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용규
  • 조회 수 3332
  • 댓글 수 7
  • 추천 수 0
2009년 6월 11일 08시 45분 등록

P1010187.jpg

우리 마을의 논 대부분에 벼 심기가 끝났습니다. 그대 아시듯, 벼는 논에 심습니다. 녀석들이 물을 좋아하는 식물로 길들여진 탓입니다. 논은 땅 위에 물을 가두어 둔 곳으로 녀석들의 생육에 최적인 공간입니다. 그런데 만약 벼를 밭에 심으면 어떻게 될까요?

 

밭은 오히려 배수가 잘 되는 곳입니다. 따라서 물을 좋아하는 벼에게 밭은 사막과도 같은 스트레스 환경일 것입니다. 많은 벼는 갈증과 대항하다가 꽃도 피우기 전에 시들기 쉽습니다. 그러나 그 척박한 환경에서도 제 삶을 지키고 이겨내는 벼가 있습니다. 그 사막과도 같은 땅에서 목마름을 견디고 벼 꽃을 피우며 이삭을 맺는 녀석들은 무엇이 다를까요?

 

지난해 나는 밭에 벼를 심은 적이 있어 압니다. 밭에서 살아남는 벼는 먼저 그 척박함을 이겨내는 교두보를 뿌리에 구축합니다. 그들은 자신의 뿌리에 근모(根毛, root hair)라고 부르는 아주 많은 털을 만듭니다. 근모는 다른 세포와 달리 액포를 키우고 세포벽을 얇게 합니다. 이는 당연히 양분과 수분의 흡수를 쉽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뿐만 아니라 잎의 끝까지 물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물관(vessel)도 상대적으로 더 강력하게 만듭니다. 부족한 물을 최대한 잘 포착하고 고르게 전달하여 갈증을 견디려는 것이지요.

 

비료도 농약도 주지 않는 농사법을 쓰는 나의 밭은 아직 척박합니다. 그 밭에서는 지금 심어놓은 작물과 잡초(?)가 뒤섞여 함께 자라고 있습니다. 함께 자라는 잡초의 대다수는 명아주라는 풀입니다. 신기한 것은 심어놓은 작물보다 야생의 풀인 명아주가 훨씬 더 잘 자라고 있다는 것입니다. 종자가 다르니까, 야생이 홈그라운드인 녀석이니까 라고 치부하기에는 조금 더 근본적인 원인을 알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녀석들을 살펴보았습니다.

 

살펴보니 대다수 명아주의 뿌리에는 하얀색의 균사덩어리가 형성되어 있었습니다. 우리가 흙 냄새라고 부르는 향기를 만들어내는 세균이었습니다. 그 흰 균사의 이름을 알아보니 방선균이라고 합니다. 생장속도가 느린 재배 작물이나 다른 풀의 뿌리에는 육안으로 포착할 수 있는 균사가 없었습니다.

 

요컨대, 밭벼는 자신의 뿌리조직을 바꾸어 사막 같은 환경을 이깁니다. 명아주는 자신의 뿌리를 세균에게 내어주고 그들을 원군으로 삼아 영양분을 더욱 잘 섭취합니다.

마찬가지로 우리의 삶이 지금 뜻대로 되지 않는다면, 그래서 자꾸 막히고 엇갈려 제 자리만 뱅뱅 돌고 있다면 먼저 나의 발 아래를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초목들은 그럴 때면 가장 먼저 뿌리를 살핍니다. 그들은 삶을 지탱하는 가장 근원적 힘이 바로 발아래 뿌리에 있음을 아는 것입니다.

 

*사진은 현미경으로 들여다본 풀의 뿌리 세포. 뿌리에 자신을 도울 균의 집을 내주었다. 각각의 네모 칸은 세포, 위쪽의 세포를 지나는 검은 가닥이 세균의 집.

