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구본형
  • 조회 수 3033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08년 5월 16일 07시 23분 등록

강연은 이제 저의 일과가 되었습니다. 처음 강연을 시작할 때의 장면이 떠오릅니다. 전날부터 불안하고 두렵더니 무대에 오르는 순간부터 나와의 싸움이 시작됩니다. 청중은 간 곳이 없고 준비한 것들을 뇌 속에서 논리적으로 무리 없이 쏟아내는 데만 급급합니다. 땀이 나고 어색한 몸놀림 손놀림이 불안해 보입니다. 그러나 거듭되면서 안정되어 갑니다. 어느 시점을 넘어서는 순간부터는 이내 물처럼 매끄러워 집니다.

그러나 자세히 보면 이때부터 어떤 매너리즘이 지배하는 듯합니다. 미리 준비해 간 나의 이야기만 강물처럼 쏟아 내고 나서 연단을 내려옵니다. 청중들은 훌륭한 강연이었다고 말하고 가지고 온 책에 사인을 해 달라고 합니다. 그러나 언젠가 부터 스스로 강연을 통해 흥분과 기쁨을 얻지 못하게 됩니다.

강연 역시 관성이 되고 언제 어디서나 전할 수 있는 레고 팩키지들이 됩니다. 강연이 일상이 되고 출근이 되고 관성이 될 때 가장 커다란 피해자는 나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흥분과 떨림이 사라졌기 때문입니다. 강연 역시 변화와 혁명이 필요한 때가 있게 마련입니다.

지금 내게 강연은 공연처럼 여겨집니다. 가기 전부터 마음이 뛰고 반드시 리허설을 해 봅니다. 청중을 만나는 순간 어울려 하나의 축제가 됩니다. 우리는 웃음을 나누고, 의미를 나누고, 감동을 나누고, 결심을 나눕니다.

종종 어떤 때는 청중이 벽으로 느껴지기도 합니다. 혹은 반응이 없는 허공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벽도 어느 부분에는 구멍이 뚫리고 이내 한 구석이 허물어져 맞은편에 앉아 있는 청중의 손을 잡아 볼 수 있게 됩니다. 허공에도 마치 항로와 같은 길이 생겨 어느 청중의 마음 한 자락을 잡게 됩니다. 이 때 기분이 날아 갈 듯합니다. 강연을 한 지 10년이 지나고 1300 번에 이르는 강연을 하고 난 다음에야 강연이 공연이 되었습니다.

땀이 진보를 만듭니다. 땀만이 해낼 수 있는 도약의 순간들을 거치지 않고는 깊은 것은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연구원들과 공부하고 놀면서 재주 있는 사람을 특히 아끼고 싶은 마음을 참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오래 동안 땀을 흘리지 못하는 사람은 크게 쓸 수 없습니다. 오래가는 사람이 결국 멀리 갑니다.

강연가로서 나는 이제 비로소 겨우 그 맛을 알게 되었습니다. 언젠가 춤추듯 강연을 하거나 시를 읊듯 강연을 하게 되길 바랍니다. 언젠가 침묵으로도 말할 수 있게 될까요 ? 그때는 아마 대중과 만나면서도 동시에 그 한 사람 한 사람과 연인처럼 만날 수 있는 때일 겁니다.

***************

* 변화경영연구소는 아름다운 5월 시축제를 열고 있습니다. 내 인생의 꽃같은 시를 올려 주세요. 그 시를 만나게 된 인연과 함께 홈페이지 (www.bhgoo.com)
'살다보면'에 올리시면 됩니다. 이미 올라온 많은 시들도 기쁘게 감상하세요.
IP *.189.235.111

프로필 이미지
정명윤
2008.05.16 11:07:52 *.199.250.121
침묵으로 말할때~~??? 저는 선생님의 얼굴을 뵌적은 없지만 책속에 사진으로 선생님의 얼굴을 떠올립니다. 언제부터인가 힘들고 내마음이 정신이 없을 때 선생님을 떠올리면 마음이 차분해 집니다. 왜일까요~~~? 저에세 침묵으로 말을 하기 때문 일까요....,아마 그런것 같아요...ㅎㅎ 이곳 멀리 제주도에 있는 저에게 말입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36 화요편지 - 오늘도 덕질로 대동단결! 종종 2022.06.07 646
4335 화요편지 - 생존을 넘어 진화하는, 냉면의 힘 종종 2022.07.12 698
4334 [내 삶의 단어장] 오늘도 내일도 제삿날 [2] 에움길~ 2023.06.12 704
4333 역할 실험 [1] 어니언 2022.08.04 710
4332 [수요편지] 똑똑함과 현명함 [1] 불씨 2023.11.15 710
4331 뭐든지는 아니어도 하고 싶은 것 정도는 할 수 있다는 마음 [2] 어니언 2023.11.23 716
4330 작아도 좋은 것이 있다면 [2] 어니언 2023.11.30 725
4329 [수요편지] 커뮤니케이션이 잘 되는 조직문화 불씨 2023.10.11 733
4328 목요편지 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 운제 2018.12.06 735
4327 [늦은 월요 편지][내 삶의 단어장] 2호선, 그 가득하고도 텅빈 에움길~ 2023.09.19 735
4326 목요편지 - 거짓말 [2] 운제 2019.03.15 737
4325 목요편지 - 누군가에게 꽃이 되고 싶다 [3] 운제 2019.01.03 741
4324 [수요편지] 허상과의 투쟁 [1] 불씨 2022.12.14 741
4323 [월요편지-책과 함께] 인간에 대한 환멸 [1] 에움길~ 2023.10.30 742
4322 모자라는 즐거움 [2] -창- 2017.08.26 744
4321 이상과 현실 [1] 어니언 2022.05.19 745
4320 [수요편지] 장미꽃의 의미 [1] 불씨 2023.12.05 746
4319 등 뒤로 문이 닫히면 새로운 문이 열린다 [3] 어니언 2023.12.28 746
4318 65세, 경제적 문제없이 잘 살고자 한다면?(9편-노년의 일과 꿈) [4] 차칸양 2018.12.04 747
4317 두 번째라는 것 어니언 2023.08.03 7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