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용규
  • 조회 수 3766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09년 4월 23일 08시 07분 등록


곡우(穀雨)에 맞춰 이 숲에도 제법 많은 비가 내렸습니다. 하지만 계곡엔 전혀 물이 불지 않았습니다. 아마 숲을 이루고 있는 초목들이 생장을 위해 빗물을 가두어두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이번에 내린 비로 산벚나무와 개복숭아가 피워 올렸던 눈부신 꽃들은 흔적도 없이 사라졌습니다. 이어 제법 거센 봄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밭을 간 뒤 옥수수를 파종하기 위해 씌워놓은 비닐 망이 이번 바람에 훌러덩 벗겨지고 말았습니다. 산새들도 세찬 바람을 피하려는지 좀체 나는 모습을 보기 어렵습니다. 산방 앞 중경을 이루는 낙엽송 한 무리가 남에서 북으로 부는 바람에 부러질 듯 위태롭게 휘어졌다가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신기합니다. 잎사귀를 다 내어 놓았으니 한결 두터워진 몸집이고, 그만큼 바람에 대한 저항도 클 텐데, 제 한껏 키를 키운 저 높은 나무들은 그 가느다란 줄기로 어떻게 바람을 견디는 것일까요?
대부분의 큰 나무들은 겨울에 부는 거센 북풍을 잎을 지워 몸을 가볍게 하는 것으로 견딜 것입니다. 하지만 저렇게 잎을 내어 성장하는 계절에 불어대는 거센 바람은 어떻게 견딜 수 있을까요?

아마 그 답은 견고함과 유연함의 겸비에 있을 것입니다. 거센 바람을 견디는 나무는 대지 깊숙이 굵은 뿌리를 뻗어 자신을 땅의 견고함에 묶고 땅을 원군으로 삼고 있습니다. 이들을 심근성(深根性) 나무라고 부릅니다. 모진 바람이 불어올 때 그들이 뻗어놓은 견고한 뿌리는 자신의 몸뚱이가 뽑혀 넘어지지 않도록 지켜줄 것입니다.

한편 유연함은 나무들에게 다양한 모습으로 개발되어 존재함을 알 수 있습니다. 줄기에서 뻗은 여린 가지들은 바람에 맞서지 않고 사뭇 흔들립니다. 이를 통해 바람은 유선형으로 흩어지며 나무에게 가하는 압력을 줄이게 됩니다. 뿌리에서 가지 끝까지 채워진 물도 나무가 부드럽게 휘어질 수 있도록 유연제 역할을 합니다. 뿌리 근처의 지름과 줄기 끝의 지름 사이의 비율에도 어떤 비밀이 있을 것 같습니다. 위로 갈수록 점점 가늘어지는 줄기는 분명 유연함의 비밀일 것입니다. 아예 바람에 눕는 법을 터득한 나무도 있습니다. 고산지대에 사는 눈주목이나 눈향나무의 ‘눈’은 ‘누운’이 줄어 이룬 말입니다. 바람이 부는 방향을 따라 자신의 줄기를 눕힘으로써 바람을 견디는 것이지요.

오늘 숲으로 불어오는 이 거센 바람을 맞으며 생각해 봅니다.
나무가 항상 제 발 아래를 살펴 스스로 견고함을 갖추듯, 또한 성장을 향한 제 촉수에 유연함을 갖추어 소중한 날개가 꺾이는 것을 피하듯, 우리의 삶 또한 견고함과 유연함이 함께 있어야겠구나! 거센 바람에 대책 없이 맞서는 것으로는 얻고 싶은 하늘을 열지 못하는 것이 자연의 법칙이겠구나……
IP *.96.12.130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6 [화요편지]삶의 기쁨이 깨어나는 시간, 아난다 인요가 file 아난다 2020.12.22 6327
655 같이 오른다는 것에 관하여 (데날리 이야기) [2] 장재용 2020.12.22 1644
654 크리스마스 운제 2020.12.24 1443
653 [용기충전소] 매일 매일이 새로워지는 비법 file [1] 김글리 2020.12.25 2107
652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40] 은퇴 후 나는 무엇으로 돈을 벌 수 있을까? [1] 습관의 완성 2020.12.27 1771
651 [화요편지]가장 사랑하는 그들이 나를 아프게 할 때 file [2] 아난다 2020.12.29 1852
650 캐나다 록키산맥 Mt. Cascade 등반기 [1] 장재용 2020.12.29 1583
649 마지막 편지 [4] 운제 2020.12.31 1575
648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41] 꿈을 찾아 퇴사부터 하려는 당신에게 [2] 습관의 완성 2021.01.03 1862
647 [화요편지] 책 속에는 답이 없다, 그러나 file [2] 아난다 2021.01.05 2098
646 에트나(Mt. Etna)에 있드나 [1] 장재용 2021.01.05 1942
645 목요편지를 시작하며 [2] 어니언 2021.01.07 1359
644 [용기충전소] 불안을 친구로 만들기 김글리 2021.01.08 1449
643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깨져야만 알게 되는 것들 file 알로하 2021.01.10 2141
642 [월요편지 42] 미래에서 온 아버지의 첫 편지 [1] 습관의 완성 2021.01.10 1651
641 [화요편지]'책 속에는 정말 답이 없는 거냐'고 묻는 당신에게 [2] 아난다 2021.01.12 1599
640 수틀리면 터져버리는 그녀, 에트나처럼 [1] 장재용 2021.01.13 1625
639 [목요편지] 사랑을 위해 죽음을 택하다 [3] 어니언 2021.01.14 1175
638 [용기충전소] 거북이가 이긴 이유 [1] 김글리 2021.01.15 1973
637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아프니까 프로다 [2] 알로하 2021.01.17 1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