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박승오
  • 조회 수 3383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08년 7월 14일 03시 11분 등록

나는 그 누구와도 싸우지 않았노라.
싸울 만한 가치가 있는 상대가 없었기에.
자연을 사랑했고, 자연 다음으로는 예술을 사랑했다.
나는 삶의 모닥불 앞에서 두 손을 쬐었다.
이제 그 불길 가라앉으니, 나 떠날 준비가 되었노라.

- 월터 새비지 랜더, <죽음을 앞둔 어느 노철학자의 말>

얼마 전 어머니께서 가져다 주신 베트남 쌈이 아주 맛있었기에, 한번 스스로 만들어 보기로 했습니다. 저녁때 있을 친구들과의 모임에 가져나갈 요량으로 준비하기 시작했습니다. 집 근처의 재래시장으로 향했지요. 초록색과 붉은색의 야채들과 알록달록한 주황색의 맛살, 하얀 계란과 닭 가슴살을 샀습니다. 시장 안은 사람냄새로 가득합니다. 오전부터 내리다 말다 하던 비가 다시 내리자, 지나가던 배달부가 걸쭉하게 한마디 농을 던집니다. “아따 거 참, 날씨가 싸가지가 없구마이.”

콧노래를 부르며 시작합니다. 야채들을 다듬어 채를 썰고, 닭고기는 양파 즙에 버무려 프라이팬에 볶습니다. 물을 끓여 라이스 페이퍼를 삶아 재료들을 가지런히 넣고 돌돌 말았습니다. 땀이 비 오듯 합니다. 정오에 준비를 시작하여 저녁이 되어서야 마무리할 수 있었지요. 예쁘게 만들어진 것들만 골라내어 도시락 통에 담고, 시원해지라고 잠시 냉동실에 넣어두었습니다. 친구녀석들은 이런 정성을 모른 채 입맛만 다실 것이기에 조금 억울했지만, 그래도 맛있게 먹어준다면 감사한 일이지요. 약속시간에 조금 늦게 도착하여 한창 연기가 피어 오르기 시작한 식탁 위에 요리를 꺼내놓으니 탄성들이 터져 나옵니다. 한입 먹어보며 엄지 손가락을 치켜들어주니 제 어깨가 들썩입니다. 술을 곁들이고 웃고 떠들며 밥을 먹습니다.

집에 돌아오니 설거지 그릇들이 수북이 쌓여있습니다. 여름이라 날파리까지 가세하여 잔치 뒤의 피곤을 더합니다. 한숨이 절로 나옵니다. 먹고 나면 뼈만 앙상히 남은 생선처럼 허망한 것을, 왜 그렇게 공을 들여 하루 종일 장만했을까 하는 생각을 잠시 했습니다. 그러다 문득 인생은 요리를 만들어 먹는 것과 같다는 구본형 선생님의 글귀가 떠올랐습니다.

“삶은 그렇게 공을 들이고 잠시 즐기고 다시 깨끗하게 복원하여 내일을 맞이하는 것이다. 아무렇게나 먹고 살 수도 있지만, 정갈하고 아름답게 먹고 살 수도 있다. 먹고 나면 다 똥이 되는 것이지만 아름다운 식탁을 차리기 위해 정성을 쏟는다. 손님이 돌아간 만찬처럼 인생은 허무한 것이다. 그러나 잔치를 준비하는 것은 늘 마음 설레는 일이었다.”

설거지를 하며 홀로 중얼거립니다. ‘인생은 잔치며 요리다. 잔치 끝이 허무하다 하여 요리가 허무한 것은 아니다. 시장통의 사람냄새와, 행인의 우스개 소리, 흥얼거린 콧노래와 촉촉한 땀, 친구들의 탄성과 엄지손가락, 그리고 우리들의 웃음소리면 충분하다.’ 라고 말입니다. 곧 잦아들 것이기에 모닥불을 쬐듯 따스하고 아름답게, 사는 듯싶게 인생을 살아내고 싶습니다.







IP *.189.235.111

프로필 이미지
이철민
2008.07.14 10:45:43 *.114.22.72
'삶은 그렇게 공을 들이고 잠시 즐기고...'에서 한참을 멈추어 서서

글자를 보고 또 보며 삶에 대해 생각을 했습니다.

그러다 돌연 시원함을 느꼈습니다.

'삶은 즐기는 거구나' 라고 생각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76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첫 번째 이야기 제산 2018.10.01 853
3875 [수요편지] 장대비 내리던 어느 주말 오후 [1] 장재용 2019.05.15 853
3874 [수요편지] 호찌민에서 만난 쓸쓸한 표정의 사내 장재용 2019.09.11 853
3873 [용기충전소] 여행산책, 어떠세요? [2] 김글리 2020.04.03 853
3872 [수요편지] 세월이 카톡에게 (월급쟁이 四龍天下 마지막 회) [2] 장재용 2020.02.26 854
3871 먼저, 정보공개서부터 확인하세요 [2] 이철민 2017.09.28 855
3870 가족처방전 – 이상한 정상가족 file 제산 2018.05.21 855
3869 [화요편지] 주시는 대로 받겠습니다. [2] 아난다 2019.02.19 855
3868 목요편지 - 고1 음악시간 [4] 운제 2019.03.07 855
3867 강남순 제3강 < 남성성의 신화와 ‘형제 코드 (Bro Code)' > 제산 2020.03.02 855
3866 백열여덟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가을 아침 [2] 재키제동 2017.09.22 856
3865 [일상에 스민 문학] - 낯선 남자와의 데이트 [2] 정재엽 2018.03.07 856
3864 [금욜편지 53- 성격에 따라 달라지는 인생전환 로드맵] [4] 수희향 2018.09.07 856
3863 [수요편지] 오토바이, 그 자유의 바람 장재용 2019.09.18 856
3862 화요편지 - 생존을 넘어 진화하는, 냉면의 힘 [1] 종종 2022.07.12 856
3861 [월요편지 122] 아내와 유튜브를 시작한 이유 [6] 습관의 완성 2022.09.18 856
3860 [금욜편지 21- 심연통과 5: 책쓰기 전략 (상편)] [2] 수희향 2018.01.19 857
3859 엄마가 시작하고 아이가 끝내는 엄마표 영어 [1] 제산 2019.04.22 857
3858 [금욜편지 91- 일은 진짜 프로답게] [2] 수희향 2019.06.07 857
3857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_치즈로 만든 무지개 file 알로하 2019.11.03 8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