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구본형
  • 조회 수 3022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09년 4월 10일 07시 37분 등록

그는 분홍셔츠를 즐겨 입습니다. 좀 웃기는 일입니다. 그러나 쉰 살이 다 된 그에게 분홍색이 참 잘 어울립니다. 그는 말이 좀 느립니다. 어느 지방 것인지 감이 잘 안 오는 특유의 악센트가 있습니다. 그와 이야기하면 마치 퓨전 사투리를 듣는 듯합니다. 그는 연한 분홍색처럼 은근히 웃깁니다.


모여서 놀러 갈 때가 있으면 장소는 종종 그가 제공합니다. 초여름 모래밭이 긴 서해안 증도로 우리를 데리고 간 사람도 그 사람입니다. 우리는 그 모래밭에서 밤이 깊을 때까지 노래를 불렀습니다. 긴 장대에 신발을 묶어 꿰어 앞 뒤에서 어깨에 매고 발을 벗은 채 파도가 잔잔한 해변을 기차처럼 달려가기도 했습니다. 그곳은 우리에게 노래와 웃음과 파도로 남았습니다. 신입 연구원들이 들어오는 4월 초에 우리는 언제나 벚꽃이 흐드러지게 피는 곳에서 환영회를 갖습니다. 내일이 바로 그 날입니다. 우리가 모이는 속초 울산 바위 앞 그곳도 그가 우리를 위해 마련해 주었습니다.


취미도 독특합니다. 두꺼운 한글 사전을 처음부터 뒤져가며 힘차고 아름다운 한국말을 찾아냅니다. 그리고 날마다 그 말들이 주는 좋은 뜻을 새기며 하루를 시작하고 싶어 합니다.

한 번 따라해 보세요. 눈,코, 턱, 뺨, 귀, 입 코. 모두 한 자지요 ? 왜 우리 얼굴의 주요 부위를 가리키는 이름들이 모두 한 자 일까요 ? 또 있습니다. 뼈, 살, 혼, 넋, 힘 같이 몸을 지탱하고 움직이는 기본 구조와 에너지에 왜 힘이 펄펄 넘치는 한 자 짜리 멋진 단어가 이렇게 많을까요 ?

신기하게 그는 이런 것에 관심이 많은 사람입니다. 매일 좋은 말 한 자 씩을 찾아 좋은 뜻으로 가득 채우고, 365 페이지 만들어 마치 일력을 보듯 매일 그날의 그 단어를 찾아 음미하는 것으로 하루를 보내게 하는 '한 페이지의 명상집' 같은 것을 만들어 내고 싶어 합니다. 아직 어느 출판사도 관심을 보여주지 않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도 주춤하고 있는 듯 합니다. 그러나 나는 언젠가 그가 방대한 사전 찾기를 마치고 매 한페이지마다 아름답고 힘찬 우리 단어에 밴 미학과 스토리를 엮어 낼 것을 기다립니다.


그래서 오늘 그에게 짧은 편지를 씁니다.


"그렇다. 우리의 하루는 쉽게 건조해 지기 쉽다. 우리는 새로운 희망없이 하루를 시작하고, 매일 반복되는 일, 매일 만나는 사람, 매일 다니는 길을 걸으며 하루가 저무는 것을 본다.

아침에 일어나 잠시 거울을 보듯, 얼굴에 가벼운 화장을 하듯 혹은 면도 후 스킨을 바르 듯, 허공에 떠 도는 무수한 단어들 중에 가장 아름다운 단어 하나를 잡아 하루를 여는 화두로 삼아 보는 것은 좋은 아이디어 인 듯 하구나. 언제 너의 그 주술 책이 나오는 것이냐 ?

나는 오늘 아침 붉디 붉은, 차마 마주 쳐다 볼 수 없는 '해'로 하루를 열어 볼까 한다. 너의 오늘은 어떤 좋은 단어로 열렸느냐 ? "

IP *.96.12.130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6 [화요편지]삶의 기쁨이 깨어나는 시간, 아난다 인요가 file 아난다 2020.12.22 6327
655 같이 오른다는 것에 관하여 (데날리 이야기) [2] 장재용 2020.12.22 1644
654 크리스마스 운제 2020.12.24 1443
653 [용기충전소] 매일 매일이 새로워지는 비법 file [1] 김글리 2020.12.25 2107
652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40] 은퇴 후 나는 무엇으로 돈을 벌 수 있을까? [1] 습관의 완성 2020.12.27 1771
651 [화요편지]가장 사랑하는 그들이 나를 아프게 할 때 file [2] 아난다 2020.12.29 1852
650 캐나다 록키산맥 Mt. Cascade 등반기 [1] 장재용 2020.12.29 1583
649 마지막 편지 [4] 운제 2020.12.31 1575
648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41] 꿈을 찾아 퇴사부터 하려는 당신에게 [2] 습관의 완성 2021.01.03 1862
647 [화요편지] 책 속에는 답이 없다, 그러나 file [2] 아난다 2021.01.05 2098
646 에트나(Mt. Etna)에 있드나 [1] 장재용 2021.01.05 1942
645 목요편지를 시작하며 [2] 어니언 2021.01.07 1359
644 [용기충전소] 불안을 친구로 만들기 김글리 2021.01.08 1449
643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깨져야만 알게 되는 것들 file 알로하 2021.01.10 2141
642 [월요편지 42] 미래에서 온 아버지의 첫 편지 [1] 습관의 완성 2021.01.10 1651
641 [화요편지]'책 속에는 정말 답이 없는 거냐'고 묻는 당신에게 [2] 아난다 2021.01.12 1599
640 수틀리면 터져버리는 그녀, 에트나처럼 [1] 장재용 2021.01.13 1625
639 [목요편지] 사랑을 위해 죽음을 택하다 [3] 어니언 2021.01.14 1175
638 [용기충전소] 거북이가 이긴 이유 [1] 김글리 2021.01.15 1973
637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아프니까 프로다 [2] 알로하 2021.01.17 1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