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한숙
- 조회 수 3724
- 댓글 수 0
- 추천 수 0
지난 일요일, 행복숲에 갔습니다. 얼마 전에 이 코너에 소개한 이정애 선생님과 함께였습니다. 인연이란 참 묘합니다. 선생님을 인터뷰하던 날, 김용규님(백오)의 책, <숲에게 길을 묻다>를 선물해드렸습니다. 며칠 지나지 않아 그 책을 읽었다며 이정애 선생님이 메일 한 통을 보내왔습니다. ‘행복숲에 나무 한 그루 심을 정성을 저자에게 전하고 싶다’는 내용이었습니다.
기쁜 마음에 저는 바로 전화를 드려 ‘어떤 나무를 심고 싶으신지’를 물었습니다. 그리고는 알았습니다. 그녀가 나무를 심고 싶다고 한 것은 진짜로 나무를 심고 싶은 것이 아니라 백오를 돕고 싶다는 의미란 것을요. 편지를 다시 보니 ‘나무 한 그루를 심고 싶다’가 아니라 ‘나무 한 그루 심을 정성을 전하고 싶다’ 라고 되어 있더군요. 그러나 때로는 그렇게 얼렁뚱땅 제멋대로 해석하고 일을 벌이는 것도 나쁘진 않습니다. 그 일로 결국 그녀는 행복숲에 감나무를 심기로 결정을 하였기 때문이지요.
단지 책만 읽지 않고, 저자가 하는 일에 뭔가 보탬이 되고자 마음을 먹어준 그녀의 아름다운 행동력에 저는 톡톡히 감탄을 했습니다. 그래서 그녀에게 백오라는 한 아름다운 넘과, 그 넘의 꿈과, 그 넘이 어렵게 결단하고 숲에 들어간 이유와, 그 넘이 진행하는 행복숲 프로젝트의 의미를 열심히 설명했습니다. 저 역시 그 넘의 아름다운 계획에 감동하여 그 공동체의 일원이 되기로 마음을 먹은 한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아름다운 넘 공동체에는 그녀와 같이 아름다운 사람들이 모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곳에 자신의 나무를 한 그루 심으면 그 나무와 함께 그녀는 자연스럽게 행복숲과 오랜 인연을 맺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동일한 이유로 저와 4기 연구원들도 스승님의 뜻을 받들어 얼마 전에 그곳에 커다란 감나무 한 그루를 심었습니다. (http://www.bhgoo.com/zbxe/187097)
일은 일사천리로 진행되었습니다. 10일 후로 나무 심는 날을 정했습니다. 일단 나무를 심기로 결정한 그녀는 감나무를 심겠다고 했습니다. 사람은 혼자서는 살 수 없다는 것을, 서로 연대하며 보듬고 사랑해야 하는 존재라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아는 그녀는 접을 붙여야 사는 감나무를 자신의 나무로 골랐습니다. 백오에게 전화를 걸어 예쁜 감나무를 구해달라고 부탁하다가 홀연히 제게도 깨달음이 찾아왔습니다. 그 깨달음은 내게 고요히 외쳤습니다. ‘너도 거기에 나무를 심지 그러느냐!’. 그렇습니다. 그녀에게 나무를 심으라고 간절히 설득하는 내 맘 속에는 내 나무 한 그루를 갖고 싶은 마음이 그 누구보다 간절했던 것입니다. 그래서 저도 친한 친구의 도움을 받아 아일랜드 켈틱 사람들이 사랑(love)과 아름다움(beauty)과 관용(generosity)의 상징으로 삼는다는 사과나무를 심기로 했습니다.
사과나무를 심으러 가던 날 새벽, 저는 일찍 일어나 한 편의 편지를 자신에게 썼습니다. 편지를 쓰면서 알았습니다. 나무를 심는 일은 그곳에 내 마음도 함께 심는 일이라는 것을, 또한 그것은 내 남은 인생과 내가 맺는 살뜰한 맹서라는 것을! 아침 일찍 괴산 행복숲으로 가기 위해 우리 동네 수지로 오신 이정애 선생님도 밤새 한숨도 자지 못했다고 했습니다. 그녀 역시 자신의 나무 한 그루를 이 땅에 심는 일이 저처럼 심히 가슴이 떨리는 일인지라, 흥분과 설렘으로 잠을 이룰 수가 없었던 것입니다. 차 안에 마주 앉은 45살 여자와 48살 여자는 서로 말은 하지 않았지만 나무를 심는 날 아침 한 마음으로 공명하며 기쁨의 눈시울을 붉혔습니다. 그 동안 그녀들의 눈물샘이 마를 날이 없었던 것은 바로 이런 날의 기쁨을 위한 대가였는지도 모릅니다.
나무를 심던 날 풍경 더 보기 : http://www.bhgoo.com/zbxe/193269
IP *.96.12.130
기쁜 마음에 저는 바로 전화를 드려 ‘어떤 나무를 심고 싶으신지’를 물었습니다. 그리고는 알았습니다. 그녀가 나무를 심고 싶다고 한 것은 진짜로 나무를 심고 싶은 것이 아니라 백오를 돕고 싶다는 의미란 것을요. 편지를 다시 보니 ‘나무 한 그루를 심고 싶다’가 아니라 ‘나무 한 그루 심을 정성을 전하고 싶다’ 라고 되어 있더군요. 그러나 때로는 그렇게 얼렁뚱땅 제멋대로 해석하고 일을 벌이는 것도 나쁘진 않습니다. 그 일로 결국 그녀는 행복숲에 감나무를 심기로 결정을 하였기 때문이지요.
