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본형
- 조회 수 3619
- 댓글 수 3
- 추천 수 0
어제 아내와 함께 장을 보러 갔습니다. 우리는 아주 작은 일로 말다툼을 하게 되었습니다. 너무 사소한 일이라 무엇 때문에 다투게 되었는지는 벌써 잊었습니다. 어쨌든 아내가 제법 싸늘한 눈초리로 내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 당신은 생각이 없어. 이 무뇌야."
무네 ? 무내 ? 생각이 없어 ? 무뇌 ? 그러니까 뇌가 없다는 뜻이군요. 순간 깡통이 연상되며 황당했습니다. 그런데 어쩐 일인지 마음이 너무 편해지는거예요. 머릿속에 뇌가 텅빈 머리가 떠오르더군요. 내가 아내를 쳐다 보았을 때 이미 그녀는 웃고 있었습니다.
나는 뇌가 텅빈 그 빈 깡통에 파란 바닷물을 담아 보았습니다. 흰구름 한 조각 뜬 하늘도 담아 보았습니다. 설악산 계류를 담아 보기도 했지요. 만발한 들꽃을 가득 꽂아 두기도 했습니다. 뇌가 깡통처럼 비었다는 것이 이렇게 좋은 것이군요.
2년 전에 초아 선생이 나를 처음 보고 '일산'(日山)이라는 호를 써 주었습니다. '해 떠오르는 산'이라는 뜻인데, 뜻이 너무 커서 감히 자주 쓰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아내가 내게 딱 맞는 호를 하나 지어 주었습니다. 무뇌 구본형. 언젠가 죽을 때쯤이면 이 호가 '무내'로 바뀔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무내 - 내가 없다" 그렇게 생각하니 일산이라는 호도 맘에 듭니다. 내 앞이마가 좀 벗겨졌기 때문에 해 떠오르 듯 반짝일테니 일산이라는 호도 제격입니다. 일산이라는 호도 살면서 더 자주 써 보아야겠습니다.
여러분들은 호가 없는지요 ? 아내나 남편에게 하나 지어 달라고 그러세요. 아직 결혼하지 않았다면 스스로 지어야겠군요. 쉬는 날은 호 짓기 좋은 날입니다. 나는 오늘 내 빈 깡통 속에 흰 국화를 가득 담아두겠습니다. 오늘 내 머리는 상상할 수 있는 모든 꽃을 꽂을 수 있는 화분이군요.
댓글
3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937 | 고통이 만들어준 새로운 삶 [1] | 문요한 | 2008.05.06 | 3291 |
3936 | 세 개의 마음 풍경 | 김도윤 | 2008.05.08 | 3906 |
3935 | 그 작은 거미는 누구였을까 ? [4] | 구본형 | 2008.05.09 | 4263 |
3934 | 불이 꺼지면 [3] | 박승오 | 2008.05.12 | 4304 |
3933 | 나의 성장은 끝난 것일까? [2] | 문요한 | 2008.05.13 | 3758 |
3932 | 꿈과 현실의 경계 [1] | 김도윤 | 2008.05.15 | 3429 |
3931 | 강연 예술 [1] | 구본형 | 2008.05.16 | 3288 |
3930 | 어머니가 아들에게 [4] | 박승오 | 2008.05.19 | 4618 |
3929 | 무엇이 마음의 눈을 뜨게 하는가 [1] | 문요한 | 2008.05.20 | 3458 |
3928 | 막다른 길의 끝에서 [1] | 김도윤 | 2008.05.22 | 3597 |
3927 | 어떤 편지 - E에게 [3] | 구본형 | 2008.05.23 | 4133 |
3926 | 불행해질 이유 | 박승오 | 2008.05.26 | 4260 |
3925 | 사랑은 진보입니다 | 문요한 | 2008.05.27 | 3475 |
3924 | 어느새 날이 저무네 [1] | 김도윤 | 2008.05.29 | 3623 |
3923 | 자부심은 어디서 올까 ? | 구본형 | 2008.05.30 | 3703 |
3922 | 학교가 배워야 할 것 [7] | 박승오 | 2008.06.02 | 3679 |
3921 | 약초는 밭에서 자라지 않는다 | 문요한 | 2008.06.03 | 3297 |
3920 | 새로운 삶으로의 여행 | 김도윤 | 2008.06.05 | 3388 |
» | 이 무내야 [3] | 구본형 | 2008.06.06 | 3619 |
3918 | 엄지의 가르침 [1] | 박승오 | 2008.06.09 | 375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