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도윤
- 조회 수 4468
- 댓글 수 2
- 추천 수 0

"인생과 일에 있어 가장 큰 흥미는 바로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존재로 변화한다는 데에 있습니다. 만약 책을 쓰기 시작할 때 결론에서 무엇을 말하게 될지를 안다면 여러분은 과연 그 책을 쓸 수 있는 용기를 가질 수 있을 것 같습니까?" - 미셸 푸코, 미국 버몬트 대학에서의 인터뷰 中
기억 속의 섬진강이 그리웠습니다. 10대 때, 집을 나와 동네 친구와 함께 걷던 찬란한 봄날의 섬진강. 20대 때, 남해로 훈련을 가는 도중 군용차가 고장나 수리를 기다리는 어느 다리 아래에서 바라보던 고요한 섬진강... 그 기억 속의 섬진강을 찾아 여행을 떠났습니다.
그러나 한 여름에 찾아간 섬진강은 아름다운 기억 속의 풍경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었습니다. 풀숲은 우거지고, 물은 생각처럼 깨끗하지 않았습니다. 장소를 잘못 선택한 탓인지 기억 속의 하얀 모래밭도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그래도 이대로 발걸음을 돌릴 순 없기에 우거진 풀숲을 헤치며 뜨거운 햇살 속을 걸었습니다.
두 대의 자전거를 길가에 세워놓은 채 강바닥에서 무언가를 열심히 찾는 할머니, 할아버지를 지나, 징검다리를 건너 강 한가운데에 잠시 앉았습니다. 신발을 벗고 흐르는 강물에 발을 담갔습니다. 그늘이 없어 오래 앉아 있을 순 없었지만 다시금 기분이 좋아졌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돌아가려고 일어서는 순간에 생겼습니다.
건너올 때는 몰랐는데, 잠시 쉬고 나니 바위와 징검다리 사이의 간격이 제법 넓습니다. 그냥 물 속으로 걸어서 지나가려 해도 바위에 이끼가 끼어 미끄럽습니다. 맨 몸이면 넘어진다 해도 큰 상관이 없지만, 가방 안에 들어있는 카메라가 물에 젖을까 걱정입니다. 똥마려운 강아지처럼 잠시 낑낑대다 결국 간격을 뛰어 건너기로 했습니다.
햇살이 닿아 물이끼가 끼지 않은 곳을 발 디딤판으로 가늠해 봅니다. 툭툭, 발 끝으로 디딜 곳을 몇 번 밟아본 뒤 드디어 뛰었습니다. 휴… 다행히 무사히 건넜습니다. 건너뛴 곳을 돌아보니, 방금 전까지 무척 심각했던 문제가 참 사소하게 느껴집니다. 땡볕 아래서 혼자 쇼를 한 것 같아 피식, 웃음이 나오기도 합니다.
한여름의 섬진강변을 다시 걸어서 돌아왔습니다. 아련한 기억과 생생한 현실은 참 다른 것인가 봅니다. 상상과 현실 또한 마찬가지겠죠. 자신이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음에도, 현실에 맞닥뜨리면 우린 미처 생각지도 못했던 문제들과 마주치게 됩니다. 하지만 그래서 모험이 즐겁습니다. 인생이 즐겁습니다. 이미 모든 답을 알고 있다면 산다는 건 얼마나 재미없는 노릇일까요.
그러니 정답을 모른다고 해도 미리 걱정하진 마세요. 그냥 그 길 속으로 걸어 들어가보세요. 혹 문제가 생겼더라도 너무 당황하진 마세요. 그 현실의 문제들은 우리를 더욱 단련시켜줄 소중한 기회들입니다. 현실의 시험을 통과하지 못했더라면, 그저 몽상으로 사그라졌을 상상들을 구체화시켜줄 아름다운 실험들입니다. 우리 존재의 지평은 그 '생생한 경험'을 통해서 더욱 확장되어 나갑니다.
@ 김도윤 연구원이 짧은 여행을 떠나게 되어, 그가 쓴 글을 대신 보냅니다. 답장을 보내시는 분들은 참고하십시오. (박승오 드림)
(2008년 8월 14일, 서른 세번째 편지)
댓글
2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897 | 친밀함을 위한 레시피 [1] | 문요한 | 2008.07.15 | 3795 |
3896 | 꿈꿀 권리 [2] | 김도윤 | 2008.07.17 | 3721 |
3895 | 다시 육체의 즐거움으로 [3] | 구본형 | 2008.07.18 | 4163 |
3894 | 두려워 말라.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1] [9] | 박승오 | 2008.07.21 | 4902 |
3893 | 당신을 어떻게 알릴 것인가 [1] | 문요한 | 2008.07.22 | 3928 |
3892 | 해변 없는 바다 [1] | 김도윤 | 2008.07.24 | 3614 |
3891 | 새벽 4시에서 6시 사이 [1] | 구본형 | 2008.07.25 | 3776 |
3890 | 사랑의 보답이 눈물과 한숨뿐일지라도 [1] | 박승오 | 2008.07.28 | 4268 |
3889 | 탁월함은 땀을 먹고 자란다 [1] | 문요한 | 2008.07.29 | 4170 |
3888 | 생의 주도권 [1] | 김도윤 | 2008.07.31 | 3673 |
3887 | 여행 단상 [2] | 구본형 | 2008.08.01 | 4423 |
3886 | 미안하다 미안하다 [1] | 박승오 | 2008.08.04 | 4317 |
3885 | 무조건 [1] | 문요한 | 2008.08.05 | 3663 |
3884 | 싱싱한 아침 풍경 [1] | 김도윤 | 2008.08.07 | 3948 |
3883 | 여성 전용 강사 [3] | 구본형 | 2008.08.08 | 4894 |
3882 | 현재를 즐겨라? [1] | 박승오 | 2008.08.11 | 6040 |
3881 | 내 이름을 다시 쓴다 [1] | 문요한 | 2008.08.12 | 4546 |
» | 한여름의 섬진강 [2] | 김도윤 | 2008.08.14 | 4468 |
3879 | 올림픽 경기를 즐기는 법 [1] | 구본형 | 2008.08.15 | 4879 |
3878 | 현실적 이상주의자 (Realistic Idealist) [3] [1] | 박승오 | 2008.08.18 | 61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