단지 책만 읽지 않고, 저자가 하는 일에 뭔가 보탬이 되고자 마음을 먹어준 그녀의 아름다운 행동력에 저는 톡톡히 감탄을 했습니다. 그래서 그녀에게 백오라는 한 아름다운 넘과, 그 넘의 꿈과, 그 넘이 어렵게 결단하고 숲에 들어간 이유와, 그 넘이 진행하는 행복숲 프로젝트의 의미를 열심히 설명했습니다. 저 역시 그 넘의 아름다운 계획에 감동하여 그 공동체의 일원이 되기로 마음을 먹은 한 사람이기 때문입니다. 아름다운 넘 공동체에는 그녀와 같이 아름다운 사람들이 모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곳에 자신의 나무를 한 그루 심으면 그 나무와 함께 그녀는 자연스럽게 행복숲과 오랜 인연을 맺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동일한 이유로 저와 4기 연구원들도 스승님의 뜻을 받들어 얼마 전에 그곳에 커다란 감나무 한 그루를 심었습니다. (http://www.bhgoo.com/zbxe/187097)
일은 일사천리로 진행되었습니다. 10일 후로 나무 심는 날을 정했습니다. 일단 나무를 심기로 결정한 그녀는 감나무를 심겠다고 했습니다. 사람은 혼자서는 살 수 없다는 것을, 서로 연대하며 보듬고 사랑해야 하는 존재라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아는 그녀는 접을 붙여야 사는 감나무를 자신의 나무로 골랐습니다. 백오에게 전화를 걸어 예쁜 감나무를 구해달라고 부탁하다가 홀연히 제게도 깨달음이 찾아왔습니다. 그 깨달음은 내게 고요히 외쳤습니다. ‘너도 거기에 나무를 심지 그러느냐!’. 그렇습니다. 그녀에게 나무를 심으라고 간절히 설득하는 내 맘 속에는 내 나무 한 그루를 갖고 싶은 마음이 그 누구보다 간절했던 것입니다. 그래서 저도 친한 친구의 도움을 받아 아일랜드 켈틱 사람들이 사랑(love)과 아름다움(beauty)과 관용(generosity)의 상징으로 삼는다는 사과나무를 심기로 했습니다.
사과나무를 심으러 가던 날 새벽, 저는 일찍 일어나 한 편의 편지를 자신에게 썼습니다. 편지를 쓰면서 알았습니다. 나무를 심는 일은 그곳에 내 마음도 함께 심는 일이라는 것을, 또한 그것은 내 남은 인생과 내가 맺는 살뜰한 맹서라는 것을! 아침 일찍 괴산 행복숲으로 가기 위해 우리 동네 수지로 오신 이정애 선생님도 밤새 한숨도 자지 못했다고 했습니다. 그녀 역시 자신의 나무 한 그루를 이 땅에 심는 일이 저처럼 심히 가슴이 떨리는 일인지라, 흥분과 설렘으로 잠을 이룰 수가 없었던 것입니다. 차 안에 마주 앉은 45살 여자와 48살 여자는 서로 말은 하지 않았지만 나무를 심는 날 아침 한 마음으로 공명하며 기쁨의 눈시울을 붉혔습니다. 그 동안 그녀들의 눈물샘이 마를 날이 없었던 것은 바로 이런 날의 기쁨을 위한 대가였는지도 모릅니다.
나무를 심던 날 풍경 더 보기 : http://www.bhgoo.com/zbxe/193269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657 | 편지18:카르페디엄! 흘러간 시간은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 | 이한숙 | 2009.05.05 | 3746 |
656 | 그저 조금 돌아왔을 뿐...... | 신종윤 | 2009.05.04 | 3288 |
655 | 4월의 숲과 새 가족 | 김용규 | 2009.05.01 | 3766 |
654 | 어둠이 그 밝음을 이기지 못한다. 그녀, 써니 | 구본형 | 2009.04.30 | 3277 |
653 | 인터뷰13: 희곡작가 류강-이제 다시 시작이다 | 이한숙 | 2009.04.29 | 3393 |
652 | 수요편지 16. 그녀의 행복이 곧 그의 행복 | 구본형 | 2009.04.29 | 2999 |
651 | 의지와 열정의 차이 | 신종윤 | 2009.04.27 | 3450 |
650 | 늙어도 늙지 않는다 마리아 아줌마 | 구본형 | 2009.04.24 | 3368 |
649 | 나무가 거센 바람을 견디는 방법 | 김용규 | 2009.04.23 | 4124 |
648 | 어머니로부터 온 편지 | 서지희 | 2009.04.22 | 3004 |
» | 편지16: 행복숲에 사과나무를 심었습니다 | 이한숙 | 2009.04.21 | 3724 |
646 | 어느 황홀한 봄날의 오후 | 신종윤 | 2009.04.20 | 3157 |
645 | 너에게 가마 이 편지 보다 빨리 | 구본형 | 2009.04.17 | 3245 |
644 | 홀로 보기 아까운 풍경을 보다가... | 김용규 | 2009.04.16 | 4556 |
643 | 사람이 아름다워 | 서지희 | 2009.04.15 | 3773 |
642 | 편지15: 바다. 항구. 등대-사부의 10분 스피치: | 이한숙 | 2009.04.14 | 3564 |
641 | 혜성처럼 나타난 신인 | 신종윤 | 2009.04.13 | 3505 |
640 | 분홍셔츠를 입은 사나이 | 구본형 | 2009.04.10 | 3248 |
639 | 재기를 꿈꾸는 사람이라면 | 김용규 | 2009.04.09 | 3818 |
638 | 아침편지14:패턴리딩강사 이정애 - 10년 만의 외출 | 이한숙 | 2009.04.07 | 37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