IP *.176.103.150

프로필 이미지
햇빛처럼
2009.06.11 09:44:30 *.190.122.223
오늘도 마음에 와 닿는글 잘 읽고 갑니다.
프로필 이미지
김용규
2009.06.19 22:49:39 *.229.133.52
현미경으로 세포를 관찰해 보기는 처음입니다.
얼마나 경이로왔는지 모릅니다. ^^
프로필 이미지
김덕분
2009.06.11 10:15:03 *.82.96.59
음, 그러니까
진주를 만드는 조개처럼
제 고난이
저의 가장 큰  스승이 되는 것처럼
'제뿌리를 들여다 보는 게 삶' 이란 
참 기쁜 말씀 ... 감사합니다.
갑자기 숲에 가고 싶다는 푸른 아침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김덕분
2009.07.04 08:49:55 *.131.197.26
나무처럼 울다가
하늘을 오래 오래 바라봅니다.
그리고
크게 숨을 쉬면
숲이 마음까지 들어 와 앉습니다.
히히
갑자기 숲에 가고 싶으면
그렇게 '착각'에 듭니다.
프로필 이미지
김용규
2009.06.19 22:50:27 *.229.133.52
갑자기 숲에 가고 싶으실 땐 어쩌시는지요?
프로필 이미지
류성원
2009.06.11 13:39:53 *.55.46.38
선생님글에 처음 댓글 남깁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벼를 심어본 적이 한번도 없어서 굉장히 신기하기도 하고 그 속에 저런 오묘한  섭리가 있는지 미처 알지 못했습니다. 제 발 밑에 튼튼한 뿌리를 내리고 있는지 잘 살펴보아야 겠습니다.
나현아빠
프로필 이미지
김용규
2009.06.19 22:51:12 *.229.133.52
*^_^*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76 목요편지 - 우째 이런 일이 운제 2019.11.08 906
3675 [화요편지] 청소년 진로탐험 여행을 마치고 아난다 2020.01.21 906
3674 목요편지 - 요즘 어떻게 지내십니까? 운제 2020.02.21 906
3673 [용기충전소] 여행자의 눈이 필요할 때 김글리 2020.08.21 906
3672 [월요편지 103] 그래 결심했어, 천천히 던질 것인가? 전력투구 할 것인가? [1] 습관의 완성 2022.04.10 906
3671 [수요편지] 너를 위하여 [1] 불씨 2023.01.31 906
3670 [금욜편지 28- 1인회사 연구원 (남성편-3040)] [2] 수희향 2018.03.16 907
3669 [자유학년제 인문독서] 19. 열하일기 2 [3] 제산 2019.03.24 907
3668 [라이프충전소] 나만의 오리지널을 구축하는 법 3.끝까지 가라 김글리 2022.06.10 907
3667 [라이프충전소] 발리에서 띄우는 편지 [4] 김글리 2022.07.30 907
3666 [화요편지] Into the unknown [2] 아난다 2020.01.14 908
3665 지속가능한 즐거움을 시작하라 file [2] 어니언 2023.06.29 908
3664 [일상에 스민 문학] 휴가철에 만난 야생과 광기의 밤 file [6] 정재엽 2017.08.16 909
3663 [수요편지 18- 심연통과 2: 에니어그램] [4] 수희향 2017.12.13 909
3662 [수요편지] 마당에 열린 망고 [2] 장재용 2019.01.30 909
3661 목요편지 - 가을날 운제 2020.08.21 909
3660 [라이프충전소] 나만의 세상을 만드는 가장 손쉬운 방법 [1] 김글리 2022.02.04 909
3659 드디어 호그와트에 입학하라는 부엉이를 받았습니다. [1] 어니언 2023.02.23 909
3658 [수요편지] 인생을 바꾼 한마디 [1] 불씨 2023.03.21 909
3657 [내 삶의 단어장] 쵸코맛을 기다리는 오후 2 [1] 에움길~ 2023.05.07 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