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박승오
  • 조회 수 8552
  • 댓글 수 5
  • 추천 수 0
2008년 10월 20일 02시 36분 등록

05275_512.jpg
 

* 열흘 간의 단식을 마쳤습니다. 많은 양의 물과 세 시간마다 먹는 포도 다섯 알이 그간 먹은 전부입니다. 매일 레몬즙과 원두 커피로 하는 관장은 고통이 있었지만 나중엔 야릇한 쾌감마저 들었습니다. 한의원에 방문하여 장 해독과 간 해독을 병행하여 지난 30년간 쌓아온 독소들을 씻어 내렸습니다.

 

단식(斷食)은 철저한 육식이라는 말을 절감했습니다. 힘이 없고 지칠 줄 알았지만 이상하게도 기운이 넘치고 몸이 가뿐했습니다. 그간 곱창의 기름기처럼 쌓인 지방들이 타며 에너지를 공급해 주었나 봅니다. 극심한 고통이 따를 것으로 예상했지만, 3일쯤 지나자 그다지 고통스럽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나머지 일주일을 느긋하게 즐길 수 있었습니다. 피부는 몰라보게 매끈해졌고, 바지는 점점 헐렁해졌으며, 저울의 눈금은 조금씩 줄어들어 매일 쾌재를 불렀습니다. 음식을 준비하고 치우는 시간이 없으니 생활은 여유로웠고, 속을 비워내니 이상하게 집중력이 좋아져 쓰고 있는 책의 진도가 많이 나갔습니다.

 

* 음식과 동시에 지식의 유입도 끊어버렸습니다. 언제부터인지 글을 쓰면 많은 책들을 수북이 쌓아놓고 이리저리 뒤적거리는 버릇이 생겼습니다. 그러나 많은 지식들이 꼬이고 꼬여 스스로의 목소리를 잃어가고 있었습니다. ‘책을 쓸 때에는 많이 읽어야 한다는 선배의 충고 때문에 최근에는 더 많이 읽었고, 읽는 것을 핑계로 쓰지 않으니 책 진도가 좀체 나가질 않았습니다.

 

단식(斷識)은 철저한 내면 탐험으로 이어졌습니다. 읽는 것을 끊고 나니 제 안의 목소리에 집중할 수 있었습니다. 희한한 일입니다. 지식을 끊으니 내면에서 끊임없이 창조의 비가 쏟아져 내렸고, 그간 경험했던 것들이 책에 그대로 옮겨지며 글이 제법 술술 풀려나갔습니다. 비로소 생각과 이성과 논리를 접고 우주의 기운이 저를 통해 글을 쓰는 듯한 느낌을 맛보게 되었습니다. 쓰려고 계획만 했던 책 초고의 절반을 쓸 수 있었고, 꿈으로 간직했던 나침반 프로그램을 상세하게 매뉴얼화 할 수 있었습니다.

 

머리와 아랫배. 위 아래가 모두 뻥 뚫리고 나니 삶이 지나가는 바람처럼 가뿐합니다. 밥을 끊으니 육체가 살아났고, 지식을 끊으니 정신이 새로워졌습니다. 이 희한한 역설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열흘간의 단식이 제게 남긴 교훈은 이렇습니다.

너무 많은 음식, 너무 많은 정보를 탐닉하지 마라. 먼저 쓰고 쏟아내어 비워라. 유입이 많다 하여 절로 유출이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나가는 만큼 들어와야 하겠지만, 그 전에 먼저 들어온 만큼을 반드시 써야 한다. 섭취한 만큼을 반드시 써서 비워내어야 새로운 것이 들어서고 비로소 움이 튼다.”

 

 

 
logo.jpg

IP *.181.116.167

프로필 이미지
부지깽이
2008.10.20 07:54:49 *.160.33.149
좋다.

네가 맛을 보았구나.

보식을 잘하거라.
다시 조금씩 넣어야한다. 가장 질 좋은 것을 넣어야 한다.
정신적 보식이 좋아야 차원을 달리하는 건강에 이르게 된다.
좋은 책들을 잘 읽도록 해라.
프로필 이미지
박승오
2008.10.20 10:21:30 *.68.33.10
네, 사부님.
서울에 올라가면 하루는 서점에 죽치고 앉아
그간의 공백을 채워줄 좋은 책들을 골라내려 합니다.
위 아래를 다시 조금씩 질 좋은 것으로 채워넣겠습니다.

그런데 신기합니다.
오늘 새벽, 꿈에서 사부님이 제 글에 댓글을 달아주신 것을 보고는
기뻐서 날뛰다가 확 잠이 깨었습니다.
깨자마자 글을 보았는데 거짓말처럼 사부님 댓글이 있네요. ㅎㅎ
귀여운 무의식 같으니라구.
프로필 이미지
햇빛처럼
2008.10.21 11:04:25 *.169.188.48
승오님..

단식을 무사히 마친 것을 축하드립니다.

단식을 하고 나서 더욱 살찌신(?) 것 같군요.

좋은 가을입니다.

주말에 뵐 수 있겠죠?
프로필 이미지
한정화
2008.10.22 09:04:50 *.247.80.52
경축, 박승오 무사귀환!
프로필 이미지
월풍
2011.08.03 20:26:51 *.235.230.175
우연히 들러서 글 잘 읽고 갑니다.

단식은 철저한 내면 탐험이라는 것에 공감이 가네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16 나의 기준을 세워라 [1] 어니언 2023.05.11 865
3815 핀테크는 왜 '개인금융의 미래'라 불리는가(3편) - 디레몬 [2] 차칸양 2017.10.17 866
3814 <에코라이후 단기과정>을 시작하며 차칸양 2018.08.28 866
3813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열여덟 번째 이야기 제산 2019.10.28 866
3812 잠시 멈추고 주변을 둘러봅니다. 제산 2019.11.25 866
3811 이렇게 살 수도, 죽을 수도 없는 서른 다섯 워킹맘의 선택 아난다 2020.02.18 866
3810 [화요편지]2주차 워크숍_자극과 반응 사이 file 아난다 2019.07.16 867
3809 [라이프충전소]자꾸만 조급해지려고 할 때 [9] 김글리 2022.02.11 867
3808 [수요편지 19- 심연통과 3: 주승천 전략] 수희향 2017.12.27 868
3807 사유의 확장을 위한 <열한 계단> (4편) [2] 차칸양 2018.04.03 868
3806 [수요편지] 세상의 가운데로 보낸 자기유배 [1] 장재용 2019.07.17 868
3805 [월요편지 115] 부자와 가난한 사람의 차이가 고작 이것 때문이라고? 습관의 완성 2022.07.10 868
3804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열 번째 이야기 [2] 제산 2019.01.28 869
3803 [화요편지]12주차 미션보드_아이와 함께라 더 행복한 엄마의 강점혁명 프로젝트 아난다 2019.11.26 869
3802 [금욜편지 120- 책쓰기는 함께놀기다] 수희향 2020.01.17 869
3801 제대로 보는 방법 [1] 불씨 2022.02.15 869
3800 [일상에 스민 문학] 미세먼지로 뒤덮힌 분노의 포도 정재엽 2018.03.28 870
3799 [화요편지]4주차 미션보드_가지 않은 길을 걸어보다 아난다 2019.08.06 871
3798 [금욜편지 108- 책쓰기는 책읽기다- 시사편] [2] 수희향 2019.10.11 871
3797 [월요편지 111] 책을 더럽게 읽는 남자 [2] 습관의 완성 2022.06.12 8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