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도윤
  • 조회 수 3417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08년 10월 16일 09시 06분 등록
gt42.jpg

 

"나는 오늘 아침이면 산에 가까워지리라 생각했다. 그러나 산이 갑자기 흔들리고 실쭉거리더니 다시 멀어졌다. 산이 말을 하는 했다. 산은 다시 나를 피하여 조그맣고 희미하게 멀어졌다. ?" - 에밀리


 

 

‘나는 누구일까?’ 어쩌면 아주 단순한 질문인데, 쉽게 대답하긴 어려운 질문입니다. 이름을 말하거나, 직업이나 혹은 사회적 위치를 말한다고 해도 이 질문에 대한 정확한 대답이 되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직장에서 팀을 옮기고 새로운 일에 적응하려다 보니, 제가 하는 일이 무엇인지 다시금 궁금해졌습니다. 분명 기획을 하고, 컨셉을 다루는 일을 하고 있는데, 그렇다면 기획은 무엇이고, 컨셉은 또 무엇이냐고 제게 묻는다면, 또한 쉽게 대답하기 힘들 것 같습니다.

 

아직 전문가가 되지 못한 탓인지, 순발력이 부족한 탓인지는 모르겠지만 분명 가야할 길이 많이 남았다는 것은 틀림없습니다. 이런 생각을 하다보니, 떠오르는 이야기가 하나 있습니다. 장자의 제물론, 첫머리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남곽에 사는 자기가 탁자에 기대고 앉아 하늘을 올려다보면서 한숨을 내쉬고 있었다. 그는 마치 자신의 짝(몸과 마음)을 잃어버린 것 같았다. 제자 안성자유가 물었다. “어찌된 일입니까? 몸이 이렇게 시든 나무 같고, 마음은 죽은 재 같아 질 수 있습니까? 지금 탁자에 기대 앉은 사람은 어제 탁자에 기대 앉은 사람이 아닙니다.” 그러자 자기가 말했다. “자유야, 현명하게도 너는 그것을 묻는구나! 나는 지금 내 자신을 잃어버렸는데, 너는 그것을 어찌 아느냐?”

 

우리는 때로 남곽의 자기처럼 자기 자신을 잃어버릴 때가 있습니다. 불과 얼마 전에 모든 것을 다 아는 듯 했는데, 텅 빈 괄호처럼 아무 것도 알 수 없는 무색의 나날들이 불현듯 우리를 찾아오곤 합니다. 그러나 어쩌면 그것은 건강한 망각일지도 모릅니다.

 

무언가를 잃어버렸다는 것은 자신 안에 무언가가 부족하다는 것을 알았다는 것이고, 무언가 부족하다면, 또 다른 새로운 것이 들어설 빈자리가 생겼다는 뜻도 될 테니 말입니다. 자신을 찾는다는 것은, 어딘가에 깊숙이 숨어 있는 보물을 찾는 것과는 조금 다른 이야기인 같습니다.

 

물론 보물을 찾기 위해 우리는 모험을 시작하지만, 길을 떠나고, 미로를 헤매는 동안 우리는 자기 자신을 찾게 되는 것입니다. 마치 오즈의 마법사는 그 어디에도 없었지만, 도로시는 그 여정에서 소중한 친구들을 만나고, 또 그만큼 성숙했듯 말입니다. 다시 한번 장자의 말을 빌리자면, “도는 (그 어딘가에 있는 것이 아니라) 걸어가면서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道行之而成)

 


 

 

 

(2008 10 16 , 마흔 두번째 편지)

logo.jpg

 

IP *.249.162.7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16 목요편지 - 오스카와일드 운제 2019.09.20 875
3815 잠시 멈추고 주변을 둘러봅니다. 제산 2019.11.25 875
3814 [화요편지]12주차 미션보드_아이와 함께라 더 행복한 엄마의 강점혁명 프로젝트 아난다 2019.11.26 875
3813 제대로 보는 방법 [1] 불씨 2022.02.15 875
3812 화요편지 - 결국은 사람의 일 [2] 종종 2022.08.09 875
3811 [화요편지_어른의 공부] 경험의 재구성을 위한 4단계 삶을 담은 하루 2023.04.18 875
3810 핀테크는 왜 '개인금융의 미래'라 불리는가(3편) - 디레몬 [2] 차칸양 2017.10.17 876
3809 [금욜편지 100- 백번째 편지와 첫 만남] 수희향 2019.08.09 876
3808 [금욜편지 108- 책쓰기는 책읽기다- 시사편] [2] 수희향 2019.10.11 876
3807 [금욜편지 120- 책쓰기는 함께놀기다] 수희향 2020.01.17 876
3806 목요편지 -봄인가 운제 2020.02.13 876
3805 목요편지 - 산후 우울증 운제 2019.07.12 877
3804 화요편지 - 당신을 위한 친절한 노년세계 가이드, 코민스키 메소드 종종 2022.04.26 877
3803 <에코라이후 단기과정>을 시작하며 차칸양 2018.08.28 878
3802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열 번째 이야기 [2] 제산 2019.01.28 878
3801 [화요편지]8주차 워크숍 _ 나만의 기쁨감각 되찾기 아난다 2019.10.08 878
3800 강남순 교수의 페미니즘 강의 후기, 두번째 이야기 제산 2020.02.24 879
3799 좋아함의 증거 [1] 어니언 2022.12.08 879
3798 알아두면 쓸데있는 근거없는 계산법 2 [2] 이철민 2017.10.26 880
3797 [화요편지]4주차 미션보드_가지 않은 길을 걸어보다 아난다 2019.08.06 8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