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문요한
  • 조회 수 5370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08년 9월 30일 02시 11분 등록


“4년 전부터 나는 돈 없이 살고 있다. 사람들은 왜 그런 짓을 하느냐고 내게 묻는다.... 나는 절대 다른 사람들도 나처럼 살라고 주장하려는 것이 아니다. 다만, 기존 사회 구조를 고민해 볼 수 있는 자극제가 되고 싶을 뿐이다.”

- 하이데마리 슈베르머(1942~ ) 독일의 '주고받기 센터' 설립자 -

-----------------------------------------------

독일 여교사 출신인 하이데마리 슈베르머는 나이 54세에 '무소유 실험'에 나섭니다. 말 그대로 모든 걸 남에게 주고 아무 것도 없이 사는 것을 말합니다. 옷은 벼룩시장 행사의 뒤처리에서 구하고, '주고받기 센터’에 모인 음식물을 이웃에게 나눠주면서 먹을 것을 해결합니다. 거주는 오래 집을 비운 사람들의 집을 봐주면서 해결했습니다. 1996년부터 4년 동안 무일푼으로 살면서 그녀는 큰 기쁨과 여유를 배웠습니다.


미국의 괴짜작가 AJ 제이콥스는 1년 동안 성경의 말씀처럼 살아가겠다는 새로운 실험을 계획합니다. 그리고 영적자문단의 도움을 받아 387일 동안에 걸쳐 성경의 실천항목 700개를 실천했습니다. 그 기간 동안 흰 옷을 입고 수염을 깎지 않고, 하루 세 번 기도를 올렸습니다. 매월 1일이 되면 새달의 시작을 알리는 나팔을 불었고, 불경한 자에게 돌을 던지라는 말씀을 따르기 위해 불경한 자와 돌멩이를 찾아다니기도 했습니다. 신에 대해 불가지론자였던 그는 신에 대한 경외함을 갖춘 사람으로 변모합니다.


영국의 닐 부어맨은 문득 깨닫습니다. 어떤 사람이 쓰고 있는 브랜드로 그 사람을 평가할 정도로 자신이 심각한 브랜드 중독자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 것입니다. 그는 이 과잉욕망과 과잉소비를 부추기는 체제에 극도로 분노합니다. 2006년 9월, 소비주의에 대한 항거의 표시로 자신이 갖고 있는 유명 브랜드 제품을 한 광장에서 불태우는 브랜드 화형식을 갖습니다. 이제 그는 “나는 아이비엠도 아니고 맥도 아니다. 나는 단지 내 자신일 뿐이다.”라며 존재 중심의 삶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세상은 실험실이고 삶은 실험입니다. 그렇기에 인생의 이력서에 채워야 할 것은 바로 당신의 실험기록입니다. 거창할 필요는 없습니다. 자신이 실험재료가 되면 됩니다. 올 가을이 가기 전에 당신의 새로운 실험이야기를 듣고 싶습니다.



* 위 세 사람의 이야기에 대해 더 관심이 있으신 분은 하이데마리 슈베르머의 '소유와의 이별', AJ 제이콥스의 '성경말씀대로 살아본 1년', 닐 부어맨의 '나는 왜 루이비통을 불태웠는가'를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 2008. 9. 30 週 2회 '당신의 삶을 깨우는' 문요한의 Energy Plus [237호]-



IP *.253.83.221

프로필 이미지
귀자
2008.09.30 19:36:14 *.122.203.147
자극제가 되고 싶다는 말이 무척 자극이 되네요.
위에 추천해주신 책들, 꼭 읽어보고 싶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6 [라이프충전소] 나에 대해 무엇을 알고 있나요? [1] 김글리 2022.03.17 1074
315 [월요편지 100] 부정적 생각에서 5초 만에 벗어나는 방법 [4] 습관의 완성 2022.03.20 1248
314 화요편지 - 침몰하는 가족과 느슨한 연대 사이, 코타로는 1인 가구 종종 2022.03.22 866
313 여섯가지 참회 [1] 불씨 2022.03.22 774
312 호기심이 이끄는대로 [2] 어니언 2022.03.24 809
311 [라이프충전소] '그렇게 될때까지 하라'는 말에 숨겨진 비밀 [3] 김글리 2022.03.25 993
310 [월요편지 101] 내 마음의 클루지, 서툴거나 세련되지 않은 [2] 습관의 완성 2022.03.27 781
309 [수요편지] 레이블링 게임과 기생충 [2] 불씨 2022.03.29 768
308 4월을 맞이하며 [4] 어니언 2022.03.31 804
307 [라이프충전소] 진짜 기다림이 무엇인지 보여주는 이들 [4] 김글리 2022.04.01 993
306 [월요편지 102] 90%가 이때 포기해요 [1] 습관의 완성 2022.04.03 883
305 화요편지 - 사자처럼 당당하고 양처럼 온화하게 [2] 종종 2022.04.06 758
304 [수요편지] 미스토리 [1] 불씨 2022.04.06 866
303 왜 하필 시였을까? [1] 어니언 2022.04.07 877
302 [라이프충전소] 이 길이 내 길일까? 묻고 있다면 [4] 김글리 2022.04.08 985
301 [월요편지 103] 그래 결심했어, 천천히 던질 것인가? 전력투구 할 것인가? [1] 습관의 완성 2022.04.10 908
300 화요편지 - 잘 봐, 언니들 인생이다! [4] 종종 2022.04.12 804
299 [수요편지] 씨앗 속의 사과 [2] 불씨 2022.04.12 881
298 [라이프충전소] 나답게 산다는 게 뭔지 보여준 한 사람 [2] 김글리 2022.04.14 773
297 [월요편지 104] 처음에 싸게 팔아야 하는 이유 [1] 습관의 완성 2022.04.17 7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