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용규
- 조회 수 3922
- 댓글 수 12
- 추천 수 0
나의 스승님은 산과 숲을 베개 삼아 살기 시작한 내게 ‘이제 네가 있어야 할 곳에 있음을 알겠다’ 하셨습니다. 검게 그을린 피부에 투박하고 거친 모습의 차림으로 생활하고 있지만, 이곳 나의 삶이 물을 찾은 물고기와 같다고 느끼신 듯 합니다. 그 짧은 말씀은 실로 정확한 표현이었습니다. 나는 이곳이 좋고 이곳에서 걷고 있는 지금 내 삶의 길이 좋습니다. 도회에서의 삶보다 훨씬 궁핍하고 불편하지만, 일상은 평화롭고, 그 평화 속에 기쁜 흥분이 함께 하는 삶입니다.
무당벌레가 있을 곳은 나무였고 풀이었습니다. 한낮, 마루 앞 뜰에 심어놓은 나무들에게 말을 걸다가 나뭇가지 여기저기에 붙어 볕을 쬐고 있는 무당벌레들을 보았습니다. 얼마 전까지 나와 함께 이 오두막의 방 안에서 겨울을 난 녀석들을 아침마다 내보내주고 있는데, 녀석들이 뜰의 나뭇가지에 새로운 거처를 마련한 것입니다. 날아다니는 벌이 많아진 걸 보면 조만간 무당벌레들이 좋아하는 진딧물도 나올 것입니다. 들과 숲에서 살아있는 농약이라 불리는 조절자 역할을 하며 한 시절을 보내기 위한 새 거처가 그들에게 참 좋아 보였습니다. 이제부터 그들이 있을 곳은 그곳이었습니다.
개는 늑대의 삶을 포기하는 순간부터 길들여지기 시작했습니다. 야생을 달리며 뿜어냈던 거친 울음소리는 길게 뻗어나가지 못하고 이내 소멸하는 짧은 울음소리로 변했습니다. 늑대의 희망은 주인이 던져주는 고깃덩이 앞에서 사라졌습니다. 그때부터 사냥을 내던지고 때가 되면 밥그릇을 바라보며 주인의 손길을 기다리는 예속의 삶이 시작된 것입니다.
새장은 새가 있을 곳이 아닙니다. 야생의 자유를 추구하는 새에게 위험은 중요한 문제가 아닙니다. 새장 속에 갇혀 자유를 저당 잡히고 안전을 대가로 받아먹는 먹이는 새에게는 온전한 희망을 담은 먹이가 아닙니다. 매는 창공을 선회하면서 날다가 수직으로 내려꽂으며 뱀을 움켜잡을 때, 박새와 딱새와 오목눈이는 가시덤불을 헤치고 거미를 사냥하며 분주할 때 비로소 희망과 함께 사는 것입니다.
모든 생명은 저다울 수 있을 권리를 타고났습니다. 누구도 누구를 가둘 수 없습니다. 우리 또한 저다울 수 없는 삶이 지속되는 곳에 처해 있다면, 그것 때문에 삶이 힘겹고 피폐해진다면 그곳은 우리가 있을 곳이 아닙니다. 어깨 위가 묵직하게 결려오기 시작하고 그곳으로 향하는 발걸음이 날마다 무거워 온다면, 이제 기꺼이 떠나야 할 때가 멀지 않았음을 알아채야 합니다.
있을 곳에 있는 것. 그것이 또한 희망입니다.

첫눈에 읽기 시작한 글이 마지막 꼭지를 다 먹고 난후에도 왠지 배고프다.
이제 생태의 글을 몇권 쓰고 난 후에는 세속과 함께하는 자연인의 글쟁이가 되었으면,
왜냐하면 그대의 글을 읽는 사람은 세속에 찌들린 어려운 사람이다. 그와 함께 숨쉬는 글이 되어야지 나혼자 고고한 경지에 앉아 있으면 ...
부처님이 도를 얻고 난 후에 어려운이를 구하기 위하여 세속으로 갔기에 이를 대승이라하였고
나반존자는 홀로 산골에서 자신의 도를 홀로 즐기다가 세상을 떠났기에 이를 소승이라 하였다.
