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신종윤
  • 조회 수 3012
  • 댓글 수 3
  • 추천 수 0
2009년 6월 22일 03시 28분 등록

오늘이 무슨 날인지 알아?”

 

사랑하는 연인이 갑자기 이렇게 물어오면 어떤 기분이 들까요? 넋 놓고 있다가 따귀라도 맞은 듯 가슴이 철렁하겠지요? 머리는 빠르게 돌아가지만 답은 떠오르지 않고, 머뭇거리는 사이에 상대의 얼굴은 조금씩 굳어집니다. 어떻게 그것도 모를 수 있냐는 서운한 마음이 표정에 고스란히 드러납니다. 등줄기로 식은 땀이 흐를 지경입니다. 이쯤 되면 어디 구멍 속으로라도 숨고 싶어집니다. 미리 힌트를 주지 않은 연인이 살짝 야속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우리는 종종 연인의 사랑을 떠보듯 스스로의 의지를 시험합니다. 늦은 시간에 잠자리에 들면서 이른 새벽에 일어나겠다고 자명종을 맞추기도 하고, 텔레비전과 냉장고의 유혹이 도사리고 있는 집에서 공부를 하는 무리한 계획을 세우기도 합니다. 그리고는 번번히 실패를 경험하지요. 작은 실패가 반복되면 결국엔 자기 자신에 대한 회의라는 치명적인 상처를 남깁니다. 그래서 작은 실패를 예방하는 것은 작은 성공을 이어가는 것만큼이나 중요합니다.

 

이런 실패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들이 있기는 합니다. 새벽에 일어나고 싶다면 일찍 잠자리에 들면 됩니다. 그래도 어렵다면 자명종을 여러 개 맞춰서 이곳 저곳에 숨겨두는 것도 방법이 되겠네요. 매번 집에서 공부하겠다고 마음을 먹지만 맥주 한 캔 꺼내 들고 소파에 비스듬히 누워 텔레비전을 보다가 잠이 들기 일쑤라면 필요한 것들을 챙겨 가까운 도서관이나 카페로 향하는 것도 괜찮은 해결책이 될 듯 합니다. 하지만 이런 잔기술로 진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요?

 

카이스트의 안철수 교수님은 의과대학 교수시절, 무려 8년 동안이나 매일 새벽 3시에 일어나 3시간씩 컴퓨터 바이러스를 치료하는 일에 몰두했다고 합니다. 우연한 기회에 교수님을 만나 새벽에 일어나는 일이 힘들지 않았냐고 물었더니, “쉽게 일어날 수 있었던 새벽은 단 한번도 없었다.”고 하시더군요. 그러면서 그래도 일단 일어나면 프로그램을 만드는 일은 정말로 즐거웠다.”고 덧붙이셨습니다.

 

새벽에 일어날 수 없다면, 텔레비전과 냉장고의 유혹을 이겨낼 수 없다면, 방법에 대해 고민하기 전에 좀더 근본적인 질문을 던져야 합니다. “나는 진정으로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있는가?” 질문에 대한 여러분의 대답이 “No!”라면 고민은 그 자리에서 시작되어야 합니다. 의지만으로 본성과 다투는 것은 결코 현명한 방법이 아닙니다. 타고난 본성에 귀를 기울이세요. 그러면 의지가 본성을 돕게 될 것입니다.

 

오늘이 무슨 날인지 물어오는 연인에게 서운함을 토로하기 전에 그 혹은 그녀를 사랑하는 내 마음부터 더듬어봐야겠습니다. 여기까지 쓰고 어떻게 편지를 마무리할까 고민하고 있는데, 탁상용 달력에 아내가 그려둔 빨간색 동그라미가 보이네요. 맙소사! 내일이 아내를 만난 지 9년째 되는 날이군요. 하마터면 속옷바람으로 내쫓길 뻔 했습니다. 이 편지를 빌어 아내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유진아, 처음 만났던 그 날보다 지금이 더 예뻐. 고마워. 그리고 사랑해




IP *.189.235.111

프로필 이미지
차칸양
2009.06.22 18:27:13 *.122.143.214
그래.

"처음 만났던 그 날 보다 지금이 더 예뻐. 고마워. 그리고 사랑해." 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은,

분명 자신도 처음 만났던 그 날보다 더욱 아름답게 성장했음에 틀림없으리라.

원래, 맛깔스런 글을 쓰지만, 오늘은 한층 더 간간하니 간이 잘 밴듯 하다.

이렇게 글쓴이를 칭찬할 줄 아는 사람 또한,
예전보다 더욱 내적으로 성숙했음에 틀림없으리라... ㅎㅎ ^^;
프로필 이미지
^-^
2009.06.23 01:40:45 *.62.39.148
좋은글 감사합니다. 참 와닿네요, ^^
프로필 이미지
한정화
2009.06.23 10:04:10 *.72.153.57
 “유진아, 처음 만났던 그 날보다 지금이 더 예뻐. 고마워. 그리고 사랑해
아요~ 보는 사람들 부럽게 하는 고만.
처음만난 날하고 결혼기념일하고... 같다고 했던 것 같기고 하고.... 종윤아 사랑하는 사람곁에서 행복한 것을 축하한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56 [금욜편지 105- 책쓰기준비 4- 기질] 수희향 2019.09.20 913
3655 [월요편지 113] 빌어먹을 겁쟁이 유전자 습관의 완성 2022.06.26 913
3654 [라이프충전소] 나를 삼고초려 하는 마음 [7] 김글리 2022.07.01 913
3653 드디어 호그와트에 입학하라는 부엉이를 받았습니다. [1] 어니언 2023.02.23 913
3652 [수요편지] 인생을 바꾼 한마디 [1] 불씨 2023.03.21 913
3651 [내 삶의 단어장] 쵸코맛을 기다리는 오후 2 [1] 에움길~ 2023.05.07 913
3650 스스로를 다시 보다 어니언 2023.08.24 913
3649 [금욜편지 28- 1인회사 연구원 (남성편-3040)] [2] 수희향 2018.03.16 914
3648 [화요편지]5주차 워크숍_ 내 생의 마지막 10분 file 아난다 2019.08.27 914
3647 그림으로 말해요 – 세 번째 이야기 file [4] 제산 2017.08.13 915
3646 [화요편지]주인으로 사는 삶, '포트폴리오 인생' file [3] 아난다 2019.04.16 915
3645 목요편지 - 포근한 겨울 운제 2020.01.23 915
3644 [수요편지] 사막이 아름다운 이유 [1] 불씨 2022.08.16 915
3643 [라이프충전소] 실패는 실패로만 끝나지 않는다 김글리 2023.01.27 915
3642 [수요편지] 심리적 안정감 [1] 불씨 2023.02.21 915
3641 [수요편지] 자기계발의 본질 [1] 불씨 2023.05.17 915
3640 [수요편지 15- 명함없는 삶] [2] 수희향 2017.10.11 916
3639 [수요편지 17- 심연통과 : 무인컴 날들] [2] 수희향 2017.11.08 916
3638 [금욜편지 63- 기질별 인생전환 로드맵- 9번 평화주의자] file 수희향 2018.11.16 916
3637 [자유학년제 인문독서] 28. 초등 고학년 자녀가 책을 읽지 않습니다. 제산 2019.07.01 916