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용규
  • 조회 수 3389
  • 댓글 수 5
  • 추천 수 0
2009년 1월 15일 00시 39분 등록

이번 추위는 제대로인 것 같습니다. 며칠째 산방의 수도에 물이 나오질 않습니다. 수도가 언 것입니다. 나의 산방은 숲에서 흐르는 물을 모아 수도관으로 끌어 쓰고 있는데, 이번 추위를 견디지 못하고 얼고 말았습니다. 할 수 없이 느티나무 아래 옹달샘의 물을 길어다가 쓰며 원시인처럼 살고 있습니다. 가뭄으로 물의 양이 많이 줄어들긴 했지만, 사계절 단 한 번도 끊이지 않고 흐르는 저 옹달샘이 있어 참으로 다행입니다. 나는 홀로 이 옹달샘을 생명을 키우는 샘이라 부릅니다.

 

여름 한 철 농부는 이곳의 물을 떠 갈증을 지웠고, 나는 이 물을 길어 쓰며 오두막을 지었습니다. 그대도 알듯이, 저 옹달샘에는 나만이 아닌 수많은 생명이 기대어 살아갑니다. 샘 위에 앉은 느티나무는 수십 년을 저 샘에 기대고, 또한 수호신처럼 그것을 지키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지난 해 봄, 도롱뇽은 이곳에 알을 낳았고, 청개구리는 무시로 이곳을 오갔습니다. 지난 여름 두꺼비 한 쌍도 몇 주일 이곳에 머물다 숲으로 돌아간 적이 있습니다. 머위와 이끼는 이 옹달샘의 물을 머금어 삶을 잇고, 제법 많은 곤충들이 저 물속에서 우화할 것입니다. 산방 앞 밭의 여름 밤을 수놓았던 반딧불 중 몇 마리는 아마 이곳 샘의 물이 흐르는 언저리가 고향이었을 것입니다. 결국 저 샘이 있어 내가 살아가고 다른 많은 생명들도 살아갑니다.

 

아랫마을 어르신들은 어느 가뭄에도 끊이지 않고 차오르고 흐르는 이 샘을 신이 주셨다고 합니다. 옆에 사는 나더러 기분 좋으라고 하시는 말씀일 겁니다. 그러나 몇 개월의 가뭄에도 물이 마르지 않는 까닭은 저 숲에 사는 생명들의 다양성 때문임을 나는 알고 있습니다.

 

모든 숲에 옹달샘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큰 나무들만 사는 숲에는 옹달샘이 생겨나기 어렵습니다. 작은 나무나 풀들만 있는 숲에도 옹달샘이 솟을 리 없습니다. 비가 올 때, 작은 나무와 풀과 이끼들은 큰 나무가 놓치는 빗방울을 한 번 더 거르며 잡아둡니다. 작은 그들은 줄기와 잎을 활용해서 빗물의 유속을 줄이고 그들의 뿌리 근처 땅 속으로 스미는 물을 잡아둡니다. 큰 나무들은 자신의 깊은 뿌리줄기를 통해 더 깊숙이 스며든 물들을 잡아당깁니다. 식물들 각각의 뿌리 깊이가 다르다는 것이 토양의 각기 다른 층에 물이 머물고 흐르게 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크고 작은 생명들이 각자의 자리를 차지하며 드넓게 퍼져 살아갈 때 숲은 마르지 않는 스폰지가 되는 것입니다. 그 생명들의 뿌리 깊이가 다를수록 숲을 지나는 물의 발걸음은 느려지고 숲은 더욱 푸르러집니다. 그러한 곳이라야 비로소 생명을 키우는 샘이 생겨날 수 있는 것입니다.

 

나는 사람의 숲도 이와 다르지 않다고 믿습니다. 추운 겨울, 수도가 얼면 겪게 될 절박한 갈증을 해소해 줄 마르지 않는 옹달샘이 사람의 숲에도 있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나를 적시고 다시 누군가의 갈증을 적시며 생명 서로를 키워낼 수 있는 샘이 있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이시대 우리는 너무 같은 길을 걷도록 튜닝 되고 있습니다. 같은 목소리만 내라 합니다. 더 빨리 크고 곧게 뻗는, 큰 나무들만이 사는 숲이 되자 합니다. 그러나 그 숲에는 옹달샘이 생겨날 수 없을 것입니다. 세상의 꼴이 자연의 이치를 넘어설 수 없기 때문입니다. 우리를 살릴 수 있는 샘은 다양성 속에 거()하는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IMG_0471.jpg

IP *.142.181.167

프로필 이미지
햇빛처럼
2009.01.15 06:51:34 *.220.176.128
산방이 많이 추우시겠군요.
평지가 이러하니 외딴집인 산방 또한 그러하리라 지레짐작 해 봅니다.
어릴적 기억에는 삼한 사온이 비교적 잘 지켜진 것 같은데 어찌된 일인지 요즘 추위는 갈피를 못잡겠네요.

