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구본형
  • 조회 수 3183
  • 댓글 수 7
  • 추천 수 0
2009년 6월 12일 06시 02분 등록

  볼테르는  역사란 '인류의 범죄와 어리석음의 기록'이라고 말합니다.  역사에 비일비재하게 발생하는 비극적 사건들을 보면 아마 그 말이 진실인 듯 보입니다. 생존을 위한 싸움과 살아남기에 적합한 존재로 진화하는 과정에서 인류의 역사는 게걸스러운 욕심의 역사였습니다. 지금도 우리는 밥과 짝짓기와 번영을 위해 날마다 싸웁니다. 그러니 인류의 역사를 생물학의 단편으로 이해 할 수도 있겠지요.

그러나 우리는 이 싸움 속에서도 사랑을 만들었고, 노래를 만들었고, 이야기를 만들어 냈습니다. 공자는 함께 잘 지내는 법을 설파했고, 부처는 우리 안의 신을 찾기를 열망했고, 예수는 이웃과 빵을 나누라고 외칩니다. 그리고 니체는 미친듯이 우리의 어리석음 폭로하여 각성하게하고, 프로이트와 융은 가면 밑을 흐르는 무의식의 평안을 도와줍니다. 역사는 수많은 실제의 사건들을 통해 우리가 우리 자신에 관한 철학적 조망을 얻을 수 있도록 가르쳐 왔습니다. 그래서 윌 듀란트는 '역사란 사례를 들어 가르치는 철학'이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문명의 역사는 100만년으로 추산되는 인류의 긴 자취 중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습니다. 우리는 대부분의 시간을 자연 속의 한 종으로 살아왔습니다. 신화는 문명 이전 인류의 정신세계를 말합니다. 그것은 문명이라는 팬티를 걸치지 않은 인간 나체에 대한 이야기들입니다. 동시에 그것은 우리가 누구인지를 가장 잘 보여주는 상징체계이기도 합니다. 구스타프 융의 이야기를 내식으로 조금 비틀면 아마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을 것입니다.

" (신화는) 가장 깊고 비밀스러운 곳에 숨어 있는 작은 문이며 이 문은 우주의 밤을 향해 열려있다. 그 밤은 우리의 자아의식이 생겨나기 오래전부터 정신으로 존재했다.... (신화는) 자아를 벗어 버린.... 깊은 곳에서 생겨나며 너무도 유치하고 기괴하고 비도덕적이다. 꽃처럼 피어나는 그 솔직함과 진실함 앞에서 우리는 기만에 찬 우리의 삶에 대하여 얼굴을 붉히게 된다....무의식의 장에서 인간은 더 이상 고립된 개인이 아니다. 그의 정신은 넓어지고, 인류의 정신으로 통합된다."

20096126145219.png

어느 날 나는 신화 속 이야기들을 통해 사회적 가면 넘어 존재하는 인간의 근원적 욕망을 이해하고 헤아릴 수 있다면, 경영의 진보가 가능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개인의 자연적 본능과 불완전한 사회적 본능 사이의 깊고도 끈질긴 갈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높여줌으로써 새로운 차원의 경영에 대한 실험이 가능하기를 기대합니다. 이것을 우선 신화 경영이라고 불러 볼까요 ?

*주: 실제로 융은 ( ) 속의 '신화'라는 단어 대신에 '꿈'이라는 단어를 사용했습니다.

IP *.160.33.149

프로필 이미지
2009.06.12 07:17:07 *.124.233.1
인류의 정신으로의 통합을 지향하는 신화경영, 새로운 패러다임
좋은 편지 즐겁게 읽고 갑니다. ^^
프로필 이미지
범해
2009.06.12 08:00:26 *.248.91.49
 꿈을 향해 날으는  우주선이네요.
그림 참, 죽여줍니다.
프로필 이미지
부지깽이
2009.06.12 08:49:46 *.160.33.149

좌샘,  거참, 우주선 아니라요.  달과 배암이라오.  빨강 눈을 가진.  
그림 실력이 안되서리.
프로필 이미지
수희향
2009.06.12 09:46:34 *.12.130.125
변화경영에 이은 신화경영...
사부님께선 이리도 열심히 걷고 계시는데...
더 열심히 읽고 더 열심히 생각하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범해
2009.06.12 10:01:52 *.248.91.49
선생님,
형상화  어렵지용?
달은 눈치를 챘는데,,, 배암은 ....발이 달렸네요. 

"Die Gedanken sind frei~ " 임다..
프로필 이미지
2009.06.15 23:06:36 *.71.76.251

 기대 만발입니다. 사부님. 매주 금요일 기둘리고 있으렵니다.    ^^*
프로필 이미지
류성원
2009.06.16 17:35:10 *.106.19.28
2001년 '그대스스로를 고용하라'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사부님(이렇게 호칭해도 될른지요~)의 책을 열심히 탐독하는 사람입니다. 최근에는 연구원들이 내는 책을 보고 '변화의 증거'를 보며 더욱 이곳에 관심이 갑니다.
'신화경영'이라는 신화의 경영의 접목을 통한 흥미로운 칼럼을 기대합니다.
나현아빠드림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36 화요편지 - 오늘도 덕질로 대동단결! 종종 2022.06.07 640
4335 화요편지 - 생존을 넘어 진화하는, 냉면의 힘 종종 2022.07.12 686
4334 뭐든지는 아니어도 하고 싶은 것 정도는 할 수 있다는 마음 [2] 어니언 2023.11.23 689
4333 [수요편지] 똑똑함과 현명함 [1] 불씨 2023.11.15 692
4332 [내 삶의 단어장] 오늘도 내일도 제삿날 [2] 에움길~ 2023.06.12 695
4331 작아도 좋은 것이 있다면 [2] 어니언 2023.11.30 704
4330 역할 실험 [1] 어니언 2022.08.04 705
4329 [늦은 월요 편지][내 삶의 단어장] 2호선, 그 가득하고도 텅빈 에움길~ 2023.09.19 717
4328 [수요편지] 허상과의 투쟁 [1] 불씨 2022.12.14 721
4327 [수요편지] 커뮤니케이션이 잘 되는 조직문화 불씨 2023.10.11 721
4326 등 뒤로 문이 닫히면 새로운 문이 열린다 [3] 어니언 2023.12.28 723
4325 [수요편지] 장미꽃의 의미 [1] 불씨 2023.12.05 724
4324 [월요편지-책과 함께] 인간에 대한 환멸 [1] 에움길~ 2023.10.30 728
4323 목요편지 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 운제 2018.12.06 731
4322 목요편지 - 거짓말 [2] 운제 2019.03.15 734
4321 두 번째라는 것 어니언 2023.08.03 734
4320 모자라는 즐거움 [2] -창- 2017.08.26 736
4319 목요편지 - 누군가에게 꽃이 되고 싶다 [3] 운제 2019.01.03 736
4318 충실한 일상이 좋은 생각을 부른다 어니언 2023.11.02 737
4317 [수요편지] 미시적 우연과 거시적 필연 [1] 불씨 2023.11.07 7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