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문요한
  • 조회 수 5371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08년 9월 30일 02시 11분 등록


“4년 전부터 나는 돈 없이 살고 있다. 사람들은 왜 그런 짓을 하느냐고 내게 묻는다.... 나는 절대 다른 사람들도 나처럼 살라고 주장하려는 것이 아니다. 다만, 기존 사회 구조를 고민해 볼 수 있는 자극제가 되고 싶을 뿐이다.”

- 하이데마리 슈베르머(1942~ ) 독일의 '주고받기 센터' 설립자 -

-----------------------------------------------

독일 여교사 출신인 하이데마리 슈베르머는 나이 54세에 '무소유 실험'에 나섭니다. 말 그대로 모든 걸 남에게 주고 아무 것도 없이 사는 것을 말합니다. 옷은 벼룩시장 행사의 뒤처리에서 구하고, '주고받기 센터’에 모인 음식물을 이웃에게 나눠주면서 먹을 것을 해결합니다. 거주는 오래 집을 비운 사람들의 집을 봐주면서 해결했습니다. 1996년부터 4년 동안 무일푼으로 살면서 그녀는 큰 기쁨과 여유를 배웠습니다.


미국의 괴짜작가 AJ 제이콥스는 1년 동안 성경의 말씀처럼 살아가겠다는 새로운 실험을 계획합니다. 그리고 영적자문단의 도움을 받아 387일 동안에 걸쳐 성경의 실천항목 700개를 실천했습니다. 그 기간 동안 흰 옷을 입고 수염을 깎지 않고, 하루 세 번 기도를 올렸습니다. 매월 1일이 되면 새달의 시작을 알리는 나팔을 불었고, 불경한 자에게 돌을 던지라는 말씀을 따르기 위해 불경한 자와 돌멩이를 찾아다니기도 했습니다. 신에 대해 불가지론자였던 그는 신에 대한 경외함을 갖춘 사람으로 변모합니다.


영국의 닐 부어맨은 문득 깨닫습니다. 어떤 사람이 쓰고 있는 브랜드로 그 사람을 평가할 정도로 자신이 심각한 브랜드 중독자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 것입니다. 그는 이 과잉욕망과 과잉소비를 부추기는 체제에 극도로 분노합니다. 2006년 9월, 소비주의에 대한 항거의 표시로 자신이 갖고 있는 유명 브랜드 제품을 한 광장에서 불태우는 브랜드 화형식을 갖습니다. 이제 그는 “나는 아이비엠도 아니고 맥도 아니다. 나는 단지 내 자신일 뿐이다.”라며 존재 중심의 삶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세상은 실험실이고 삶은 실험입니다. 그렇기에 인생의 이력서에 채워야 할 것은 바로 당신의 실험기록입니다. 거창할 필요는 없습니다. 자신이 실험재료가 되면 됩니다. 올 가을이 가기 전에 당신의 새로운 실험이야기를 듣고 싶습니다.



* 위 세 사람의 이야기에 대해 더 관심이 있으신 분은 하이데마리 슈베르머의 '소유와의 이별', AJ 제이콥스의 '성경말씀대로 살아본 1년', 닐 부어맨의 '나는 왜 루이비통을 불태웠는가'를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 2008. 9. 30 週 2회 '당신의 삶을 깨우는' 문요한의 Energy Plus [237호]-



IP *.253.83.221

프로필 이미지
귀자
2008.09.30 19:36:14 *.122.203.147
자극제가 되고 싶다는 말이 무척 자극이 되네요.
위에 추천해주신 책들, 꼭 읽어보고 싶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16 [라이프충전소]자꾸만 조급해지려고 할 때 [9] 김글리 2022.02.11 868
3815 [일상에 스민 문학] - 수녀원에서 온 편지 정재엽 2018.01.24 869
3814 <목요편지> 나답게 말하는 법 [2] 운제 2019.01.24 869
3813 제대로 보는 방법 [1] 불씨 2022.02.15 869
3812 나의 기준을 세워라 [1] 어니언 2023.05.11 869
3811 핀테크는 왜 '개인금융의 미래'라 불리는가(3편) - 디레몬 [2] 차칸양 2017.10.17 870
3810 [수요편지] 세상의 가운데로 보낸 자기유배 [1] 장재용 2019.07.17 870
3809 [화요편지]12주차 미션보드_아이와 함께라 더 행복한 엄마의 강점혁명 프로젝트 아난다 2019.11.26 870
3808 [월요편지 115] 부자와 가난한 사람의 차이가 고작 이것 때문이라고? 습관의 완성 2022.07.10 870
3807 [수요편지 19- 심연통과 3: 주승천 전략] 수희향 2017.12.27 871
3806 [금욜편지 120- 책쓰기는 함께놀기다] 수희향 2020.01.17 871
3805 <에코라이후 단기과정>을 시작하며 차칸양 2018.08.28 872
3804 [화요편지]4주차 미션보드_가지 않은 길을 걸어보다 아난다 2019.08.06 872
3803 자녀에게 생각하는 힘을 키워주는 홈스쿨 철학논술 (2/2) 제산 2018.03.25 873
3802 사유의 확장을 위한 <열한 계단> (4편) [2] 차칸양 2018.04.03 873
3801 [금욜편지 100- 백번째 편지와 첫 만남] 수희향 2019.08.09 873
3800 [금욜편지 108- 책쓰기는 책읽기다- 시사편] [2] 수희향 2019.10.11 873
3799 다시 회복할 수 있는 힘 어니언 2023.10.26 873
3798 [일상에 스민 문학] 미세먼지로 뒤덮힌 분노의 포도 정재엽 2018.03.28 874
3797 목요편지 - 오스카와일드 운제 2019.09.20 8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