"사람의 숲", "옹달샘" 좋은 생각거리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썽이리
2009.01.15 11:43:03 *.48.246.10
머리속을 스치는 두가지 단어 '화이부동' 과 '더불어숲', 숲이 간직한 다양성의 비밀을 배워 갑니다. Copy Nature!
프로필 이미지
성파 김주한
2009.01.15 18:30:53 *.41.37.96
안그래도 산방의 첫 겨울이 어떨까 궁금했었는데 이 편지로나마 조금씩 들여다 볼 수 있어서 좋습니다.
수도관이 어는 바람에 옹달샘의 소중함을 느끼셨군요. 숲에서 설명해 주셨던 나무들의 삶과 다를 바 없군요,
그대로 자연이 되어가는 모습입니다. 해를 넘기기 전에 찾아가겠다는 약속은 못 지켰습니다.
최근에 근처에 가보긴 했지만 글 쓰시는데 방해될까봐 불쑥 찾아가지 못했습니다.
조만간 산방의 겨울을 맛보러 가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김용규
2009.01.15 20:44:42 *.229.251.16
햇빛처럼님_ 산방은 바람이 적고 40Cm에 달하는 두꺼운 흙벽의 두께로 추운 줄 모르고 생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외부는 낮은 기온으로부터 자유롭지가 않은 모양입니다. 삼한사온이 무너지고 있는 것 또한 기후변화의 한 징후일 테지요. 큰 일입니다.T.T 의미있게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썽이리님_ 말씀대로 숲이 보여주는 균형은 바로 각자의 숲 생명체가 보여주는 '和而不同'의 모습에서 오는 것 같습니다. 그 모습을 통해 숲은 모두가 더불어 살아가고 있는 듯 합니다. 다양성이 장려되지 못하고 오히려 실종되어가는 세상을 염려하는 마음으로 써 본 글을 잘 정리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성파_ 자주 보지 않아도 항상 같이 있는 것 같은 느낌을 갖게 하는 이들이 있습니다. 그래도 그런 듬직한 그리움은 가끔 보게 되는 것 만은 못합니다. 책의 원고가 마무리 되어갈 즈음 카메라 무겁게 들고 찾아주면 좋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현암
2009.01.16 23:15:52 *.102.104.217
옹달샘은 토끼만 물 마시러 가는 곳이 아니었군요~!
그렇게 많은 생명들이 기대어 살고 있다는 걸 놓치고 있었는데
이 글을 읽고 따로 또 같이 살아가는 것에 대해 다시 생각해 봅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56 화요편지 - 음식은 힘이 셉니다 [3] 종종 2022.08.23 884
3755 여기 김광석을 통해 꿈을 노래하는 청년이 있습니다 file 차칸양 2017.11.01 885
3754 소녀들을 위한 내 몸 안내서 제산 2019.05.13 885
3753 [자유학년제 가족 독서 #01] 피터 히스토리아 file [4] 제산 2018.04.16 887
3752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열한 번째 이야기 [2] 제산 2019.02.10 887
3751 [월요편지-책과 함께] 무엇을 생각할까 [1] 에움길~ 2023.05.29 887
3750 Business Tip - 적과의 동침 [2] 書元 2017.06.17 888
3749 [금욜편지 101- 책쓰기와 글쓰기의 차이점] 수희향 2019.08.16 888
3748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와인과 음악, 설렘이 있는 11월 2 file 알로하 2019.11.24 888
3747 [수요편지] 흔들리는 나침반 불씨 2022.06.14 888
3746 [금욜편지 124- 헤라클레스가 에니어그램을 알았더라면- 프롤로그] 수희향 2020.02.21 889
3745 목요편지 - 벚꽃이 피었습니다 [2] 운제 2020.03.26 889
3744 [라이프 충전소] 최고와 최악의 상황을 함께 그려보는 습관 [2] 김글리 2022.06.17 889
3743 부모님의 삶 [1] 어니언 2022.07.14 889
3742 창업결정 전 5가지 셀프질문 (세번째) [4] 이철민 2017.08.24 890
3741 [금욜편지 24- 스승님 소천] file [2] 수희향 2018.02.09 890
3740 [일상에 스민 문학] - 우울할 땐 풍선을 불어요 [9] 정재엽 2018.02.14 890
3739 [금욜편지 50- 신화속 휴먼유형- 하데스형 3- 유형분석] [2] 수희향 2018.08.17 890
3738 두 번째 시작 [3] 어니언 2023.11.09 890
3737 [금욜편지 95- 차칸양과 함께 만나실래요] 수희향 2019.07.05 8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