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요한
- 조회 수 3454
- 댓글 수 1
- 추천 수 0
“나는 그 날의 악몽으로부터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지금 나는 사고 이전 보다 더 행복하고 차분해졌습니다. 모든 것을 더욱 세심하게 의식하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나는 또한 죽음을 더욱 잘 느끼게 되었습니다. 그날의 경험을 통해 죽음에 직면하고, 죽음을 극복하고, 죽음을 삶의 한 부분으로 받아들이는 법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비행기 추락사고 덕분에 나는 마지막 순간까지, 마지막 숨을 쉬게 될 때까지 삶에 대한 열정을 붙잡고 인생을 존중하며 살아갈 것입니다. (중략) 몸이 상처를 입지 않았다면, 나는 알지 못했을 것입니다. 절대로 내면 깊숙한 곳으로부터 나 자신을 알 수 없었을 거에요. 단지 겉으로 보이는 내 모습만을 알았을 것입니다. 그 사고 덕분에 나는 내 자신의 내면으로 추락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사고 덕분에 다시 날아오를 수 있었습니다.”
- 도서 [마음의 치유] 중에서, 조안느 드 몽티니의 사고 후일담 -
--------------------------------------------------1979년 3월 29일, 조안느 드 몽티니는 퀘벡에어 항공사의 F-27 비행기에 올라탔습니다. 비행기는 이륙한지 2분 후, 출발지점에서 4킬로미터 지점에서 폭발합니다. 그 순간 승객들은 둘로 쪼개진 비행기의 동체 밖으로 내동댕이쳐졌습니다. 이 사고로 열 일곱 명이 사망하고 일곱 명이 생존합니다. 그 중에 한명이 조안느 드 몽티니입니다. 하지만 그녀는 생명을 건진 댓가로 골반 뼈, 갈비뼈, 팔과 다리의 뼈가 잘게 부서지고 말았습니다. 의사들은 그녀가 평생 휠체어에서 일어나지 못할 것이라 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녀는 ‘당신이 고통을 느낀다면 그것은 치유되고 있다는 뜻입니다.’라는 재활치료의 오랜 격언을 되새기면서 훈련을 거듭합니다. 그리고 드디어 휠체어에서 일어나게 됩니다.
모든 것에는 틈이 있습니다. 빠져 나올 수 없을 것만 같은 불행에도 틈이 있고, 끊이지 않을 것 같은 고통도 잠시의 휴식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 틈을 통해 다가오는 작은 빛과 찰나의 안식은 삶의 희열을 선사합니다. 주위를 보면 죽음 직전의 경험이나 깊은 고통을 거치고나서 삶이 오히려 더 성장하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그 변화란 삶에서 정말 중요한 가치가 무엇인지에 대한 우선순위가 바뀌기 때문에 일어난 일입니다. 그리고 죽음은 늘 우리 곁에 함께 머무르고 있다는 삶의 유한성을 비로소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때로는 고통이 영혼의 눈을 뜨게 합니다. 때로는 불행이 새 세상의 안내자가 되어 우리를 이끌어 갑니다.
- 2008. 5. 20 '당신의 삶을 깨우는 목소리' 문요한의 Energy Plus [202호]-
<알림>
정신경영아카데미는 심층 셀프리더십, 이미지훈련, 멘탈 코칭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정신향상 전문교육기관입니다. 본 아카데미의 프로그램 안내를 위해 아래와 같이 두번에 나누어 설명회를 개최합니다.
* 설명회 하나 : 셀프리더십 & 멘탈 코칭 설명회 5월 24일(토요일) 오후 4시 ~ 6시
* 설명회 둘 : 이미지 훈련 프로그램 설명회 6월 14일(토요일) 오후 4시 ~6시
※ 세부내용 및 신청방법 : 위 배너를 눌러 아카데미 공지사항을 보시면 설명회 안내글이 나와 있습니다. 안내글 밑에 요청하는 네가지 정보를 덧글로 입력하시면 신청이 이루어집니다.
댓글
1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457 | 약초는 밭에서 자라지 않는다 | 문요한 | 2008.06.03 | 3294 |
456 | 학교가 배워야 할 것 [7] | 박승오 | 2008.06.02 | 3676 |
455 | 자부심은 어디서 올까 ? | 구본형 | 2008.05.30 | 3698 |
454 | 어느새 날이 저무네 [1] | 김도윤 | 2008.05.29 | 3618 |
453 | 사랑은 진보입니다 | 문요한 | 2008.05.27 | 3471 |
452 | 불행해질 이유 | 박승오 | 2008.05.26 | 4255 |
451 | 어떤 편지 - E에게 [3] | 구본형 | 2008.05.23 | 4128 |
450 | 막다른 길의 끝에서 [1] | 김도윤 | 2008.05.22 | 3592 |
» | 무엇이 마음의 눈을 뜨게 하는가 [1] | 문요한 | 2008.05.20 | 3454 |
448 | 어머니가 아들에게 [4] | 박승오 | 2008.05.19 | 4613 |
447 | 강연 예술 [1] | 구본형 | 2008.05.16 | 3284 |
446 | 꿈과 현실의 경계 [1] | 김도윤 | 2008.05.15 | 3425 |
445 | 나의 성장은 끝난 것일까? [2] | 문요한 | 2008.05.13 | 3755 |
444 | 불이 꺼지면 [3] | 박승오 | 2008.05.12 | 4300 |
443 | 그 작은 거미는 누구였을까 ? [4] | 구본형 | 2008.05.09 | 4260 |
442 | 세 개의 마음 풍경 | 김도윤 | 2008.05.08 | 3901 |
441 | 고통이 만들어준 새로운 삶 [1] | 문요한 | 2008.05.06 | 3286 |
440 | 나무가 포기하지 않는 것 [2] | 박승오 | 2008.05.05 | 3872 |
439 | 시작하지 않았더라면 결코 알 수 없는 기쁨 하나 [1] | 구본형 | 2008.05.02 | 3275 |
438 | 아주 무서운 '습관' [1] | 김도윤 | 2008.05.01 | 34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