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요한
- 조회 수 4170
- 댓글 수 1
- 추천 수 0
"사람들은 나더러 마치 새가 나는 것처럼 쉽게 첼로를 켠다고 합니다. 새가 나는 법을 배운다는 게 얼마나 힘든지 모르겠습니다. 그렇지만 첼로를 연주하기 위해 내가 얼마나 노력했는지는 압니다. 모든 경우 수월한 연주는 최고의 노력에서만 나옵니다. 예술은 노력의 산물입니다."
- 첼로 연주가 파블로 카잘스 1876~1973 -
-------------------------------------------------
탁월함은 기본적으로 재능과 노력과 창의력이 만났을 때 피어납니다. 누군가 굳이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인자를 꼽으라면 저는 노력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노력은 탁월함의 뼈대와 같아 노력이 없으면 아무 것도 바로 설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학자들 중에는 탁월한 업적을 만들어낸 사람들의 연습을 살펴보며 그 공통점을 찾아낸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세 가지 공통점을 꼽았습니다. 첫째, 연습의 양입니다. 가장 성취를 많이 한 사람들이 가장 많은 시간 동안 연습을 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한 예로 최고의 바이올린 연주가들은 20세 이전까지 그 아래 수준의 연주가들보다 2,500시간 많은 10,000시간 이상을 연습했다고 합니다. 둘째, 연습의 일관성입니다. 이들은 매일 4시간 전후를 연습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피아니스트 루빈스타인의 다음 이야기처럼 말입니다. ‘하루 연습을 하지 않으면 자신이 안다. 이틀 연습하지 않으면 동료들이 이를 안다. 만약 3일을 연습하지 않으면 대중이 이를 안다.’ 셋째, 연습의 짜임새와 계획성입니다. 이들은 단순반복의 연습이 아니라 내적 목표를 세워 난이도를 점점 높여가며 집중과 내적 긴장을 유지시키는 가운데 연습을 한 것입니다.
탁월함은 땀을 먹고 자랍니다. 그런 점에서 보면 사실 육체노동과 정신노동의 구분은 의미가 없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카잘스의 다음 이야기를 들어보시길 바랍니다.
“내가 예술가라는 것은 사실이지만 예술을 실현하는 과정을 보면 나 역시 하나의 육체노동자입니다. 나는 일생 내내 그래왔어요.”
- 2008. 7. 29 週 2회 '당신의 삶을 깨우는' 문요한의 Energy Plus [220호]-
댓글
1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897 | 친밀함을 위한 레시피 [1] | 문요한 | 2008.07.15 | 3796 |
3896 | 꿈꿀 권리 [2] | 김도윤 | 2008.07.17 | 3722 |
3895 | 다시 육체의 즐거움으로 [3] | 구본형 | 2008.07.18 | 4163 |
3894 | 두려워 말라.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1] [9] | 박승오 | 2008.07.21 | 4902 |
3893 | 당신을 어떻게 알릴 것인가 [1] | 문요한 | 2008.07.22 | 3928 |
3892 | 해변 없는 바다 [1] | 김도윤 | 2008.07.24 | 3614 |
3891 | 새벽 4시에서 6시 사이 [1] | 구본형 | 2008.07.25 | 3777 |
3890 | 사랑의 보답이 눈물과 한숨뿐일지라도 [1] | 박승오 | 2008.07.28 | 4268 |
» | 탁월함은 땀을 먹고 자란다 [1] | 문요한 | 2008.07.29 | 4170 |
3888 | 생의 주도권 [1] | 김도윤 | 2008.07.31 | 3673 |
3887 | 여행 단상 [2] | 구본형 | 2008.08.01 | 4423 |
3886 | 미안하다 미안하다 [1] | 박승오 | 2008.08.04 | 4318 |
3885 | 무조건 [1] | 문요한 | 2008.08.05 | 3664 |
3884 | 싱싱한 아침 풍경 [1] | 김도윤 | 2008.08.07 | 3949 |
3883 | 여성 전용 강사 [3] | 구본형 | 2008.08.08 | 4895 |
3882 | 현재를 즐겨라? [1] | 박승오 | 2008.08.11 | 6040 |
3881 | 내 이름을 다시 쓴다 [1] | 문요한 | 2008.08.12 | 4547 |
3880 | 한여름의 섬진강 [2] | 김도윤 | 2008.08.14 | 4470 |
3879 | 올림픽 경기를 즐기는 법 [1] | 구본형 | 2008.08.15 | 4880 |
3878 | 현실적 이상주의자 (Realistic Idealist) [3] [1] | 박승오 | 2008.08.18 | 615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