白烏당!
대승의 길을 고려 해보지 않겠나...
"无平不陂 无往不復 艱貞 无咎 勿恤 其孚 于食有福"
세상에는 비탈도 평평함도 없다 감도 없고 옴도 없다. 세상을 끝까지 살려면 어려움은 일상이다. 그렇게 살아도 허물은 없다. 믿고 끝가지 가면 그대의 복은 그곳에 있을 것이다.
자네와 같이 교보문고에서 신윤복씨의 강의를 보여 주었을 때 주역부분을 펴을 때 보인 구절이다.
나는 이 구절을 멀리보이는 지평선은 바르고 평온해 보여도 실재는 비탈도 시궁창도 그곳에는 있는 법이다. 라고 해석해 준때가 우리가 몇번 만나지 않았을 때이다.
용규!
좋은 글은 자네의 맘의 향기이다. 아침에 일어나 그대의 진한 향기를 느끼고 일상을 가네, 잘 읽었네...

그 때는 희망이 그립지 않은 때
언제 부터였을까요
누가 맨처음에 제자리에 있는 것들을 옮기었을까
왜 옮기었을까?
짐승으로 보면 어미가 새끼를 물고 가는 것을 본 적이 있다는 생각
사람으로 보면
갑자기 몸이 섬찟해 옵니다.
사람만이 자르고, 뜯어내고, 상채기를 내어서 옮깁니다.
그동안 얼마나 못되게 굴었는지 우리는 모르는 척해도
저 칼날이 언젠가는 우리를 자르고 동강내리라는 두려운 마음 끝에 희망을 찾습니다.
제자리를 찾아가는 '다움'의 그리움!
오늘 아침
그래도 우리에게는 님과 같은 든든한 파숫꾼이 있다는 생각에
먼산 보며 감사함을 전합니다.
뭐가 보이시거든 또 얼른 알려 주세요!
제가 정신차리게....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637 | 세상은 저절로 좋아지지 않는다. | 신종윤 | 2009.04.06 | 3648 |
636 | 모험을 찾아 떠난 사내 | 구본형 | 2009.04.03 | 3242 |
635 | 울지마라! | 김용규 | 2009.04.02 | 3918 |
634 | 하쿠나 마타타 | 신종윤 | 2009.03.30 | 3391 |
633 | 그 사내, 무사 | 구본형 | 2009.03.27 | 3352 |
632 | 기다림 | 김용규 | 2009.03.26 | 3349 |
631 | 편지12: 나는 희망을 위해 달리는 호프워커(hopeworker)! | 이한숙 | 2009.03.24 | 3390 |
630 | 죽음이 들려준 이야기 | 신종윤 | 2009.03.23 | 3747 |
629 | 삼 만개의 인생 - 내가 그를 좋아하는 이유 | 구본형 | 2009.03.20 | 3515 |
628 | 절박함 | 김용규 | 2009.03.19 | 3376 |
627 | (11) 당신안의 자신과 대면 할때 | 서지희 | 2009.03.18 | 3381 |
626 | 인터뷰9: 그림그리는 가수 리사 - 그녀 안의 다국적 무늬 | 이한숙 | 2009.03.17 | 4566 |
625 | 나에게 주는 선물 - 용서 [2] | 신종윤 | 2009.03.16 | 3822 |
624 |
그 사람 늘 청년 ![]() | 구본형 | 2009.03.13 | 6898 |
» |
있을 곳에 있는 것의 희망 ![]() | 김용규 | 2009.03.12 | 3922 |
622 |
편지10:<SCENE PLAYBILL>정연주사장 - 내 인생에 핑계는 없다 ![]() | 소은 | 2009.03.10 | 7349 |
621 |
자동차를 파는 스파이더맨 ![]() | 신종윤 | 2009.03.09 | 4437 |
620 |
빨간 여인 ![]() | 구본형 | 2009.03.06 | 4240 |
619 |
포장지만으로는 희망을 담을 수 없다 ![]() | 김용규 | 2009.03.05 | 3439 |
618 | (9) 표현은 달라도 사랑하고 있는 것 [4] | 지희 | 2009.03.04 | 37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