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도윤
- 조회 수 4465
- 댓글 수 2
- 추천 수 0

"인생과 일에 있어 가장 큰 흥미는 바로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존재로 변화한다는 데에 있습니다. 만약 책을 쓰기 시작할 때 결론에서 무엇을 말하게 될지를 안다면 여러분은 과연 그 책을 쓸 수 있는 용기를 가질 수 있을 것 같습니까?" - 미셸 푸코, 미국 버몬트 대학에서의 인터뷰 中
기억 속의 섬진강이 그리웠습니다. 10대 때, 집을 나와 동네 친구와 함께 걷던 찬란한 봄날의 섬진강. 20대 때, 남해로 훈련을 가는 도중 군용차가 고장나 수리를 기다리는 어느 다리 아래에서 바라보던 고요한 섬진강... 그 기억 속의 섬진강을 찾아 여행을 떠났습니다.
그러나 한 여름에 찾아간 섬진강은 아름다운 기억 속의 풍경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었습니다. 풀숲은 우거지고, 물은 생각처럼 깨끗하지 않았습니다. 장소를 잘못 선택한 탓인지 기억 속의 하얀 모래밭도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그래도 이대로 발걸음을 돌릴 순 없기에 우거진 풀숲을 헤치며 뜨거운 햇살 속을 걸었습니다.
두 대의 자전거를 길가에 세워놓은 채 강바닥에서 무언가를 열심히 찾는 할머니, 할아버지를 지나, 징검다리를 건너 강 한가운데에 잠시 앉았습니다. 신발을 벗고 흐르는 강물에 발을 담갔습니다. 그늘이 없어 오래 앉아 있을 순 없었지만 다시금 기분이 좋아졌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돌아가려고 일어서는 순간에 생겼습니다.
건너올 때는 몰랐는데, 잠시 쉬고 나니 바위와 징검다리 사이의 간격이 제법 넓습니다. 그냥 물 속으로 걸어서 지나가려 해도 바위에 이끼가 끼어 미끄럽습니다. 맨 몸이면 넘어진다 해도 큰 상관이 없지만, 가방 안에 들어있는 카메라가 물에 젖을까 걱정입니다. 똥마려운 강아지처럼 잠시 낑낑대다 결국 간격을 뛰어 건너기로 했습니다.
햇살이 닿아 물이끼가 끼지 않은 곳을 발 디딤판으로 가늠해 봅니다. 툭툭, 발 끝으로 디딜 곳을 몇 번 밟아본 뒤 드디어 뛰었습니다. 휴… 다행히 무사히 건넜습니다. 건너뛴 곳을 돌아보니, 방금 전까지 무척 심각했던 문제가 참 사소하게 느껴집니다. 땡볕 아래서 혼자 쇼를 한 것 같아 피식, 웃음이 나오기도 합니다.
한여름의 섬진강변을 다시 걸어서 돌아왔습니다. 아련한 기억과 생생한 현실은 참 다른 것인가 봅니다. 상상과 현실 또한 마찬가지겠죠. 자신이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음에도, 현실에 맞닥뜨리면 우린 미처 생각지도 못했던 문제들과 마주치게 됩니다. 하지만 그래서 모험이 즐겁습니다. 인생이 즐겁습니다. 이미 모든 답을 알고 있다면 산다는 건 얼마나 재미없는 노릇일까요.
그러니 정답을 모른다고 해도 미리 걱정하진 마세요. 그냥 그 길 속으로 걸어 들어가보세요. 혹 문제가 생겼더라도 너무 당황하진 마세요. 그 현실의 문제들은 우리를 더욱 단련시켜줄 소중한 기회들입니다. 현실의 시험을 통과하지 못했더라면, 그저 몽상으로 사그라졌을 상상들을 구체화시켜줄 아름다운 실험들입니다. 우리 존재의 지평은 그 '생생한 경험'을 통해서 더욱 확장되어 나갑니다.
@ 김도윤 연구원이 짧은 여행을 떠나게 되어, 그가 쓴 글을 대신 보냅니다. 답장을 보내시는 분들은 참고하십시오. (박승오 드림)
(2008년 8월 14일, 서른 세번째 편지)
댓글
2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517 | 끝의 시작 [4] | 김도윤 | 2008.09.18 | 5003 |
516 | 벗는다. 그러므로 존재한다. | 문요한 | 2008.09.16 | 5573 |
515 |
이태백이 놀던 달처럼 ![]() | 박승오 | 2008.09.15 | 5959 |
514 |
편지 속의 편지 ![]() | 구본형 | 2008.09.12 | 5309 |
513 | 밤, 바다를 거닐다 [3] | 김도윤 | 2008.09.11 | 5865 |
512 | 존재가 적을수록 소외는 깊어진다 [6] | 문요한 | 2008.09.09 | 7084 |
511 | 넘침과 모자람의 중간에서 [3] | 박승오 | 2008.09.08 | 6201 |
510 |
그 속에 내가 있다 - 구름 독서 ![]() | 구본형 | 2008.09.05 | 6964 |
509 | 백 개의 강 [2] | 김도윤 | 2008.09.04 | 6228 |
508 | 콤플렉스를 날개로 | 문요한 | 2008.09.02 | 6540 |
507 | 기도와 기회의 동시성 [1] | 박승오 | 2008.09.01 | 6575 |
506 | 경박하지 않게 가벼워지는 법 | 구본형 | 2008.08.29 | 7408 |
505 | 두 통의 편지 [1] | 김도윤 | 2008.08.28 | 5113 |
504 | '할 수 없다' 는 말은 욕이다 [1] [1] | 문요한 | 2008.08.26 | 5827 |
503 | 아버지의 굳은살 | 박승오 | 2008.08.25 | 5198 |
502 | 아버지의 굳은살 | 박승오 | 2008.08.25 | 5442 |
501 | 생명이란 온 힘을 다해 살아가는 것 [1] [2] | 문요한 | 2008.08.19 | 5247 |
500 | 현실적 이상주의자 (Realistic Idealist) [3] [1] | 박승오 | 2008.08.18 | 6152 |
499 | 올림픽 경기를 즐기는 법 [1] | 구본형 | 2008.08.15 | 4876 |
» | 한여름의 섬진강 [2] | 김도윤 | 2008.08.14 | 44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