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구본형
  • 조회 수 3062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09년 4월 24일 06시 38분 등록

변화경영연구소에는 일주일에 두 번 와서 일을 도와주는 아줌마가 한 분 계십니다. 일인기업가이기 때문에 나에게는 사무실이 바로 집입니다. 청소를 해주고 빨래를 해주고 내가 잘 못하는 집안일을 도와줍니다. 나는 이 아줌마를 마리아 아줌마라고 부릅니다. 변화경영연구소의 파트타임 직원인 셈이지요.

이른 살이 훌쩍 넘으셨지만 어찌나 밝고 손이 빠른지 모릅니다. 이 집에 이사 오고 난 다음부터 일을 도와 주셨으니 벌써 8년 째 함께 일합니다. 나를 늘 '선상님'이라고 부릅니다. 출근하는 날 아침이면 늘 밝게 웃으며 '선상님, 안녕하셨어요? " 하고 말합니다. 그러면 내가 대답합니다. " 마리아 아줌마, 오늘은 무슨 좋은 일이 있으세요 ? 분홍색 옷이 멋져요" 그러면 무척 좋아 합니다. 마리아 아줌마는 우리 집으로 출근하는 날이 제일 좋은 날이라고 합니다.

천성이 아주 밝게 태어났지만, 마리아 아줌마에게는 살며 겪어야했던 아픈 일들이 유난히 많았습니다. 아주 총명하고 어머니를 끔찍이 아끼는 큰 아들을 젊은 나이에 사고로 잃게 되었습니다. 둘째 아들은 암에 걸렸습니다. 아직까지는 마리아 아줌마의 어머니 힘이 그의 건강을 붙들어두고 있습니다. 남편은 젊어서 잠시 학교선생을 한 적이 있었지만 그 후 하는 일이 별로 없이 늘 집에 있답니다. 요즈음은 덜하지만 그 긴 세월 술을 즐겼고, 술이 취하면 정성껏 담궈 놓은 장독을 때려 부수기 일쑤였다 합니다. 딸이 넷이나 됩니다. 어머니의 고됨을 알고 많은 기쁨이 되기도 하지만, 또한 자식이 많아 종종 걱정과 염려를 끼치기도 합니다.

참 신기한 것은 마리아 아줌마의 얼굴이 늘 밝게 웃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생각합니다. 하나님이 슬픔을 주실 때는 그것을 견딜 수 있는 힘도 같이 주시는 것 같다고 말입니다.

마리아 아줌마는 두 가지의 굳은 철학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내가 듣고 내게 웃으며 전해 주었습니다.

"부모만 빼놓고는 다 돈으로 살 수 있다" 이것이 첫째입니다. 마리아 아줌마가 번 돈에는 모두 그녀의 땀이 들어 있습니다. 땀이 묻지 않은 돈은 그녀의 돈이 아닙니다.

"늙으면 얼굴 예쁘고 많이 배운 것 다 쓸데없다. 건강이 최고다" 이것이 둘째입니다. 나는 이것을 '마리아의 실전철학'이라고 부릅니다. 군더더기 없이 확실하고 귀여운 철학입니다. 학교에서 배우지 못했지만 인생에서 몸으로 체득한 배움입니다.

오늘 마리아 아줌마에게 짧은 편지를 씁니다.

"마리아 아줌마, 내 지저분한 책상을 깨끗이 치워주어서 감사합니다. 깨끗이 빨은 빨래를 햇빛에 너는 모습은 참 멋집니다. 깨끗이 빤 옷을 입으면 새 날이 햇빛처럼 쏟아져 들어오는 느낌이랍니다. 앞으로는 힘든 일이 많지 않을 겁니다. 그 모진 일들을 견뎠으니 이제 기쁜 일만이 가득 할 것입니다. 나이가 더 많아 일을 하지 못하게 될 때라도 '선상님' 집에 종종 놀러 오세요"


IP *.96.12.130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6 [화요편지]삶의 기쁨이 깨어나는 시간, 아난다 인요가 file 아난다 2020.12.22 6335
655 같이 오른다는 것에 관하여 (데날리 이야기) [2] 장재용 2020.12.22 1645
654 크리스마스 운제 2020.12.24 1443
653 [용기충전소] 매일 매일이 새로워지는 비법 file [1] 김글리 2020.12.25 2109
652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40] 은퇴 후 나는 무엇으로 돈을 벌 수 있을까? [1] 습관의 완성 2020.12.27 1773
651 [화요편지]가장 사랑하는 그들이 나를 아프게 할 때 file [2] 아난다 2020.12.29 1858
650 캐나다 록키산맥 Mt. Cascade 등반기 [1] 장재용 2020.12.29 1585
649 마지막 편지 [4] 운제 2020.12.31 1575
648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41] 꿈을 찾아 퇴사부터 하려는 당신에게 [2] 습관의 완성 2021.01.03 1862
647 [화요편지] 책 속에는 답이 없다, 그러나 file [2] 아난다 2021.01.05 2107
646 에트나(Mt. Etna)에 있드나 [1] 장재용 2021.01.05 1944
645 목요편지를 시작하며 [2] 어니언 2021.01.07 1364
644 [용기충전소] 불안을 친구로 만들기 김글리 2021.01.08 1449
643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깨져야만 알게 되는 것들 file 알로하 2021.01.10 2146
642 [월요편지 42] 미래에서 온 아버지의 첫 편지 [1] 습관의 완성 2021.01.10 1651
641 [화요편지]'책 속에는 정말 답이 없는 거냐'고 묻는 당신에게 [2] 아난다 2021.01.12 1601
640 수틀리면 터져버리는 그녀, 에트나처럼 [1] 장재용 2021.01.13 1625
639 [목요편지] 사랑을 위해 죽음을 택하다 [3] 어니언 2021.01.14 1176
638 [용기충전소] 거북이가 이긴 이유 [1] 김글리 2021.01.15 1974
637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아프니까 프로다 [2] 알로하 2021.01.17 1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