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용규
  • 조회 수 4298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09년 4월 16일 06시 02분 등록



첫 책을 낸 뒤, 이러저러한 일정으로 일주일쯤 산방을 비웠습니다. 어젯밤 늦게야 산방으로 돌아왔습니다. 늦은 아침 깨어나 숲을 바라보니 뒷산의 숲이 집 비우던 날의 숲이 아니었습니다. 지금 이 숲은 홀로 보기 아까운 풍경으로 가득합니다.

길섶의 낮은 자리에는 한 뼘도 안 되는 노란색 꽃다지의 꽃들이 어느새 열매를 만들어 두었고, 냉이는 부쩍 키가 실해져 일찍 핀 꽃들은 어느새 심장모양의 열매로 변해 있었습니다. 숲의 중심부는 중심다운 욕망으로 화려합니다. 낙엽송은 새 잎을 내어 초록물감을 뒤집어썼고, 느티나무는 연두색 물감을 휘저어 생기를 찾았습니다. 숲 가장자리도 분주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조팝나무는 그 작은 흰색의 꽃들을 일거에 피워 봄눈처럼 하얀 이불을 만들어 덮었고, 찔레는 파릇한 새순으로 봄비를 맞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이 숲의 백미는 산벚나무와 개복숭아나무들이 피운 꽃들의 모습입니다. 산벚나무들은 지금 희거나 연분홍색인 꽃을 제 선 자리 곳곳에서 피워대느라 아우성입니다. 그들이 피운 꽃의 띠를 연결하면 꽃이 마치 숲의 허리를 두르는 벨트처럼 보입니다. 개복숭아들은 한결 야한 깊이의 분홍색 꽃을 피워 시선을 잡아당깁니다. 그들은 지금 이 숲 가장자리의 주인공입니다. 이제부터 산방 뒤에 가져다 놓은 벌통의 벌들은 끊임없는 노동으로 바쁠 것입니다.

이 좋은 봄날, 읍내에 볼일이 있어 산방을 나섰습니다. 마을 어르신 한 분을 만나 차로 모시고 갔습니다. 각자 일을 본 뒤 장터에서 국밥 한 그릇을 대접해 드리고 함께 돌아왔습니다. 돌아오는 길마다 곳곳이 훌륭한 봄 풍경으로 가득했습니다. 산벚나무들의 꽃에 취해 감탄사가 절로 나오는 내게 어르신이 “저거 다 베야 혀!” 하십니다. “아 저 눔덜이 너무 왕성해서 소나무가 다 사라지고 있잖여!” 하십니다.

산방으로 돌아와 나는 다시 이 숲을 보고 있습니다. 소나무를 중시하느라 다른 나무를 적당히 베어내야 한다는 어르신의 말씀을 생각하는 중입니다. 어르신의 말씀이 오늘 하루 내게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습니다. 그대는 어찌 생각하시는지요? 도심 조경수로 수천만 원, 수억 원을 호가할 만큼 우리들의 정서에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나무, 소나무를 지키기 위해 다른 나무들을 솎아 베어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그대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나는 지역을 가리지 않고 우리 문화 곳곳에 자리잡고 있는 이 무자비한 불감증에 현기증이 나는군요. 우리 문화 곳곳에 홀로 보기 아까운 풍경들이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을 수 있을 텐데, 이 무자비한 불감증 때문에 우리 문화는 점점 더 쇠하는 것이 아닌가 한탄하게 되는군요.

소나무만 들어선 단순한 숲에서는 지금 저토록 불타는 봄을 만나지 못할 것입니다.



알림:
변화경영연구소의 박승오, 홍승완 연구원이 진행하는 '나침반 프로그램'이 5월 3일,5일,9일의 3일과정으로 진행됩니다. 20대의 갈림길에서 인생의 방향을 찾기 위한 자아탐색 프로그램입니다. 내용을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해보십시오.



IP *.96.12.130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96 결심의 과정 [2] 어니언 2023.10.12 900
3695 [라이프충전소] 글이 안 써질 때 써먹을 수 있는 방법 [4] 김글리 2022.01.21 901
3694 Business Tip - 세상에 매달리기 [1] 書元 2017.06.03 902
3693 [화요편지]5주차 미션보드_내 생의 마지막 날 아난다 2019.08.20 902
3692 [수요편지] 아내가 낯선 남자와 한 이불 덮은 사연 장재용 2019.10.30 902
3691 [수요편지] 월급쟁이 장재용 2020.01.07 902
3690 낭중지추 [1] 불씨 2022.06.21 902
3689 #따로또같이 프로젝트 – 일단 정지, 짧고 간헐적인 땡땡이의 잔기술 [2] 종종 2022.07.05 902
3688 [일상에 스민 문학] 허클베리핀의 모험 정재엽 2018.07.18 903
3687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일곱 번째 이야기 [1] 제산 2018.11.26 904
3686 [화요편지]9주차 미션보드 _ 내 안에서 보물찾기 아난다 2019.10.15 904
3685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나비를 꿈꾸며... 2 file 알로하 2020.08.02 904
3684 산과의 첫 만남 [1] 장재용 2020.10.13 904
3683 [일상에 스민 문학] -<비에도 지지 않고> 정재엽 2018.01.31 905
3682 시즌 마케팅은 소비자의 '구매코드'를 정하는 것에서 시작 [2] 이철민 2017.12.28 906
3681 [화요편지] 청소년 진로탐험 여행을 마치고 아난다 2020.01.21 906
3680 [수요편지] 한해를 마무리하며 [1] 불씨 2022.12.28 906
3679 목요편지 - 우째 이런 일이 운제 2019.11.08 907
3678 목요편지 - 요즘 어떻게 지내십니까? 운제 2020.02.21 907
3677 [월요편지 103] 그래 결심했어, 천천히 던질 것인가? 전력투구 할 것인가? [1] 습관의 완성 2022.04.10 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