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요한
- 조회 수 8005
- 댓글 수 6
- 추천 수 0
“운동선수는요, 매일 안 하면 안 돼요. 세상없는 사람도 매일 안 하면 못 하게 되어 있죠. 모든 연주는 전부 육체로 하는 거지요. 가야금을 한 달만 쉬면 못합니다. 못 허는 이유는 첫 째가 손끝에 물집이 잡혀서 못 허고, 두 번째는 손가락 근육이 풀려버려요. 100미터 단거리 선수가 한 달 안 뛰다 뛰라고 하면 못 뛸 걸요. 어떤 면에서는 연주하는 거 자체가 스포츠입니다. 그래서 ‘군말 없이’ 매일 해야 돼요. 그런데 연주하는 사람이 매일 한다는 게, 그게 멍에를 짊어지는 거지. 근데 멍에를 짊어지는 그 맛이 기가 막힌 거야.”
- 국립국악관현악단 예술감독 황 병기, 2008. 9. 20일 동아일보 인터뷰 중에서 -
-----------------------------------------------
화가 김 점선은 자신을 예술가가 아니라 ‘그림을 그리는 육체노동자’라고 소개합니다. 그녀는 창작의 동력이라고 할 수 있는 영감에 대해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예술가는 영감을 얻은 후 작업을 하는 것이 아니라 작업 과정에서 영감을 얻는 것이다.’ 그렇기에 그녀는 영감이 떠오를 때나 떠오르지 않을 때나 상관없이 일 년에 360일 동안 그림을 그립니다.
재즈 기타리스트인 존 스코필드는 슬럼프에 대한 대처방법에 대하여 이렇게 이야기를 합니다. “어떤 날은 연주가 잘 되지만 또 어떤 날은 그렇지 못하다. 인생과 똑같다. 그러나 어느 날 연주에 진전이 없는 날이 있다면 그 이튿날은 분명 영감이 떠오르고 진전이 있을 것이다. 그러니 걱정할 필요 없다. 그러므로 매일 연습하라.”
작가 이 외수는 소설 ‘벽오금학도’를 쓸 때 자신의 집에 철창을 만들어놓고 그 안에 들어가 글을 썼던 것으로 유명합니다. 지난 14일 은퇴경기를 가진 골프 여제 소렌스탐은 허리 근력을 키우기 위해 매일 윗몸 일으키기 150회를 포함하여 총 750회의 복근훈련을 해왔다고 합니다. 대단한 자기통제가 아닐 수 없습니다.
하고 싶을 때 하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하고 싶지 않을 때, 영감이 떠오르지 않을 때 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진정한 프로의식입니다. 우리는 누구나 다른 사람들로부터 구속당하고 싶지 않습니다. 자유롭게 살고 싶어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왜 소와 말처럼 누군가 씌워놓은 멍에를 벗지 못하는 것일까요? 그것은 스스로 멍에를 짊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자유란 '타인의 구속에서 벗어나 스스로를 구속시키는 것’임을 저는 이제야 알게 되었습니다. 매일 하렵니다.
댓글
6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817 | 소명의 발견 [2] | 김도윤 | 2008.12.04 | 3672 |
3816 |
내 꽃도 한 번은 피리라 ![]() | 구본형 | 2008.12.05 | 5344 |
3815 | Good & Bye | 박승오 | 2008.12.08 | 3927 |
3814 |
자기검열에서 벗어나라 ![]() | 문요한 | 2008.12.09 | 7681 |
3813 | 노란책 두 권 [2] | 김도윤 | 2008.12.11 | 5011 |
3812 |
냉정하고 땨뜻한 패러독스 ![]() | 구본형 | 2008.12.12 | 4633 |
3811 |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살아가거라" ![]() | 박승오 | 2008.12.15 | 5279 |
» |
스스로 멍에를 짊어진다는 것 ![]() | 문요한 | 2008.12.16 | 8005 |
3809 | 내가 넘어진 곳 [1] | 김도윤 | 2008.12.18 | 3278 |
3808 |
세 가지에 뛰어난 인물 ![]() | 구본형 | 2008.12.19 | 4617 |
3807 | 사부(師父), 구본형 | 박승오 | 2008.12.22 | 3334 |
3806 |
당신의 나이에 0.7을 곱하라 ![]() | 문요한 | 2008.12.23 | 4928 |
3805 | 소라 고둥 껍데기 (the shell) [14] | 김도윤 | 2008.12.25 | 4554 |
3804 |
아주 민감한 고성능 포착 센서 ![]() | 구본형 | 2008.12.26 | 3894 |
3803 | 쉰 한 번째 서툰 편지 [15] | 박승오 | 2008.12.29 | 4808 |
3802 |
감사합니다. 지금 이대로 감사합니다. ![]() | 문요한 | 2008.12.30 | 4405 |
3801 | 참 좋은 한 해, '마음을 나누는 편지' 새로운 필진을 소개합니다. [5] | 구본형 | 2009.01.02 | 4153 |
3800 | 당신의 왼손에는 무엇이 들려있나요? [22] | 신종윤 | 2009.01.05 | 3525 |
3799 | 나는 죽는 날까지 늘 목이 마르게 살 것이다 [15] | 이한숙 | 2009.01.06 | 3837 |
3798 |
고통을 백화점에 진열해 객관화 하라 ![]() | 앤 | 2009.01.07 | 42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