. 잠깐의 공간 탐험이 제 마음에 무언가 경쾌한 여운을 남겼습니다. 자리에 돌아온 저는 작은 상자에 그려진 그림을 자르고, 상자를 뒤집고, 테이프를 붙이고, 노끈으로 나무를 세웠습니다. 작품(?) 제목 그대로 테이프로 만든 런던 풍경입니다. 아주 유치하지만 즐겁습니다.
#3. 사람들이 그리는 풍경

지난 사진 수업 시간에 앙리 까르티에-브레송의 작품을 감상한 탓일까요? 자꾸 어떤 공간 속에서 사람들이 움직이면서 만들어내는 풍경에 마음이 다가갑니다. 미술관의 한 귀퉁이에 서서 이리저리 셔터를 눌러봅니다. 그 풍경 속에는 많은 사람들이 담기기도 하고, 한 두 명의 사람들이 드문드문 서있기도 합니다.
아주 당연한 일이지만 같은 장소임에도 같은 사진은 하나도 없습니다. 사진은 시간이 그려내는 이미지입니다. 빛과 움직임에 따라 무언가 미묘하게 바뀌어갑니다. 마치 우리를 무심히 스쳐가는 일상과도 같습니다. 그런데 그 순간의 풍경이 자꾸 저를 매혹합니다.
***
제 삶이 변화의 물결로 넘실댑니다. 여러 가지 프로젝트와 실험들이 저를 이리저리 두드려댑니다. 우선은 제가 다가온 이 우연의 고리들을 열심히 따라가보려 합니다. 힘껏 가다 보면 또 어딘가에서 새로운 문이 열리겠죠. 수료식을 하던 날, 사부님께선 건배를 제의하면서 이렇게 외치셨습니다. "자, 신화와 전설의 세계로!"
여러분도 자신만의 신화를 그려보세요. 그리고 그 풍경 속으로 힘찬 발걸음을 옮겨보세요. 데릭 월컷의 '사랑 뒤의 사랑'이라는 시의 한 구절을 끝으로 조금은 긴 오늘의 편지를 마칩니다.
그대가 무시한 자신의 모든 삶과
진정으로 그대를 아는 또 다른 자아를 위해
책꽂이에서 연애편지를 꺼내라.
사진과 절망의 글과
거울 속 그대의 모습일랑 지우고
다시 앉으라. 그리고 그대의 인생을 살라.
(2008년 5월 8일, 열아홉 번째 편지)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937 | 고통이 만들어준 새로운 삶 [1] | 문요한 | 2008.05.06 | 3290 |
» | 세 개의 마음 풍경 | 김도윤 | 2008.05.08 | 3905 |
3935 | 그 작은 거미는 누구였을까 ? [4] | 구본형 | 2008.05.09 | 4261 |
3934 | 불이 꺼지면 [3] | 박승오 | 2008.05.12 | 4304 |
3933 | 나의 성장은 끝난 것일까? [2] | 문요한 | 2008.05.13 | 3758 |
3932 | 꿈과 현실의 경계 [1] | 김도윤 | 2008.05.15 | 3429 |
3931 | 강연 예술 [1] | 구본형 | 2008.05.16 | 3288 |
3930 | 어머니가 아들에게 [4] | 박승오 | 2008.05.19 | 4617 |
3929 | 무엇이 마음의 눈을 뜨게 하는가 [1] | 문요한 | 2008.05.20 | 3458 |
3928 | 막다른 길의 끝에서 [1] | 김도윤 | 2008.05.22 | 3596 |
3927 | 어떤 편지 - E에게 [3] | 구본형 | 2008.05.23 | 4131 |
3926 | 불행해질 이유 | 박승오 | 2008.05.26 | 4259 |
3925 | 사랑은 진보입니다 | 문요한 | 2008.05.27 | 3474 |
3924 | 어느새 날이 저무네 [1] | 김도윤 | 2008.05.29 | 3623 |
3923 | 자부심은 어디서 올까 ? | 구본형 | 2008.05.30 | 3702 |
3922 | 학교가 배워야 할 것 [7] | 박승오 | 2008.06.02 | 3679 |
3921 | 약초는 밭에서 자라지 않는다 | 문요한 | 2008.06.03 | 3295 |
3920 | 새로운 삶으로의 여행 | 김도윤 | 2008.06.05 | 3387 |
3919 | 이 무내야 [3] | 구본형 | 2008.06.06 | 3618 |
3918 | 엄지의 가르침 [1] | 박승오 | 2008.06.09 | 37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