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문요한
  • 조회 수 3946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08년 7월 29일 04시 13분 등록

"사람들은 나더러 마치 새가 나는 것처럼 쉽게 첼로를 켠다고 합니다. 새가 나는 법을 배운다는 게 얼마나 힘든지 모르겠습니다. 그렇지만 첼로를 연주하기 위해 내가 얼마나 노력했는지는 압니다. 모든 경우 수월한 연주는 최고의 노력에서만 나옵니다. 예술은 노력의 산물입니다."

- 첼로 연주가 파블로 카잘스 1876~1973 -

-------------------------------------------------

20세기의 가장 탁월한 첼리스트로 불리는 카잘스는 왜 아흔 살이 넘어서도 계속 연습을 하느냐는 기자의 말에 "내 자신의 연주 실력이 아직도 조금씩 향상되고 있기 때문이오."라고 답했다는 유명한 일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실제 그는 96세로 죽기 얼마전까지도 매일 6시간씩 첼로를 연습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탁월함은 기본적으로 재능과 노력과 창의력이 만났을 때 피어납니다. 누군가 굳이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인자를 꼽으라면 저는 노력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노력은 탁월함의 뼈대와 같아 노력이 없으면 아무 것도 바로 설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학자들 중에는 탁월한 업적을 만들어낸 사람들의 연습을 살펴보며 그 공통점을 찾아낸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세 가지 공통점을 꼽았습니다. 첫째, 연습의 양입니다. 가장 성취를 많이 한 사람들이 가장 많은 시간 동안 연습을 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한 예로 최고의 바이올린 연주가들은 20세 이전까지 그 아래 수준의 연주가들보다 2,500시간 많은 10,000시간 이상을 연습했다고 합니다. 둘째, 연습의 일관성입니다. 이들은 매일 4시간 전후를 연습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피아니스트 루빈스타인의 다음 이야기처럼 말입니다. ‘하루 연습을 하지 않으면 자신이 안다. 이틀 연습하지 않으면 동료들이 이를 안다. 만약 3일을 연습하지 않으면 대중이 이를 안다.’ 셋째, 연습의 짜임새와 계획성입니다. 이들은 단순반복의 연습이 아니라 내적 목표를 세워 난이도를 점점 높여가며 집중과 내적 긴장을 유지시키는 가운데 연습을 한 것입니다.

탁월함은 땀을 먹고 자랍니다. 그런 점에서 보면 사실 육체노동과 정신노동의 구분은 의미가 없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카잘스의 다음 이야기를 들어보시길 바랍니다.

“내가 예술가라는 것은 사실이지만 예술을 실현하는 과정을 보면 나 역시 하나의 육체노동자입니다. 나는 일생 내내 그래왔어요.”

- 2008. 7. 29 週 2회 '당신의 삶을 깨우는' 문요한의 Energy Plus [220호]-






IP *.189.235.111

프로필 이미지
써니
2008.07.29 10:45:06 *.36.210.11
요즘 올라오는 글들이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해 주어 좋군요. 이 주옥 같은 내용들이 함께 실리게 되겠죠. 다음 책이 기대가 많이 됩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56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마음의 문을 여는 빵 2 file [4] 알로하 2019.06.10 859
3855 내친김에 루앙프라방 [1] 장재용 2019.06.12 859
3854 [화요편지]10주차 미션보드_나, 세상의 중심 file 아난다 2019.10.29 859
3853 [월요편지 110] 해외 MBA 출신이지만 경알못입니다 [1] 습관의 완성 2022.05.29 859
3852 [내 삶의 단어장] 차렷, 억수로 [1] 에움길~ 2023.11.06 859
3851 [금욜편지 21- 심연통과 5: 책쓰기 전략 (상편)] [2] 수희향 2018.01.19 860
3850 [금욜편지 68- 기질별 인생전환 로드맵- 4번 자아없는 나르시스트] file 수희향 2018.12.21 860
3849 [금욜편지 69- 기질별 인생전환 로드맵- 3번 공허한 성취주의자] file 수희향 2018.12.28 860
3848 화요편지 - 결국은 사람의 일 [2] 종종 2022.08.09 860
3847 [일상에 스민 문학]-교황님의 트위터 file 정재엽 2017.05.31 861
3846 [수요편지] 내가 사랑한 치앙칸 [1] 장재용 2019.05.29 861
3845 화요편지 - 이야기, 어려운 시절을 끈질기게 버티는 방식 [1] 종종 2022.07.19 861
3844 홍합을 씹어 삼키며 버티다 장재용 2019.12.04 862
3843 [화요편지] 엄마의 필살기, 가장 나다운 '사랑의 기술' 아난다 2020.03.17 862
3842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열다섯 번째 이야기 제산 2019.10.07 863
3841 [금욜편지 111- 책쓰기는 책읽기다-인문고전편] 수희향 2019.11.08 863
3840 날개 위의 기적 [1] 어니언 2023.06.01 863
3839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신의 선물을 마신 사람들 1 file [3] 알로하 2019.03.30 864
3838 역사는 처음이시죠? - 세계사 제산 2019.08.18 864
3837 [화요편지]8주차 미션보드_ 나만의 기쁨사전 만들기 아난다 2019.10.01 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